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을얻습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다양한 트래픽과 수익 지표들

수익을얻습니다

자습서: Tableau Desktop 시작하기

데이터에 연결하고, 데이터 비주얼리제이션을 만들고, 결과를 프레젠테이션하고, 다른 사용자와 심층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이 자습서는 Tableau Desktop 버전 2022.2 의 특징과 기능을 안내합니다. 이 수익을얻습니다 자습서를 진행하는 동안 Tableau 통합 문서에 여러 뷰를 만들게 됩니다. 수행할 단계와 작업할 통합 문서는 대형 소매 체인의 본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대한 스토리에 기반합니다. 이 스토리는 영업 및 영업 실적에 대한 질문을 하고 답을 찾아가는 단계를 통해 전개됩니다.

Tableau Desktop에서 데이터에 연결하고, 일부 유용한 뷰를 작성, 프레젠테이션 및 공유하고, 주요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단계를 완료하는 데는 1~3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스토리 소개.

여러분은 대형 소매 체인의 직원입니다. 방금 분기별 매출 보고서를 받은 여러분의 상관은 어떤 제품의 경우 다른 제품보다 매출이 우수하고, 일부 영역의 매출이 예상보다 저조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상관은 수익에 관심을 둡니다. 여러분이 할 일은 전체 매출과 수익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수치의 원인이 된 항목을 찾는 것입니다.

또한 상관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고 결과를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팀에 알려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팀은 여러분이 조사한 결과를 탐색하고 회사의 제품 라인에 대한 매출 및 수익성을 개선하는 수익을얻습니다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Tableau Desktop을 사용하여 제품 데이터에 대한 단순한 뷰를 작성하고, 지역별 매출 및 수익성을 매핑하고, 결과에 대한 대시보드를 작성한 다음 프레젠테이션 스토리를 만들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원거리에 있는 팀이 볼 수 있도록 결과를 웹에 공유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 섹션을 확장하면 배경과 예제를 볼 수 있습니다. 한 번 해보십시오.

처음에는 Sample - Superstore 데이터 원본을 사용하여 단계를 수행합니다. 자습서에서 해당 방법을 볼 수 있습니다. Tableau Desktop의 핵심 기능에 익숙해진 후에는 고유한 데이터로 이 단계를 수행해 보십시오.

수익을얻습니다

고객이 제품을 존중하는 만큼으로

저희 회사를 찾는 고객들은, 저마다의 사연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때때로 제품은, 고객에게 단순히 물건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어떤 이에겐 중요한 업무를 효율좋게 해결하는 파트너가 되고, 어떤 이에겐 소중한 사람과의 안부를 묻는 소통창구가 됩니다. 제품에 대한 사연이 깊을 수록, 고객이 가진 애틋함이 클 수록, 제품이 망가졌을 때의 상실감 또한 까마득합니다.

당황하고 놀란 마음으로 저희를 찾아 주신 고객께 엔지니어들은 기꺼이 가능한 모든 시간과 노력을 쏟습니다. 하나뿐인 가족이 나온 사진을 볼 수 없나요? 중요한 통화 직전에 스피커가 말썽을 부리나요? 당황스럽고 안타까운 일일수록, 저희를 찾아 주십시오. 잃어버린 시간을 되돌리며, 앞으로의 시간을 살릴 수 있습니다. 우리는 전자제품을 너머 사람의 마음을 고칩니다.

우리의 가치는 우리가 고친 제품으로 증명합니다. 서강잡스는 매 작업에 집념을 바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극한까지 면면히 고칩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 자랑을 아껴 두겠습니다. 우리는 허울 좋은 홍보문보다, 결과로 고객의 신뢰를 얻습니다. 당신은 고친 제품을 사용하는 매 순간 자연스럽게 우리의 솜씨를 깨닫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재방문 단골이 많습니다. 우리는 말이 필요 없습니다. 잘 고친 제품이 쾌적한 일상을 돕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합니다. 그 당연함이 우리의 홍보입니다. 일상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수리품이, 그리고 이로 인해 되찾은 당신의 미소가, 백 마디 미사여구보다 낫습니다.

Little brother
across the frozen river and over the snow-roads
we send our love to you.
You have had a hard way.

This evening we have eaten the New Year’s mandu
and sipped the broth of another aging,
all gathered under the old roof crusted with frost
and starlight, with the softness

Of this blacked-out winter wrapping
and muting us like a gentle snowbank over a grave.
And in the darkness, softly so the neighbors will not hear,
I dial your number and murmur a prayer for your wellbeing.

Eat well, little brother. Dress warmly,
and do not send money for
now we are doing fine.
Remember where you come from,

And guard your loneliness. For there are none
who know as I do the look of your back,
walking away from me that final time,
neither of us permitted to speak or cry.

