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코스닥150 선물시장 거래대금의 성장과 선물, 주식, ETF 시장의 연계거래 행태에 대해 분석한다. 표본 기간 동안 기존에 크게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던선물과 ETF 시장의 거래대금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특히 국내 증권사와 기관, 외국인의 거래활동이 크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거래활동의 증가는 개인투자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스닥 주식시장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기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물, 주식, ETF 시장 간 연계거래 활동을 측정한다. 연계거래의 4가지 종류로는 주식과 선물의 차익거래, ETF의 설정 및 환매, ETF 시장조성자의 헤지, ETF와선물 차익거래를 들었으며, 시장 참여자들이 연계거래를 최대한 활용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선물 거래대금에 대한 영향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연계거래는 선물시장거래의 약 30%를 차지하며, 선물시장의 성장과 연계거래 규모가 함께 성장한 것을확인할 수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연계거래를 통해 나타나는 파생상품 시장 고유의 기능인 위험관리와 가격발견 기능이 여러 시장의 성장과도 관련됨을 뜻한다. 또한, 선물, 주식, ETF 시장 중 특정 시장의 성장이 다른 시장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아닌, 시장 간의 연계거래를 통해 동반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I analyze the growth of the KOSDAQ150 futures market and possible cross-product trading on the futures, spot, and ETF markets. The KOSDAQ150 futures and ETF markets, which have not been quite active, have grown significantly in the sample period. Especially, domestic security firms, institutions, and foreigners’ trading amount have grown remarkably. The growth of trading activity is notable, compared to that in the KOSDAQ stock market which mainly consists of individual investors. From this observation, I measure the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in the futures, spot, and ETF markets. Suggested four types of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are spot/futures arbitrage, ETF creation and redemption, hedge of the ETF market makers, and ETF/futures arbitrage. I present the maximum amount of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in the futures market. As a result, estimated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contribute about 30% of the growth of the trading amount of the KOSDAQ market, which implies that the cross-product trading grows with the futures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unique function of derivatives market such as risk management and price discovery are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overall market through the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Also, futures, spot, and ETF markets do not cannibalize each other and they can grow together by cross-product trading activities.
거래 트려면 선물옵션계좌 열어야
주식선물거래는 계좌개설, 증거금 납부, 주문, 거래체결, 체결내용 확인, 일일정산 순으로 거래(계약)을 체결하고 포지션을 보유하게 된다.
주식선물 매매를 위해서는 선물옵션계좌가 필요하다. 물론 종전에 선물옵션계좌를 가지고 있다면 동일계좌로 주식선물 거래를 할 수 있다. 신규로 계좌를 개설을 원할 경우 증권회사 또는 선물사에서 할 수 있다. 이때 기본예탁금으로 1500만원 이상 현금 또는 대용증권 등을 예탁하여야 한다.
거래시간은 매일 09:00~15:15까지다. 거래는 거래체결방식에 따라 단일가격방식(08:00~09:00, 15:05~15:15)과 복수가격방식(09:00~15:05)으로 나눠진다. 주문은 08:00부터 장종료 시점까지 가능하다. 다만 최종거래일은 14:50분에 거래가 종료된다.
주식선물의 거래단위는 계약으로 표시되며 1계약 금액은 선물가격에 10을 곱하여 구해진다. 예를 들어 ××전자선물 가격이 60만원일 경우 ××전자선물 1계약의 금액은 600만원(60만원×10)이다.
호가의 가격단위는 선물가격에 따라 호가단위가 5단계로 차등화 되어 있으며 현물시장의 절반 수준이다. 즉 5원(1만원미만), 25원(1만원이상~5만원미만), 50원(5만원이상~10만원미만), 250원(10만원이상~50만원미만), 500원(50만원이상)이다.
주식선물의 호가단위를 현물시장보다 세분화한 것은 가격발견 기능제고와 헤지거래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주식선물시장에도 가격제한폭이 있다. 가격제한폭은 현물시장과 동일하게 ±15%가 적용된다.
