자주 묻는 질문
DataOps 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과 데이터 관리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DataOps는 무엇인가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란 무엇입니까?
데이터 과학은 무엇인가
다른 데이터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NVME는 무엇인가
데이터 거버넌스는 무엇인가
데이터 스토리지는 무엇인가
IOT는 무엇인가
데이터 분석은 무엇인가
데이터 패브릭은 무엇인가
스마트 스페이스는 무엇입니까?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란 무엇인가
Pentaho
다운로드
블로그 읽기
지원 받기
교육 검색
파트너 찾기
- 살펴보기
-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 DataOps
- IoT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 Lumada Data Integration
- 오브젝트 스토리지
- Hitachi Virtual Storage Platform 5000 시리즈
- Hitachi 의 EverFlex
- 알아보기
- 리소스 라이브러리
- 제품 문서 제품 문서
- 인프라 교육
- 펜타호 & Lumada 교육 펜타호 & Lumada 교육
- 커뮤니티 및 블로그
1 (408) 324-0920
위치 보기
© Hitachi Vantara Corporation 2022. All Rights Reserved.
You’re in the Right Place!
Hitachi Consulting and Hitachi Vantara have integrated into a new company under the Hitachi Vantara brand. We help you connect what’s now to what’s next.
본 사이트에서는 당사의 사업상 목적에 따라 고객에게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Hitachi와 타사의 쿠키를 사용합니다. 본 사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귀하는 쿠키 사용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Hitachi 쿠키 정책을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참조하십시오.
로우코드 개발 플랫폼이란 무엇인가요?
With the rise of digital transformation, a low-code development platform—which anyone can use to rapidly develop new applications—is a major way your company can adapt and prosper.
로우코드 개발 플랫폼의 이점
로우코드 개발 플랫폼은 다음을 제공함으로써 비즈니스의 생산성과 민첩성을 높여줍니다.
로우코드 플랫폼은 기술적인 앱 빌드 기술이 없는 직원에게 역량을 부여해주는 한편 전문적인 개발자에게도 훌륭한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로우코드 플랫폼은 확장 가능하며 개발자가 사용할 수 있는 빌딩 블록을 제공하므로 거의 모든 유형의 사용자에게 현명한 선택이 됩니다.
Unlike professional developers, citizen developers such as these might not know much about hand-coding and don’t typically have formal training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in programming, but they can still build applications using low-code platforms. Because low code simplifies the app-building process, citizen developers don’t need to be coding experts to build efficient apps. Using citizen developers also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frees up your IT and development resources so they can focus on more complex projects.
Low-code platforms also help your business and developers address the growing need for top-of-the-line internal workflow applications, timesaving automations, better customer experiences, and seamless integrations. It can also help your professional developers build apps faster and avoid writing code line by line.
Because all low-code platforms don’t function the same way, choosing the right one for your business is critical for success. For example, you’ll want a platform that’s flexible enough to handle your unique business challenges and is still easy to use so that anyone in your company can quickly create professional, user-first apps.
로우코드와 노코드
Low-code development platforms make businesses more productive and agile by delivering:
- Efficiency. You don’t need to wait for developers to have openings in their schedules. With a low-code development platform, your other teams can simultaneously develop apps for multiple platforms and rapidly provide working examples. When developers are available to work on apps, they’ll benefit from intuitive features like drag-and-drop functionality and user-friendly APIs.
- Flexibility. With low-code development, citizen developers can create flexible apps that accomplish specific tasks. That flexibility is also critical if your business must scale and extend apps to quickly finish projects.
- Responsiveness. Sometimes your business must pivot to accommodate roller-coaster market shifts, and how better to do that than with new digital initiatives? With low code,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you can quickly deliver and change a full-stack application.
- Iterability. Your company can also provide customers with a positive experience every time they interact with your brand. Online, this means providing a consistent, frictionless experience, and prebuilt templates and chatbots are a great way to approach this.
