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는 주문수탁제도의 변화입니다. 비공식서비스였던 DMA가 주문수탁제도가 바뀌면서 공식서비스로 탈바꿈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매매서비스였습니다.
둘째는 자동매매와 알고리즘매매의 확대입니다. 화면을 이용하여 손매매를 하던 방식에서 기계와 논리에 의한 자동매매로 바뀌는 흐름에 부응하기 위한 매매서비스였습니다.
키움증권 영웅문S 주식 자동매도와 스탑로스
얼마 전에 알았는데요. 키움증권 영웅문 S 주식 자동 매매도 되고, 스탑로스도 되더군요.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식 자동 매매 기능과 스탑로스 기능이 없어 매우 불편했었습니다. 최근까지도 집에 있는 스탑로스 가능 컴퓨터를 자동 부팅 되게 설정해 놓고 구글의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여 주식 자동 매매 설정을 확인하고 스탑로스 설정을 했었습니다. 쬐만한 스마트폰 화면으로 컴퓨터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어하느라 정말 힘들었는데요. 이젠 맘 편히 주식 거래할 수 있게 되었네요. 이걸 왜 이제야 할게 되었는지 에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주식 자동 매도와 스탑 로스(stop loss)를 설명하자면, hts에는 주식 자동 매매 기능이 있습니다. 영웅문에서는 0621 주식 스탑로스, 0311 주식 스탑 주문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얼마에 구입하고, 보유한 주식을 얼마에 팔아라라고 설정하면 hts가 설정한 값을 가지고 자동으로 매매합니다. 매수/매도 가격 등을 잘 설정해 놓으면 hts가 알아서 이익을 내는 것입니다. 주식 자동 매도 설정에 손절 단가를 설정해 놓으면 자동으로 손절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영웅문에서 0622 선물 옵션 스탑로스, 0522 선물옵션 스탑주문 등의 선물 옵션 자동 매매 기능도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mts인 영웅문S에는 주식 자동매도와 스탑로스 기능이 없었습니다. 몇 년 전까지는 말입니다. 언제 기능이 추가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영웅문 S에 주식 자동 매매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주식 자동 매매 기능에 스탑로스 옵션도 있기에 스마트폰으로도 주식을 자동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보유 종목의 손절 가격 또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영웅문S 자동 감시 주문
하단 좌측의 영웅문S를 누릅니다. 메뉴가 열리면 주문 하위의 자동 감시 주문으로 진입합니다.
주문 메뉴에 보면 상단 우측에 자동 감시 주문이 있습니다. 이 자동 감시 주문으로 진입하여도 됩니다.
주식 자동 감시 주문 사전 이용 동의가 열리면 내용을 확인한 후 동의 버튼을 꾸욱 눌러줍니다. 참고로 이용 동의 내용 보기 버튼을 누르면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좌 비밀 번호 저장 화면이 열리면 주식 계좌 비밀 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계좌 비밀 번호를 저장하면 자동 매매 기능이 활성됩니다. 보는 것과 같이 자동 매매는 자동 매도와 자동 매수로 구분됩니다. 자동 주문 매도 설정에서는 매도 설정만 할 수 있습니다. 자동 매수 설정을 하고 싶다면 자동 매수 감시로 진입하면 됩니다.
자동 매도/매수 화면 상단 좌측의 유의 사항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유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독 및 숙지 후 자동 매도 기능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자동 매도 및 스탑로스 설정
자동 매도 화면 상단 우측의 매도 조건 추가 버튼을 누르면 계좌 잔고가 나타납니다. 잔고에서 주식 종목을 선택하면 감시 조건 설정 화면이 열립니다. 간편 설정 자동 주문 매도 설정이 열릴 것인데요. 감시 조건 설정 화면 상단 우측 간편 설정 버튼을 누르면 일반 설정으로 전환 됩니다.