주식선물거래에서 이용되는 주문형태는 지정가호가, 시장가호가, 조건부지정가호가 및 최유리지정가호가이다. 조건부지정가호가는 종가 단일가매매 전까지 체결되지 않은 수량에 대해 단일가 매매 시 시장가호가로 전환되는 주문유형이다. 최유리지정가호가는 시장가호가와 지정가호가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는 주문유형이다.
선물주문은 계좌를 개설한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HTS 등을 이용하여 제출할 수 있다. 투자자가 주문을 제출할 때는 대상물, 매도 또는 매수, 가격 및 수량 등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주문을 접수한 회원사는 거래소의 선물시스템에 고객의 주문을 전달한다. 거래소는 가격우선의 원칙, 시간우선의 원칙 등 매매체결원칙에 따라 접수된 주문에 대해 매매를 체결한다. 체결된 주문은 다시 회원의 시스템을 거쳐 투자자에게 체결 여부 및 내용을 통보하여 체결결과를 확인하도록 한다.
투자자는 주식선물을 매도 또는 매수를 위탁하는 경우에 위탁금액의 18%에 해당하는 금액을 위탁증거금으로 납부하여야한다. 이후 보유 포지션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선물옵션계좌에 항상 12% 이상의 증거금을 유지해야한다. 이를 유지증거금이라고 한다.
만약 유지증거금 수준이하로 떨어질 경우 증권회사는 다음날 12시까지 개시증거금 수준으로 납부할 것을 요구(margin call)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반대매매 또는 대용증권을 처분하게 된다.
Contents 3.1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3.2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3.3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3.4
Presentation on theme: "Contents 3.1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3.2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3.3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3.4"— Presentation transcript:
2 Contents 3.1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3.2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3.3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3.4
선물시장의 구조 3.4
3 제 1 절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1. 현물거래와 선도거래
상품의 매매 :계약시점과 결제시점을 기준으로 현물거래와 선도거 래로 구분 현물거래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발생하는 거래 선도거래 : 계약이 먼저 체결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결제가 이 루어지는 거래로서, 결제시점에서 대금의 지급·수취와 상품의 인수 ·인도가 이루어짐
4 제 1 절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도거래의 정의 정 의 : 두 거래당사자가 미래의 특정시점에 특정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에 거래하기로 현재시점에서 계약을 맺는 것 두 거래당사자 : 매입자와 매도자 특정시점 : 계약의 만기일(delivery date 또는 maturity date) 특정자산 : 기초자산(underlying asset) 선도가격 : forward price
5 제 1 절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3. 선도거래와 계약불이행 위험
선도거래에서 두 거래당사자는 만기일에 미리 정한 계약내용에 따라 반드시 거래를 이행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수 있음 계약불이행 위험(default risk) 선도거래에서 거래당사자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가능성 (=거래상대방 위험(counterparty risk)) 선도 거래에서는 계약불이행 위험이 쌍방에 항상 존재하며, 이 러한 위험을 없애기 위해 선물거래로 발전하고 있음
6 제 1 절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4. 선도거래의 청산 현물인도(actual delivery)
만기일에 기초자산을 선도가격에 인수 또는 인도하는 방식 현금결제(cash settlement) 실제 상품을 인수·인도하는 대신 두 거래당사자가 합의하는 경 우 만기일의 현물가격과 약정된 선도가격의 차액만을 결제하 는 방식 반대거래(reversing or offsetting trade) 기존의 포지션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취하는 것 기존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익이 새로운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익과 정확히 상쇄 → 실질적으로 계약이 없는 상태와 같아짐