그러나 이 두 가지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간에는 몇 가지 분명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로우코드 개발 플랫폼은 최소한의 수동 코딩이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기존에 있었던 코드를 워크플로로 이동하여 앱을 빌드하는 반면, 노코드 솔루션은 프로그래밍에 전혀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노코드는 "어떻게"가 아니라 "무엇"에 초점을 맞춘 선언적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시스템에 원하는 것을 말하면 앱이 빌드됩니다.
노코드 플랫폼은 많은 교육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기술직 직원도 비즈니스 앱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Low code and no code might seem similar, and they do share some things in common. They both allow users to create apps using visual modeling software, and both were creat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which can be time-consuming and costly. In contrast, low-code and no-code platforms are fast, affordable, and accessible.
However, there are some clear differentiators between these two types of application platforms. While a low-code development platform needs minimal hand-coding and generally involves moving existing code into a workflow to build apps, no-code solutions are designed for developers who might not be familiar with programming at all. No code uses declarative programming with a focus on “what,” not “how.” In other words, you tell the system what you want, and it builds the app.
Because no-code platforms don’t require much training, anyone in your company without a technical background can quickly create business apps.
Let’s explore some of the pros and cons of low-code versus no-code development.
컴퓨터 스킬이 중간 정도 되는 사람은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아도 앱 개발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사항이 이미 도구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미리 만들어진 도구와 템플릿 덕분에 새로운 앱 제작 과정이 매우 빠릅니다.
제한 사항
앱의 사용자 지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과제를 하나만 해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제작자가 사용하는 플랫폼에 매달리게 됩니다. 비즈니스나 제품에 어떤 변화를 주게 되면 제작자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코드 및 로우코드 플랫폼으로 빌드할 수 있는 앱
Benefits
Anyone with moderate computer skills can develop apps with little training.
Everything the user needs is already built into the tool.
Creating a new app is very fast thanks to premade tools and templates.
Limitations
The apps can be difficult to customize.
It’s intended to solve only one business challenge.
You’re tied to the platform you use. Whatever changes they make to their business or their products could negatively affect you.
로우코드 또는 노코드로 선택하는 이유
두 유형의 앱 개발 소프트웨어 모두 기존의 개발 방식보다 짧은 시간 내에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는 앱을 빌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로우코드와 노코드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 Conference apps for event attendees. Building an event-specific app is a great way to keep attendees engaged. An app can make it easy for guests to view daily agendas, learn about speakers, find local transit options, or even provide session feedback.
- Streamlined procurement processes. Instead of using email or physical documents to request items, you can build an app to house and manage employee purchase requests and to simplify, or even automate, approvals. You could create similar apps for tracking time off or travel requests, too.
- Employee onboarding. Apps can make it easier to quickly bring new employees up to speed. You could also create an app to assign, track, and manage employee training exercises,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in-house tutorials, and other important hiring documentation.
- Food delivery management. You could build an app to keep track of when food is made, when it’s sent for delivery, and how long it takes for a driver to drop an order off. You could even add GPS functionality that gives delivery drivers the fastest route to their destinations.
다음 단계 진행
Both kinds of app development software can help you build apps that your business needs in a shorter time frame than with traditional development. But how do you know which one is right for you?
It depends on what you’re hoping to achieve and what resources you have available. If speed is your biggest concern, you only want to create apps that accomplish simple tasks, or you don’t have anyone on staff with coding skills, no code is probably your best choice.
But if you want the speed of no code but don’t want to compromise on customizability or scalability—and both professional developers and citizen developers will use the apps—then low code is the way to go. Whatever the size of your business, low-code platforms give both technical and non-technical users the power to build apps they need to do their jobs more efficiently. Going low code means you can save money, save time, and be more productive.
Take the next step
When you opt for a low-code development platform, you can build the apps that your business needs in next to no time. With Microsoft Power Apps, you’ll empower your teams to easily and rapidly build low-code apps that modernize processes, solve tough business challenges, and make your company more agile.
OP Games 게임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PortalCrypt / 교육 / OP Games 게임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OP Games는 플레이어가 HTML5 게임에 액세스하고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하며 OP NFT를 구매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게임 플랫폼입니다.