자동 주문 매도 설정에서는 3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익 실현 옵션만 사용하면 자동 매매(매도/매수)가 됩니다. 이익 보존 옵션은 목표 가격까지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미리 설정해 놓은 가격에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예로 주당 1,000원 짜리 주식을 1,100원에 이익 실현가로 설정하고, 이익 보존 가격을 1,050원으로 설정하면 1080원까지 올라갔다 하락하더라도 1,050원에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50원의 이익을 보존하는 것이죠.
손실 제한 옵션은 스탑로스입니다. 스탑로스는 손절 기능입니다. 손실 제한 옵션(스탑로스)를 이용하면 주식이 하락할 때 추가 하락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한 단가까지 하락하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내어 손절합니다. 예로 주당 1,000원 짜리 주식을 손실 제한 가격을 950원으로 설정하면 해당 가격 도달 시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5%에서 손절하게 되는 것이죠.
이익 실현 단가, 이익 보존 단가, 손실 제한 단가를 설정한 후 스탑로스 가능 매도 조건 저장을 누른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설정한 매도/매수 설정 확인 창이 열립니다. 자동 매매는 최대 90일까지만 유효합니다. 최소 세 달에 한 번은 자동 매매 설정을 다시 해주어야 합니다.
참고로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서는 손실 제한(스탑로스) 옵션은 주의해서 설정해야 합니다. 아무 이유 없이 쭉 밀렸을 때도 홀랑 매도 주문을 내버리니까요.
매도 조건 설정확인 창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동 주식 자동 매매 설정이 저장됩니다. 이 스탑로스 가능 때 원한다면 조건 만족 시 동일 종목 미체결 취소 후 감시 주문 실행 옵션을 체크하여도 됩니다.
주식 자동 매도
이익 실현 옵션만 이용하여 설정을 하면 위와 같이 해당 주식의 자동 매도 설정이 됩니다. 설정한 단가에 도달했을 때 설정한 가격으로 자동 매도 주문을 냅니다. 주문 가격을 현재가로 설정하면 현재가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자동 매도 설정을 하였더라도 자동으로 주식을 매매하지 않습니다. 자동 매도 설정한 후에는 반드시 목록에서 중지 버튼을 한번 눌러 감시중으로 활성 시켜줘야만 자동 매매가 시작됩니다. 최소 하루에 한 번 장 시작할 때 확인한 후 감시가 중지 상태라면 감시 중으로 활성 시켜주어야 합니다.
웹법사의 마법서재 블로그의 애드센스 수익금을 1년 넘게 모았는데요. 참 그렇더군요. 금액이 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스탑로스 가능 작은 금액도 아니고. 6월 말에 보니 국내 증시가 바닥 찍고 반등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주식으로 좀 불려볼 요량으로 50 : 50 비율로 돈을 추가하여 증권 연계 계좌를 하나 개설해 주었습니다. 어찌 들어가자 마자 다시 꼬구라지는 것인지 에혀~ 위의 잔고 보시면 아시겠지만 암울합니다~ 비중 50%인 제주항공이 추락하기 일보 직전이네요. 뭐 언젠가는 좋아지겠죠~ 모두 성투하십쇼. 끝~
스탑로스 가능
주식자동주문기능에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스탑로스 기능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동감시 기능입니다.
얼핏보면 두 기능 모두 자동으로 설정한 시세를 감시하여 매수와 매도를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일한 기능처럼 볼 수 있는데 두 가지의 성격은 약간 다릅니다.
스탑로스는 매도 전용 기능으로 사용하고 자동감시 기능은 매수와 매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최대한 손절을 하지 않는 투자가 진정 성공적인 투자이지만 신이 아닌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리고 개미투자자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주식을 하면서 손절은 언젠가는 반드시 해야하는 스탑로스 가능 상황이 옵니다.
특히 단타 매매를 중점적으로 하는 투자자라면 하루에도 몇 번씩 손절을 해야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단타 매매 중에서도 고점 돌파 매매를 주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손절가를 설정해두지 않고 대응한다면 순식간에 -50% ~ 60%에 달하는 거대한 하락을 경험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만약 고점을 돌파하여 상한가에 따라들어갔다고 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그리고 간혹 그런 종목은 눈에 띄곤 합니다.