7 제 1 절 선도거래의 성격과 종류 5. 선도거래의 종류 선물환(forward exchange)
만기일에 일정액의 특정외화를 미리 약정한 선도환율에 거래하기로 하는 계약 환위험(foreign exchange risk) 헤지수단으로 자주 이용 금리선도계약(forward rate agreements: FRA) 금리(이자율)를 기초로 하는 선도상품 시장의 금리수준을 대표하는 LIBOR나 Euribor 등 기준금리 (reference rate)와 계약시점에 미리 정해둔 약정금리에 따라 그 수익이 결정됨
8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1. 선물거래의 성격 거래의 내용과 조건을 표준화하여 시장성을 높인 선도거래
선도거래와 선물거래는 경제적인 기능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거래가 이루어지는 제도 면에서 큰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차이를 가짐 [표 3-1] 선도거래와 선물거래의 비교 구 분 선도거래(forward) 선물거래(futures) 거 래 장 소 ·장외에서 거래 ·거래소에서 거래 거 래 방 법 ·당사자 간의 직접거래 ·결제소가 개입 계 약 조 건 ·당사자 간의 합의로 결정 ·계약조건이 표준화되어 있음 증 거 금 ·증거금 제도 없음 ·증거금제도 있음 결 제 방 법 ·대부분 만기일에 현물인도 또는 현금결제 ·일일정산이 이루어지며 만기일 이전에 반대거래로 청산가능 거래상대방 위험 ·계약불이행위험 존재 ·결제소에서 계약이행 보증
9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상품선물과 금융선물 [표 3-2] 선물의 종류
농·축산물 선물 : 밀, 콩, 옥수수, 가축 등 금 속 선 물 :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에 너 지 선물 : 석유, 천연가스 등 금융선물 통 화 선 물 : 유로, 엔, 파운드, 달러 등 금 리 선 물 : 유로달러, T-bill, T-bond 등 주가지수선물 : S&P 500, Nikkei 300, KOSPI 200 등 개별주식선물 : 3M, MS, Intel 등
10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표 3-3]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의 종류 구 분
구 분 상품종류 거래시작일 통화선물 달러(미국) 선물 엔(일본) 선물 유로(유럽연합) 선물 1999년 2006년 4월 5월 23일 26일 금리선물 CD금리 선물 국채(3년 만기) 선물 통안증권 선물 국채(5년 만기) 선물 2002년 2003년 9월 12월 8월 29일 10일 22일 주가지수 선물 KOSPI 200 선물 스타지수 선물 1996년 2005년 11월 3일 7일 주식선물 15개 개별주식 2008년 6일 상품선물 금 선물 돈육 선물 7월 21일
11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표 3-4] 2007년 거래량 기준 세계 10대 금융선물과 거래소
순위 상품명 거래량(계약) 거래소 웹 사이트 1 (3개월)유로달러선물 621,470,328 CME 2 E-mini S&P 500 선물 415,348,228 Eurex 3 (10년)T-note선물 349,229,371 CBOT 4 Euro-Bund 선물 338,319,416 5 DJ Euro Stoxx 50 선물 327,034,149 6 One Day Inter-Bank Deposit 선물 221,627,417 BM&F 7 (3개월)Euribor선물 221,411,485 Euronext.Liffe 8 TIIE 28선물 220,608,024 Mexder 9 Euro-Schatz선물 181,101,310 10 Euro-Bobl선물 170,909,055
12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표 3-5]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선물상품별 거래규모 상품종류
(단위 : 계약) 상품종류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금 선물 56,998 969 - 387 달러선물 엔 선물 유로선물 1,506,123 2,090,291 2,667,005 3,104,641 24,284 29,124 5,229,744 254,425 167,456 CD금리선물 국채(3년 만기)선물 통안증권선물 국채(5년 만기)선물 10,285,041 207,209 171,538 7,352,307 2,621 61 11,223,244 3,308 567 201 10,343,605 414 3,279 13,032,852 100 KOSPI 200선물 스타지수선물 62,204,783 55,608,856 43,020,684 98,267 45,612,214 85,689 46,862,948 21,775
13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KOSPI 200 선물