프로젝트 뒤에 팀
OP Games는 중국 게임 회사의 마케팅 이사를 역임한 Chase Freo CEO가 설립한 필리핀 기반 게임 플랫폼입니다. 그의 파트너인 CTO Paul Gadi는 XNUMX년 동안 게임 업계에 종사했으며 블록체인 게임 회사인 Altitude Games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합니다.
블록체인 기반 Web 3.0을 통해 게임 커뮤니티에 새로운 기회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OP Games를 설립했습니다.
OP 게임이란 무엇입니까?
OP Games는 플레이어가 HTML2018 게임에 액세스하고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5년 필리핀 게임 개발자 팀이 설립한 게임 플랫폼입니다. 토큰 OP의 대체 불가(NFT) .
O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개발자는 지나치게 중앙 집중화된 Web 2.0 플랫폼보다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모델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자와 게이머의 이점을 크게 제한합니다.
그 목표는 게이머, 게임 소유자 및 개발자가 함께 협력하여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플랫폼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며 모든 이해 당사자에게 혜택을 전파하는 Web 3.0 게임의 허브로 자리 잡는 것입니다.
각 이해 관계자는 OP 게임에서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까?
조가도 레스
플레이어는 다른 커뮤니티에 속한 다양한 게임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와 그룹 토너먼트에 참가하고 직접 상금을 획득하고 게임 소유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플랫폼의 자율적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분산 조직(DAO)은 게임 소유자에게 게임 업데이트에 대한 투표, 제안, 새로운 개발자 선출, 커뮤니티 개선과 관련된 추가 개발 자금 지원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게임 소유자
플레이어가 게임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디지털 자산을 수집하며 NFT 판매를 통해 부분 소유권을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웹 3.0의 게임
의심의 여지 없이 Web 2.0의 게임은 전 세계 모든 게이머에게 향상된 게임 경험을 제공했지만 다른 기술과 마찬가지로 잠재력을 제한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많은 웹 2.0 게임을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지만 플레이어는 게임의 모든 기능을 경험하기 위해 인앱 구매를 해야 합니다. 또한 플레이어는 비용에 대한 보상을 받지 않고 거의 모든 게임 수익이 개발자와 플랫폼에 직접 돌아갑니다.
이 구조는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소수에게만 혜택을 줍니다. 그리고 이 중앙 집중식 시스템은 Web 3.0 게임이 바꾸고자 하는 것입니다. Web 3.0 게임을 사용하면 게임의 수익과 기타 기회가 개발자, 크리에이티브 및 커뮤니티를 포함한 모든 이해 당사자에게 돌아갑니다.
OP 아케이드의 커뮤니티 소유 게임
- Conquest.eth(Ronan Stanford) – 플레이어가 우주를 제어하기 위해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을 점령해야 하는 개방형 체인 전략 게임입니다.
- FlipFlop(제작자: FeatureKreep) – 플레이어가 레벨을 미러링하여 장애물을 통과하고 조각을 얻을 수 있는 퍼즐 게임입니다.
- Forest Cuties(Andrzej Mazur)는 플레이어가 게임 안팎에서 임무를 수행하여 수집 가능한 카드의 잠금을 해제해야 하는 메모리 게임입니다.
아르카디언스 NFT 컬렉션
20월 10.000일에 출시된 Arcadians NFT Collection은 고전 아케이드 게임에서 영감을 얻은 XNUMX개의 고유한 컴퓨터 생성 아바타 모음입니다.
이 컬렉션에서 생성된 ETH 에어드롭은 OP Games, 게임 개발자 및 NFT 커뮤니티의 Web 3.0 가속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제공할 것입니다. 컬렉션의 시작 가격은 0,055 ETH이며 다음을 사용합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으로서의 메인넷.
아르카디안은 결합이 가능하여 게임에서 자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습니다. OP Arcade 팀은 이 개념을 "게임 레고"라고 부릅니다. 이는 실제 레고처럼 함께 모여 새로운 경험을 형성할 수 있는 작은 코드 조각입니다.
그리고 Arcadians는 OP Games Metaverse의 제네시스 NFT이기 때문에 플랫폼의 메타버스가 확장됨에 따라 점점 더 유용해질 것입니다.