물론 저런 돌파 매매를 할 때에는 HTS를 잘 보고 있다는 가정이 있기 때문에 직접 손절을 하면 되겠지만 만약 고점 돌파 후 상한가에 안착한 후 직장인이라서 혹은 자영업을 하면서 잠시 일이 생겨 자리를 비울 경우 그 시간동안 어떠한 변화가 생길지 모르는 일입니다.
급작스럽게 상한가에 쌓여있던 매수물량들이 순식간에 매도물량으로 전환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경우 대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복귀하는 순간 계좌의 주식은 -??%를 기록하고 있을겁니다.
이제 이러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무기를 소개합니다.
▷주식자동주문 신청/해지
주식자동감시 기능도 그렇고 스탑로스 기능도 그렇고 두가지 기능을 이용하시려면 먼저 "주식자동주문 신청/해지"를 먼저 신청해주셔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HTS메뉴 중 "주문/체결 > 주식자동주문 > 주식자동주문 신청/해지" 로 접근하셔서 신청하셔도 되고 아니면 아래 그림처럼 접근하셔도 됩니다.
주식자동주문 신청/해지 접근하기
아래는 주식자동주문신청/해지 스탑로스 가능 화면이며 "등록"을 선택하고 신청을 누르시면 됩니다.
주식자동주문신청
주식자동주문에 대한 고객 동의서입니다.
중요한 내용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매매 대상종목은 스탑로스 가능 코스피, 코스닥, ETF, ELW, ETN이다.
- 자동매매는 정규장에만 감시한다.
- 조건설정은 24시간 가능하다. (단, 전산작업 및 전산 결제작업[23:50~01:10] 시간에는 불가)
- 자동주문은 20건만 등록 가능하며 감시 조건의 유효기간은 최대 90일(공휴일 모두 포함)이다.
- HTS의 실행여부와 상관없이 감시조건과 주문설정 정보는 스탑로스 가능 서버에 저장되어 감시를 유지하므로 취소하시려면 반드시 삭제를 하시거나 감시를 종료한 후 HTS를 종료해야한다.
- 시스템 오류, 거래소간 시세 지연 상황, 장애발생으로 인한 책임에 대한 보상은 보장하지 않는다.
- 주문가격을 시장가 매수로 설정 시, 주문생성시점의 상한가를 기준으로 주문가능금액이 산정되므로 예수금 부족이 발생되어 주문이 거부될 수 있다.
- 권리락, 배당락, 액면분할, 액면병합, 감자, 재상장 등의 사유로 해당 종목의 기준가 변경 시 주식자동주문 기능이 자동 중지처리된다.
▷주식자동조건감시
주식자동조건감시 기능은 매수와 매도를 원하는 감시 조건에 도달 시 주문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를 하는 기능입니다.
주식자동조건감시
위와 같이 감시 조건을 설정하게 되면 조건에 만족할 때 주문 설정에 따라 매수를 하게 됩니다.
감시조건을 설정하고 주문 설정을 걸어두었습니다.
"현재가가 4,300원이상"인 경우 "주문가격 4,250원에 주문수량 100%를 매도하라"
"현재가가 3,800원이하"인 경우 "주문가격 3,900원에 주문수량 1000주를 매수하라"
아직까지는 상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감시전" 상태입니다.
설정된 감시조건
실제 실행을 체크하여 감시중으로 전환해야 실제 감시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HTS를 꺼도 설정된 유효기간까지 작동하게 됩니다.
상태가 "감시중"으로 변환되었습니다.
감시조건실행
▷주식자동스탑로스
주식자동스탑로스는 크게 이미 보유한 잔고로부터 청산하는 기능과 신규 매수되어 편입되는 잔고를 감시하여 청산하는 기능으로 나뉘어집니다.
작동 원리는 동일하나 기존 보유종목이냐 새로 매수된 종목이냐가 다른 점입니다.