주가지수선물(stock index futures)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전체 또는 일부 주식의 가격수준을 나타내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거래를 말함 주가지수에 일정금액을 곱하여 인위적으로 가치 부여 KOSPI 200 선물의 경우 지수 1포인트당 500,000원의 가치가 부여됨 최종결제일의 현물가격에 상당하는 현금으로 현물인도를 대신하는 현금결제 방법으로 거래를 청산함
14 제 2 절 선물거래의 성격과 종류 2. 선물거래의 종류 [표 3-6] KOSPI 200 선물의 시세표 2008년 10월 22일
(단위 : 포인트, 계약, 백만 원) ① 종목 ②종가 (현재가) ③대비 ④시가 ⑤고가 ⑥저가 ⑦거래량 ⑧미결제 KOSPI 200 F 145.50 ∇11.20 157.20 157.75 143.60 448,502 118,682 KOSPI 200 F 146.50 ∇10.50 157.45 143.50 571 4,443 KOSPI 200 F 149.20 ∇13.80 0.00 346 KOSPI 200 F ∇12.20 1 16
15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선물 거래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시간대(time line)와 사용할 기호
시점(τ) : 0(계약시점) t(중간시점) T(만기시점) ☞ S : 현재의 선물가격 ST : 만기일의 선물가격 F : 현재의 선물가격 ST : 만기일의 선물가격 r : 현재부터 만기일 사이에 적용되는 연 무위험이자율
16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1. 선물가격의 특성 [그림 3-1]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움직임의 예 가격 F0 S0 t
t T Ft FT=ST S : 현물가격 F : 선물가격 시간 베이시스
17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1. 선물가격의 특성 선물가격과 현물가격 사이의 관계
만기 이전의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은 같지 않지만, 만기일에 두 가격은 같게 되는데, 이를 수렴의 법칙(convergence property)이라고 한다.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은 같은 방향으로 밀접하게 움직인다.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실제나 이론 상으로 사실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18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2. 베이시스와 스프레드 베이시스(basis)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
시간이 경과하여 만기일에 가까워지면 베이시스는 점점 작아지고 만기일에는 수렴의 법칙에 의해 0이 됨 스프레드(spread) 만기가 긴 원월물(distant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futures)의 선물가격과 만기가 짧은 근월물(nearby futures)의 선물가격의 차이 시간에 따라 변동하지만 변동폭은 선물가격이나 현물가격의 변동폭보다 작음
19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3. 선물거래의 수익 만기일(τ=T )에서의 선물포지션의 수익
매입포지션의 수익 = 만기일의 현물가격(ST ) – 계약시점의 선물가격(F) 매도포지션의 수익 = 계약시점의 선물가격(F)- 만기일의 현물가격(ST) (3.1) (3.2) [그림 3-1] 만기일에서 선물포지션의 수익 수익 매도포지션 매입포지션 선물가격 만기일의 선물가격 45◦
20 제 3 절 선도·선물 거래의 수익 3. 선물거래의 수익 만기(τ=T ) 이전에서의 선물포지션의 수익
매입포지션의 수익 = t시점의 선물가격(Ft ) – 계약시점의 선물가격(F) 매도포지션의 수익 = 계약시점의 선물가격(F)- t시점의 선물가격(Ft) (3.3) (3.4) 매입자와 매도자의 손익을 더하면 항상 0이 됨 선물거래는 본질적으로 영합게임(zero sum game) 예제 3-1 참조
21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참여자 선물거래소(futures exchange)
[그림 3-3] 선물시장의 조직 결제소 거래소 회원 선물중개회사 투자자 거래소 선물거래소(futures exchange) 거래규칙의 제정, 선물상품의 개발, 장소의 제공 등을 통해 거래의 운영효율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함
22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참여자 투자자 거래동기에 따른 분류
투기자(speculator) : 장래의 가격변동을 예측, 위험을 감수하고 시세변동에 따른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기거래를 하는 투자자 헤저(hedger) :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현물)의 가치하락 또는 앞으로 매입할 예정인 상품의 가격상승에서 오는 위험을 없애기 위하여 선물을 이용하는 투자자 차익거래자(arbitrageur) : 선물의 시장가격이 균형가격에서 이탈 할 때 자기자금과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 차익을 얻으려는 투자자