Arcadians NFT 컬렉션의 또 다른 큰 장점은 게임 개발 및 게임 산업 자체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게임 회사에서 제작했다는 것입니다.
즉, 각 아르카디안은 게임 캐릭터의 완벽한 모습과 느낌은 물론, OP게임즈 파트너가 개발한 모든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등 플레이어에게 유익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아카디안 펀드 배분
오픈 소스 메커니즘
Arcadian이 생성한 자금의 상당 부분은 Phaser, Defold 및 Godot를 포함한 오픈 소스 엔진으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플랫폼의 "게임 레고"가 게임 개발자에게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NFT 및 게임 개발 커뮤니티
Gamedev.js 및 JS13KGames와 같은 게임 잼 이벤트와 협력하는 것은 Web 3.0 게임을 더욱 확립하기 위한 OP Games의 핵심 전략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웹 3.0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Arcadian 판매 자금은 HTML5 게임 개발자가 웹 3.0 환경을 위한 게임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자금을 지원합니다.
아르카디안 로드맵
- 3년 2021분기 – 오픈 소스 아바타 배틀 게임이 출시되어 Arcadians가 서로 경쟁할 수 있습니다.
- 4년 2021분기 – Devil's Due의 Josh Blaylock이 OP Games와 협력하여 Arcadians Multiverse 만화를 제작했습니다. 플랫폼 진행 보고서의 일부로 Arcadian 게임 파트너십을 커뮤니티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 1년 2022분기 – 재생산 및 전투 엔진을 티어 2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OP게임즈 파트너십
OP Games는 최근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인 YGG(Yield Guild Games)와 제휴하여 메타버스를 더욱 확장했습니다. 거래의 일환으로 YGG는 200개의 Arcadians를 구매하여 OP Games가 오픈 소스 게임 엔진, 게임 개발 및 게임 양보를 포함한 다양한 벤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두 게임 플랫폼은 또한 NFT와 DAO를 통해 커뮤니티 소유권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멘토링 세션을 시작할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YGG 공동 설립자 Gabby Dizon이 멘토로 있는 세션은 게임 개발자에게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OP Games는 오늘날의 고도로 제한적인 중앙 집중식 게임 시스템으로 인해 오랫동안 제한을 받아온 게임 커뮤니티에 play-to-win 및 web 3.0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다목적 플랫폼입니다. Arcadian NFT 컬렉션과 미래의 진화를 통해 플레이어는 다가올 혁명에 대비해야 합니다.
* PortalCripto는 정보의 질을 중시하며 해당 팀이 제작한 모든 콘텐츠를 검증함을 증명하지만, 어떠한 형태의 투자 권유도 하지 않으며 손실, 손해(직간접적, 우발적 ), 비용 및 이익 손실.
[서평] 플랫폼에 발을 내딛다, 윤상진의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서평] 플랫폼에 발을 내딛다, 윤상진의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1)
‘플랫폼(platform)’이 무엇인지 대략적으로나마 설명할 줄 아는가?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는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 , ‘ 다이빙에서 쓰는 5~10미터 높이의 준비대’ 등 다양하다. 그러나 우리가 요즘 말하는 플랫폼은 좁은 의미로 ‘사용 기반이 되는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를 지칭한다. 좀 더 넓은 의미로 말하자면 플랫폼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장(場)이다.
우리는 플랫폼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구글, 애플 등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기업들이 우리의 생활을 장악하고 있다. 제대로 된 플랫폼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도 자신들만의 플랫폼을 구축하려 노력하는 세상이다. 그래서 저자인 윤상진 씨는 숨어 있던 플랫폼의 가치를 살며시 끄집어내고자 책을 썼다.