수익을얻습니다

로아[email protected]

등록 2020. 04. 22 오후 03:46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쇼핑이 증가하면서 가장 큰 수혜를 입은 기업은 이커머스 회사인 Shopify입니다. 4월 7일부터 8일 간 연속으로 상승한 Shopify의 주가는 이번주 월요일에 전 거래일 대비 6.7% 상승한 629.90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주가가 폭락했던 4월 2일 대비 82% 상승한 수치입니다. 이로써 Shopify의 시가총액은 730억 달러를 기록하며, 캐나다 토론토 증시에서 Toronto-Dominion Bank를 제치고 시총 2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Amazon.com의 주가는 25%, eBay의 주가는 29% 상승하면서, Shopify가 이들 이커머스 기업들의 상승률을 제친 상황입니다. 한편, S&P 500지수는 같은 기간 동안 12%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hopify는 비즈니스 사업자들이 온라인 상점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판매하며, Nestle SA, Staples 등을 포함하여 전세계 100만 곳이 넘는 판매처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Shopify는 이들 사업자로부터 가입비 및 고객이 신용카드 혹은 온라인으로 구매하였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payment-processing fees)와 같은 비용을 수취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오프라인 매장이 셧다운되고 온라인 쇼핑으로 고객이 몰리면서 Shopify는 큰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지난 주 Shopify의 경영진은 Twitter를 통해 "매일 Black Friday 수준의 트래픽을 다루고 있다(now handling Black Friday level traffic every day)"라는 말을 남기며 흥행하고 있는 현 상황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다만 Shopify 역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주식시장의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었습니다. 앞서 Shopify가 4월 2일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연간 가이던스(guidance) 발표를 연기하자마자 주가는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S3 Partners의 데이터에 의하면 최근 몇 주 간은 숏셀러(short seller)들의 관심을 받기도 하였는데,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Shopify의 주식이 과대평가되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애널리스트가 없다면 공산주의보다 나쁘다?

주식시장에 애널리스트가 존재하는 이유는 ‘알파’(alpha), 즉 초과수익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투자수익률이 시장수익률을 상회하면 초과수익을 냈다고 말합니다.

애널리스트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초과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을 찾습니다. 펀드매니저는 애널리스트의 종목 추천을 바탕으로 적절한 투자를 단행하고 그리고 만약 애널리스트가 옳았다면 초과수익을 얻습니다. 이러한 투자를 액티브(active) 투자라 부르죠.

물론 여기서 거둔 초과수익은 애널리스트 분석에 들어간 비용과 펀드매니저의 수수료를 합친 금액보다 커야 진정한 초과수익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되풀이 되면서 실력 없는 애널리스트는 자연스레 도태되고 오로지 실력 있는 애널리스트만 살아남습니다. 생존과 도태의 치열한 경쟁은 애널리스트로 하여금 끊임없이 알파를 찾도록 노력하게 만듭니다.

이 시나리오대로 된다면 애널리스트의 역할을 두고 수익을얻습니다 의문을 가질 필요는 없겠죠.

하지만 애석하게도 지금까지의 많은 재무학연구들은 대다수의 뮤추얼펀드가 시장수익 대비 초과수익, 알파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나마 초과수익을 거둔 펀드들도 비용과 수수료 등을 차감하고 나면 시장수익률을 상회하는(=진정한 초과수익을 내는) 펀드들은 극소수에 불과할 뿐입니다.

또한 특정한 연도에 초과수익을 냈더라도 미래에 꾸준하게 지속적인 초과수익을 내는 경우는 희박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얻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알파를 찾으려고 하는 헤지펀드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일반 뮤추얼펀드보다 수수료만 더 비쌀 뿐 초과수익을 내지 수익을얻습니다 못한다는 연구가 수두룩합니다.

현재 최고의 주식투자자인 워런 버핏(Warren Buffett)과 뉴욕의 한 헤지펀드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익률 내기에서도 이 점은 명백하게 드러납니다. 버핏은 지난 2008년 S&P500 지수 상승률을 이기는 헤지펀드가 나오면 100만불을 주겠다고 내기를 걸었는데, 8년이 지난 지금 헤지펀드는 S&P500 지수 상승률의 3분의1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액티브 투자의 무용론, 나아가 애널리스트 무용론을 시사합니다. 비용과 수수료를 고려하지 않고도 대다수의 펀드가 시장수익률에 미달한다는 사실은 굳이 비싼 비용을 들여 알파를 찾을 필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나온 게 패시브(passive) 투자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진정한 초과수익을 내는 종목을 찾기가 어렵다면 그냥 인덱스나 ETF에 투자해 시장수익률이나 추구하자는 겁니다. 더군다나 인덱스펀드나 ETF는 수수료가 엄청 싸죠.

결국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패시브 투자가 정답입니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패시브 투자가 급격히 늘면서 점점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물론 1977년부터 1990년 사이에 순자산가치를 27배나 늘인 피터 린치(Peter Lynch)와 같은 뛰어난 펀드매니저가 간간히 나오긴 하지만 만약 당신도 그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면 하루빨리 생각을 고쳐 먹는 게 수익을얻습니다 현명합니다.

그럼 모든 투자자들이 액티브 투자를 버리고 패시브 투자에만 집중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의 알파를 찾는 노력은 필요가 없게 되고 좋은 종목과 나쁜 종목을 찾는 시도는 포기될 겁니다.