23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참여자 거래스타일에 따른 분류
스캘퍼(scalper) :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발생하는 선물가격의 작은 변동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고자 하는 초단기 투자자로 보통은 거래 후 몇 분 이내에 자신의 포지션을 청산함 일일거래자(day trader) : 보통 거래 후 하루 정도의 기간에 포지 션을 청산하는 투자자로, 스캘퍼와 비슷하게 단기투자를 하지만 그들에 비해 좀 더 오랫동안 포지션을 보유하는 투자자 포지션거래자(position trader) : 시장의 큰 흐름을 이용하여 이익 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로, 자신의 포지션을 몇 주 또는 몇 달씩 유지하며 시장상황이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바뀌기를 기다림
24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참여자 선물중개회사(futures commission merchant : FCM)
투자자와 거래소회원들 사이에서 중간자(또는 브로커) 역할 담당 투자자의 대리인으로 거래주문을 넣어주고 증거금계좌를 관리하 며, 이에 대한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받음 결제소 모든 선물거래에 있어 매입자에게는 매도자가 되어 주고 매도자에게는 매입자가 되어줌 선물거래자는 거래상대방을 직접 찾아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계약불이행위험을 피할 수 있음
25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참여자 그 결과, 선물거래의 시장성이 높아지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 하는 균형수준에서 선물가격이 보다 쉽게 결정될 수 있음 일일정산제도와 증거금계좌를 통하여 선물거래의 이행을 보증하는 역할을 담당함 거래자가 반대거래를 통하여 선물거래의 의무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해줌 예) 투자자가 선물을 매입한 후 만기 전에 이를 청산하고 싶을 경우, 선물을 매도하여 거래이행의 의무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 결제소와 주고 받을 대금과 물건이 서로 정확히 상쇄 되기 때문임
26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1. 선물시장의 참여자 [그림 3-4] 결제소의 역할 (a) 선도거래 : 결제소가 없는 경우
대 금 매입자 매도자 (a) 선도거래 : 결제소가 없는 경우 (b) 선물거래 : 결제소가 있는 경우 대 금 대 금 매입자 결제소 매도자 상 품 상 품
27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2. 거래계좌의 개설과 주문 거래계좌
거래소의 회원은 거래 및 결제를 위하여 선물거래소에 자신의 계좌를 설정 종 류 : 자기계좌, 시장조성계좌, 수탁계좌 및 임시계좌 등 매수 및 매도 주문 단일 /복수 종목 모두 가능 지정가 주문(limit order) 시장가 주문(market order) 역지정가 주문(stop order)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28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3. 선물거래의 청산과 미결제약정 수량 선물거래의 청산
거래 후 만기일 전 언제든지 처음의 거래와 반대되는 거래를 통하 여 거래를 청산할 수 있음 만기일에 거래를 이행하는 방법 현물인도(actual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delivery) : 만기일에 실제로 기초자산을 인도 하고 대금을 결제함으로써 계약을 청산하는 방법 현물인도조건은 만기일의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이 일치하도록 하여 선물시장의 효율성을 강화시켜 줌 최종거래일에 현물의 인도가 실제로 이루어지는 거래물량 은 1~3%에 불과함
29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3. 선물거래의 청산과 미결제약정 수량 만기일에 거래를 이행하는 방법
현금인도(cash delivery)(=현금결제(cash settlement)) : 현물 인도 없이 선물가격과 만기일의 현물가격의 차액을 정산하고 거래를 청산하는 방법 EFP(exchange for physicals) : 현물의 품질이 계약조건에 맞지 않거나, 인도장소나 인도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현물인 도가 어려운 경우, 매입자와 매도자가 새로운 인도장소와 인 도가격에 합의하여 현물을 매매한 후 이 거래를 거래소에 보고하고 거래소의 허락을 받아 각자의 선물포지션을 청산하는 절차 → EFP시장은 거래조건의 변경을 가능케 하고 거래소가 폐장한 경우에도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거래의 유동성을 높여줌