이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이 책에서 플랫폼의 이론적 측면을 훑어 내려감은 물론이고 소셜 플랫폼, 플랫폼 비즈니스, 성공하는 플랫폼 구축 전략, 스마트 시대와 플랫폼의 관계 등 여러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플랫폼, 어떤 것이 있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으로써 수많은 프로그램 개발사와 사용자들과 연결되어 있다. 윈도우는 프로그램 개발사와 사용자 간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애플의 아이튠즈도 마찬가지다. 아이튠즈는 여러 가지 문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이며, 음악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음반사와 사용자를 연결해 준다. MP3 불법 다운로드를 막아줌으로써 음원 공급자와 소비자 둘에게 도움을 준 플랫폼으로 손꼽힌다. 아이튠즈 역시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장’을 만들어 줌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했다고 할 수 있다.
플랫폼이 우리 삶에 주는 영향
주위를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둘러 보면 특정 플랫폼에 속하지 않은 플랫폼이 아닌 것을 찾기가 힘들 정도다.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부터 규모가 작은 플랫폼까지 가지각색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도 각각 다양한 플랫폼이 존재한다. 플랫폼이 중요한 이유는 플랫폼이 독립적으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비즈니스와 융합되고 세분화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비즈니스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플랫폼이 정치, 경제, 문화, 생활 등 우리 생활 전반과 엮여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트위터 등 소셜 플랫폼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편, 소셜 커머스도 가능해졌다. 오프라인 영역이라고만 여겨졌던 상업이 온라인화되었다는 점에 있어서 큰 의미가 생긴 것이다. 모바일 커머스의 경우(QR코드를 이용한다)도 마찬가지다. 모바일과 지역 광고가 만나면 현재 위치에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에게는 유용한 서비스가 된다.
어떤 것들이 ‘융합’ 한다는 것들은 각각이 불완전체로 존재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상생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선택한 수단이 바로 융합이다. 플랫폼도 끊임없는 융합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소셜 플랫폼이 뭐지?
[서평] 플랫폼에 발을 내딛다, 윤상진의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4)
소셜 플랫폼이란 ‘사람’이 중심이 되는 플랫폼을 말한다. 즉, 일상에서부터 사회 전반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을 이루고 있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여기서 SNS가 소셜 플랫폼인 것이 증명된다. SNS는 이미 우리 삶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으니 말이다. 이들 소셜 플랫폼이 구축됨으로 인해 서비스 공급자들이 몰리기 시작하면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NS는 더욱 막강해지고 있다. SNS가 소셜 플랫폼의 일종이 되면서 SNS이용자들은 소셜 네트워킹, 게임, 문서작성 등 대부분의 서비스를 편하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플랫폼 비즈니스도 전략적으로
[서평] 플랫폼에 발을 내딛다, 윤상진의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2)
여기저기서 플랫폼 비즈니스 얘기다. 그러나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해서 모든 비즈니스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플랫폼 비즈니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있다. 플랫폼은 플랫폼 참여자들과 함께 가치를 창출하고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만약에 노력보다 결과물이 형편없다면 플랫폼에 참여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랫폼은 비용절감 효과가 있어야 한다. 홍보비용, 거래비용, 검색비용 등 플랫폼에 참여하는 기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을 줄이는 대신 오히려 더 많은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비용을 내야 한다면 독자적인 플랫폼이 오히려 낫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플랫폼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나는 장이며, 그것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양쪽 모두가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플랫폼 비즈니스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다.
정보통신기술과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과 정보통신기술을 묶어서 생각해도 별 상관 없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공간의 제약을 없앨 수 있었기 때문이다. 월드와이드웹(www)이 풍성해지고 있고 와이파이존이 확대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요즘 시대에는 플랫폼의 발달이 당연히 일어날 수밖에 없다. 콘텐츠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인프라가 쉽게 구축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성장시켰다. SNS의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에(삶의 형식까지 변화시킨다)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플랫폼 비즈니스를 영위할 수 있는 기회가 보다 많이 주어지고 있는 추세다. 또한 오프라인 비즈니스가 온라인 비즈니스와 접목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짐으로 인해 사람들의 행동양식을 바꾸기가 쉬워지고, 따라서 플랫폼 비즈니스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
스마트 기기, 플랫폼 비즈니스의 가속화에 힘쓰다
예전에는 ‘스마트’ 라는 단어가 ‘기능이 다양하고 우수한’ 의 의미로 쓰였다면, 지금은 ‘ 사용자 맞춤식 설정이 가능하고 소셜 네트워킹 기능을 갖고 있는’ 의 의미로 쓰인다. 현재, 디지털 기기들은 날이 갈수록 스마트해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스마트기기가 그러하고, 나아가서는 생각지 못했던 부분에서도 스마트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는 얘기다. 스마트기기의 확산은 플랫폼 비즈니스의 기회를 만들기에 충분하다. 모든 디지털 기기에 플랫폼이 들어갈 것이고, 기기에 들어가는 애플리케이션도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기기에 따라 다를 것이므로 새로운 시장이 열릴 가능성이 커진다. 플랫폼과 플랫폼 간의 융합도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스마트기기가 다양해지면, 각자가 가진 플랫폼을 교류하는 것도 비즈니스와 플랫폼 시장 운영에 있어서 필요하기 때문이다.