그리고 주식투자는 그저 인덱스펀드와 ETF에 투자해서 시장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귀결되겠죠. 그렇다면 좋은 세상이 온 거 아닌가요? 지금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시장수익률에도 못 미치는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말이죠.

“애널리스트가 없는 자본시장은 마르크스주의(Marxism) 계획경제보다 나쁘다.”

지난주 전 세계 수익을얻습니다 주식전문가들 사이에서 미국 샌포드 번스타인(Sanford Bernstein & Co.)의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보고서가 큰 논란이 됐습니다.

이 애널리스트가 주식시장에서 모두가 패시브 투자를 하면 좋은 세상이 오는 게 아니라 오히려 마르크스주의 계획경제보다 더 나쁜 결과가 수익을얻습니다 온다고 강변했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자본시장의 기능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입니다. 즉 좋은 기업에는 돈이 몰리고 나쁜 기업에서는 자본이 빠져 나갑니다.

애널리스트는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을 찾아내어 이들의 주가가 본질가치에 미달하는지 아니면 초과하는지 끊임없이 수익을얻습니다 검증합니다. 저평가된(underpriced) 좋은 기업의 주식은 매수하고 고평가된(overpriced) 나쁜 기업의 주식은 공매도하는 과정을 통해 자본은 가장 생산적인 기업으로 재배분됩니다.

이처럼 애널리스트가 알파를 찾는 노력은 자본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함으로써 자본시장 참가자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긍정적인 외부성(positive externality)을 갖습니다.

그런데 만약 애널리스트가 없어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자본의 효율적 배분은 멈추게 되겠죠. 그 결과 나쁜 기업에서 좋은 기업으로 자본이 재배분되지 않고 자본시장은 효율적 자본배분 기능을 상실하게 되겠죠.

만약 애널리스트의 노력에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비싸다고 아무도 부담하지 않으려 한다면 주식시장에서 애널리스트가 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자본의 효율적 배분은 멈추게 돼 마르크스주의 계획경제보다 더 나쁜 체제로 전락하고 말겠죠.

그러니 일반 수익을얻습니다 개미투자자들이 애널리스트 비용을 부담하지 못한다면 정책당국이라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주장했습니다.

상당히 수긍이 가는 주장임에 틀림이 수익을얻습니다 없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비평가들은 알파를 찾는 노력을 애널리스트라는 특정 집단의 고유 업무로 보는 점과 따라서 그들에게 마땅히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패시브 투자가 유리하다고 해도 누군가는 수익을얻습니다 수익을얻습니다 여전히 대박 종목을 찾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고 액티브 투자도 포기하지 않을 거라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자발적인 노력 때문에 자본시장은 효율적인 자본배분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넷 사이트가 광고로 도배되는 이유

우리는 결제를 위해 페이팔을,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카카오톡을, 콘텐츠를 위해 유튜브를, 네트워킹을 위해 페이스북을, 쇼핑을 위해 쿠팡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거쳐가는 관문을 플랫폼이라 합니다. 사람들은 플랫폼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그리고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고 플랫폼 사업자는 플랫폼 이용수수료 혹은 광고수익으로 수익을 얻습니다.

플랫폼사의 1순위 지표 트래픽

플랫폼 사업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수록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플랫폼사의 1순위 지표는 트래픽. 하지만 사람들에게 플랫폼 이용료를 부과한다면, 많은 사람들을 모으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플랫폼 사업자는 직접적인 플랫폼 이용수수료보다 간접적인 광고수익으로 수익내는 것을 택합니다. 하지만 과연 트래픽이 수익을 위한 절대적 지표일까요?

플랫폼사의 인풋 트래픽 vs 아웃풋 수익

플랫폼사의 수익적 인풋에 해당하는 지표에는 월간 사용자수(MAU), 주간 사용자(WAU), 재방문자비율, 페이지뷰, 방문 당 페이지뷰 등이 있습니다. 또 수익적 아웃풋에 해당하는 지표에는 전체 수익, 사용자 당 수익, 페이지 당 수익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어떤 지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의 방향성 자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트래픽과 수익 지표들

플랫폼사의 딜레마&줄타기

사용자 당 수익을 극대화해야 하는 광고팀은 노출당 수익(RPM)을 극대화하기 위해 더 높은 클릭당비용(CPC)과 클릭률이 잘 나오는 광고상품을 찾고, 방문깊이(Depth of Visit)와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 경험과 컨텐츠 품질을 높이려고 노력합니다. 문제는 RPM과방문깊이&충성도가 서로 반한다는 것. RPM을 극대화하기 위해 광고 단가와 광고 클릭률에만 몰입할 경우, 사용자 경험 악화로 방문깊이, 충성도를 훼손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플랫폼사의 수익도 하락하게 되고요.

플랫폼사의 미션 – 최접점 찾기

때문에 당장 눈 앞에 있는 광고 단가나 클릭률에 매몰되지 않고, 궁극적인 장기수익을 위해 자사와 사용자 모두를 만족시키는최적화 접점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는 플랫폼사의 가장 큰 미션입니다.

장기수익 극대화를 위한 광고요소와 사용자요소 접점 예시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