30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3. 선물거래의 청산과 미결제약정 수량 미결제 약정 수량(open interest)
청산되지 않은 선물의 계약수 [표 3-7]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의 계상 t1 t2 t3 T A : 매입 2 C : 매입 3 B : 매입1 D : 매입 2 B : 매도 2 D : 매도 3 E : 매도1 A : 매도 2 2 3 1 5 거 래 량 : 미결제약정수량 :
31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3. 선물거래의 청산과 미결제약정 수량 표 3-7의 시점별 분석 시점 0 시점 t1 매입포지션
매도포지션 미결제약정수량 A B 2계약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시점 t1 매입포지션 매도포지션 미결제약정수량 A B 5계약 C D
32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시점 t2 시점 t3 매입포지션 매도포지션 미결제약정수량 A B : 청산 5계약 B C D E
3계약 D : 청산 C D E
33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4. 일일정산과 증거금제도 일일정산(daily settlement or marking to market) 매일매일의 가격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을 기록하는 과정 일일정산제도로 인해 투자자는 만기일 뿐 아니라 만기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전에도 반대거래를 통해 손익을 실현함으로써 거래를 청산할 수 있음 → 선물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함 증거금(margin) 일일정산을 원활하게 하고 선물거래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하여, 선물의 매입자와 매도자는 거래소에 현금 또는 현금등가물로 증거금을 예치하여야 함
34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4. 일일정산과 증거금제도 예제 3-2, 예제 3-3 참조 [그림 3-5] 일일정산과 증거금 거래일
추가증거금요구 변동증거금 인출 개시증거금 유지증거금 거래일 예제 3-2, 예제 3-3 참조
35 제 4 절 선물시장의 구조 5. 가격제한폭과 거래중단제도 가격제한폭 선물상품별로 하루 중 변동할 수 있는 가격의 최대등락폭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이 일정 비율 이상 급변하는 경우 일정시간 매매거래를 중단시키는 제도 종 류 :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 사이드카(sidecar)
36 제 3 장 선도·선물 거래의 개요 중요용어 선도거래 forward 계약불이행위험 default risk
현물인도 actual delivery 반대거래 offsetting trade 금융선물 financial futures 금리선물 interest rate futures 개별주식선물 single stock futures 스프레드 spread 베이시스 basis 매도포지션 short position 선물거래소 futures exchange 차익거래자 arbitrageur 헤저 hedger 스프레드거래자 spreader 일일정산 daily settlement 증거금 margin 유지증거금 maintenance margin 마진콜 margin call 사이드카 sidecar 선물거래 futures 거래상대방위험 counterparty risk 현금결제 cash settlement 상품선물 commodity futures 통화선물 currency futures 주가지수선물 stock index futures 선물가격 futures price 수렴의 법칙convergence property 매입포지션 long position 영합게임 zero-sum game 결제소 clearing house 선물중개회사 futures commission merchant 투기자 speculator 스캘퍼 scalper 미결제약정수량 open interest 개시증거금 initial margin 변동증거금 variation margin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s
선물 거래의 목적은 크게 '투기'(speculation)와 '위험관리'(hedging)로 구분됩니다. 선물시장에서 투기자들은 시장 유동성을 제공해 위험 관리자로 하여금 미리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투기적 시각에서 선물은 레버리지 효과(지렛대 효과)로 인해 상황이 좋으면 높은 수익률을, 상황이 나쁘면 큰 손실을 초래합니다. 주식투자의 경우 100%의 자금이 투입되는데 비해 주식 선물의 경우 대략 계약원금의 18%만 개시증거금으로 납입하고 거래합니다. 주식선물거래의 레버리지 효과는 여타 거래비용이 없다는 가정 하에 약 5.5배(=1/0.18)에 달합니다. 동일한 가격변동에 있어서 선물거래는 현물거래에 비하여 약 5.5배 이익 또는 5.5배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말입니다.