플랫폼의 미래, 어떻게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될 것인가
[서평] 플랫폼에 발을 내딛다, 윤상진의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3)
이 시대가 플랫폼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사실을 어디서나 체감할 수 있다. 특히 플랫폼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정보통신산업은 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과 더불어 일종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플랫폼의 형성으로 인한 사회적 책임과 중립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 플랫폼 참여 기업들과 사용자들이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플랫폼 자체의 노력이 필요한 셈이다. 앞서 말했듯이 플랫폼은 우리의 삶과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큰 연관이 있으므로 플랫폼의 미래는 우리의 미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발전하고 있는 플랫폼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지금 플랫폼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기업들을 제치고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할 만한 기회를 잡으려면 그럴 수밖에 없다. 어쨌거나, 플랫폼 시장은 여전히 블루오션이다. 시도에 시도를 거듭한다면 플랫폼의 미래를 따라잡지 못할 이유는 없다. 그것을 염두에 두고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물론 플랫폼의 개념을 잡기란 어렵다. 그러나 플랫폼을 조금이나마 이해한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느끼던 불편함이 사라질 지도 모른다. 성공적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꿈꾸는 기업들에게도 그렇고, 플랫폼의 혜택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도 그렇다. 플랫폼 시장의 전망은 밝은 편이다. 기업과 사용자가 상생하여 플랫폼에 발을 내딛는 과정이 가치 있을 시점이다.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책 제목에서 던져진 질문은 웬만한 IT 경력을 가진 사람들도 쉽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이라고 본다. 대략적인 개념은 다들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겠지만, 이를 풀어서 쉽게 설명한다는 것은 늘 그렇듯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플랫폼이란 무엇인가"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적절하게 주는 것처럼 보인다. 너무 어렵지 않게 또한 너무 쉽지 않게 저자의 주장을 찬찬히 그리고 비교적 상세하게 이야기하고자 바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 아쉬운 점 몇 가지가 눈에 띄었는데 그건 이론적인 부분에 관한 내용이 조금 더 보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는 것이다. 비교적 딱딱한 이론 이야기를 하는 것이 "플랫폼"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다루어야 하는 점에서 매우 부담스러운 부분이긴 하겠으나, 이 "플랫폼"이라는 것이 이론적인 내용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덧붙여서 한 가지 더 이야기하자면 "플랫폼 전쟁"은 IT 부문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이기에 다양한 산업들과 관련된 좀 더 폭넓은 사례를 다루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바람이 들었다. 어쩌면 잘 만들어진 책에 기대는 바가 컸기에 나타나는 개인적인 희망이겠으나,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지 않을까 한다.
한편으론 상당히 어려운 주제를 플랫폼이란 무엇입니까? 택해 책을 쓴 저자의 노력에 감사드려야 할 것 같다. 편한 주제를 쉽게 쓰는 세태에 맞지 않게 상당히 어려운 주제를 그리고 여러 고민을 하면서 쓴 흔적을 책 곳곳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나 스스로 "플랫폼"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좀 더 많은 고민이 생기긴 했지만, 그 고민이 나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는 고민이기에 이 책이 주는 의미는 조금 남다른 것 같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