선물가격은 현물가격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여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선물거래를 통하여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령 양돈생산업자는 양돈(기초자산)가격의 하락에 따른 손실위험을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양돈 출하시기에 맞추어 만기가 되는 돈육선물을 미리 매도하여 가격하락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하시기에 양돈가격이 폭락하더라도 이미 돈육선물을 높은 가격에 팔아 얻은 이익으로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매도헤지'라고 합니다. 반대로 돼지고기 가공업자의 경우 돈육가격의 급등에 따른 손실 위험을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돈육 선물을 미리 사들이면 돼지고기 값이 급등하더라도 선물시장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시세급등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를 '매수헤지'라고 합니다.
실제 선물시장가격과 이론 선물시장가격이 일정 수준(차익거래불가영역)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익거래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가지수선물의 경우 일시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해 실제 선물가격이 이론 선물가격보다 월등히 높다면 주식바스켓(주가지수와 동일하게 움직이는 주식 포트폴리오)을 매입하고, 동시에 주가지수선물을 매도하면 됩니다. 이를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매수차익거래'라고 하는데, 시장이 정상적으로 환원되거나 만기가 되면 반대매매(주식바스켓은 매도하고 주가지수선물은 매입)로 이익을 실현합니다. 여기서 주식바스켓을 주문할 때 프로그램을 사용하므로 차익거래를 '프로그램매매'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실제 통계로 산출되는 프로그램매매는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로 구분됩니다.
다른 종류의 선물 두 가지나 같은 종류의 선물 중 만기가 다른 두 종목 가운데 하나는 매입하고 다른 하나는 매도하는 '스프레드 거래'로 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가령 4월 말 현재 코스피200 선물 스프레드 거래의 선물거래 유형(헤지거래) 경우 6월물은 매도하고 9월물은 매입하는 '매입 스프레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한달 뒤 스프레드가 커지면 이익을, 스프레드가 작아지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두 종류의 선물을 동시에 매입하고 매도하는 거래이므로 한쪽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다른 쪽에서 이익을 얻게 됩니다.
투기거래와 차익거래, 스프레드 거래는 이익을, 헤지거래는 위험 관리를 위하여 선물거래를 합니다. 선물은 기본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기초자산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익만을 얻기 위해서 선물거래를 하려면 선물시장과 상품 그리고 거래기법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요합니다.
일상의 오르빗슈
선물계약(Future Contract)이란 장래의 일정한 시점(결제일)에 인수도하기로 하고 품질, 규격, 수량 등이 표준화 되어 있는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현재(계약체결시점)에 정한 가격에 사고팔기로 한 계약으로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계약이다. 이 계약의 결제일 이전에 반대매매를 행하거나 그 계약의 결제일에 현물에 대한 인수도를 행함으로써 그 계약을 이행하게 되는 거래 형태를 선물거래(futures trading)라고 한다. 선물거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현물의 불확실한 가격변화에 대하여 선물시장에서 반대 포지션을 취함으로서 가격변동위험을 축소시키는 거래로 현물시세가 유리하게 변동하여 이익을 본 경우는 선물거래의 손실로 현물거래의 이익을 상쇄하고, 현물시세가 불리하여 손실이 되었을 때는 선물거래의 이익으로 손실을 상쇄시키는 것이다.
현물의 보유와 관계없이 장래의 선물가격변동을 예측하여 선물계약을 매도 또는 매입하여 시세변동에 따라 잠재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로 증거금만으로 거래가 가능하며, 선물시장의 유동성을 중대시켜 헤저(Hedger)들에게 선물시장을 이용하여 위험관리를 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선물시장과 현물시장간의 가격불균형을 이용하여 선물과 현물을 같이 매매하여 위험부담 없이 이익을 얻으려는 거래로, 선물가격은 현물가격에 기초하여 형성되어 선물과 현물의 가격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되지만, 때론 양 가격의 차이가 일시적으로 이론적인 가격 차이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매입하고 가격이 높은 것을 매도하여 정상적인 가격수준으로 되었을 때 반대 매매하여 이탈된 가격차이만큼에 이익을 얻는 거래이다.
거래상품은 같으나 결제월이 서로 다른 선물계약인 시간 스프레드와 거래상품은 다르지만 가격 움직임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결제월이 같은 선물계약인 상품 스프레드의 가격관계를 이용하여 손실을 최소화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거래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