기존 보유한 종목의 손절을 위해 손실제한/이익실현/TS조건을 체크하고 주문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 TS조건 : 트레일링 스탑(Trailing Stop)조건으로 "이익보존 매도주문"이라고 정의합니다. 이익이 발생한 상태에서 고점대비 일정수준의 하락이 이루어지면 당시 시점까지 발생한 이익을 보전하기 위하여 고점대비 일정수준까지 주가가하락하면 매도 주문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자동스탑로스는 자동매매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손절매도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이라고 보입니다.
만약 매매를 자동으로 하시길 원한다면 위에서 설명했던 자동감시기능을 사용하시는 것이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주식자동스탑로스
▷자동등록내역과 자동주문내역
자동등록을 이용한 내역을 일자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자동감시기능을 통해 매매된 내역은 자동주문내역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자동등록내역
이상으로 간단하게나마 바쁜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들처럼 HTS를 오래도록 지켜보지 못하는 투자자들이나 손절을 잘 하지 못하는 인간의 감정때문에 늘 손실을 보는 경우 기계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기능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용해보시고 자동매매의 힘을 빌어 나쁜 습관은 고쳐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스탑로스 가능 하고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원칙을 세우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스탑로스 가능
1.
ZeroAOS는 두가지를 배경으로 하여 만들었습니다.
첫째는 주문수탁제도의 변화입니다. 비공식서비스였던 DMA가 주문수탁제도가 바뀌면서 공식서비스로 탈바꿈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매매서비스였습니다.
둘째는 자동매매와 알고리즘매매의 확대입니다. 화면을 이용하여 손매매를 하던 방식에서 기계와 논리에 의한 자동매매로 바뀌는 흐름에 부응하기 위한 매매서비스였습니다.
물론 위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는 매우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화면에서 이루어지던 HTS 자동주문를 HTS 서버자동주문으로 바꾼 서비스입니다. 서버자동주문은 HTS 클라이언트에서 제공하던 자동주문을 HTS 서버에 실행하도록 발상의 전환을 한 서비스입니다. 조건을 저장하고 저장된 조건에 따라 시세를 감시하고 지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성한 것입니다. 서버자동주문은 대부분 아래와 같은 화면과 짝을 이룹니다.
서버자동주문은 적용한 대표적인 서비스가 손절매(Stop-Loss)입니다. 가장 많은 투자자들의 이해를 반영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물론 다른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신영증권이 만든 D-eOS의 서버자동매매입니다. 양매도,양매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서비스입니다.
2.
HTS 서버자동주문은 HTS의 확장입니다. HTS나 HTS 서버자동주문은 공유서비스(Shared Service)입니다. 다수의 이용자들이 하나의 시스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개발, 유지보수에서 강점을 가질 수 있지만 다양성에서 한계를 가집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서버자동주문은 특정한 방식의 주문만을 제공합니다.
물론 다양성을 보완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특화주문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제공하고 있는 DMA나 API 혹은 Tradestation이나 Multichart와 같이 Script Language를 기반으로 트레이딩도구입니다. 이중 서버자동주문과 유사한 서비스가 DMA입니다. DMA의 약점은 투자자가 DIY를 하여야 합니다. 구매를 하든, 직접 개발을 하든 매매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스스로 준비하여야 합니다. ZeroAOS는 투자자가 생각하는 전략만을 스스로 혹은 외주로 개발할 수 있고 나머지는 플랫폼형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현재와 같은 기술적인 구조를 가지는 서버자동주문으로 자동매매를 원하는 다양한 투자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DMA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라고 권유하기에는 투자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 높습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서비스를 구성하여야 할까요? 저는 ZeroAOS와 HTS를 통합하는 방안을 생각해봅니다.
현재 ZeroAOS는 ZeroTerminal과 ZeroTerminal Server간의 통신으로 자동매매가 이루어집니다. 물론 전제는 자동매매를 위한 전략을 사전에 만들어 서버에 등록하여야 합니다. 대부분 HTS 서버의 핵심은 HTS미들웨어입니다. 실시간부터 조회처리까지를 담당합니다. HTS와 통합하고자 하면 HTS 미들웨어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가능합니다. 이를 그림으로 그리면 이렇습니다.
현재 ZeroAOS는 전략을 프로세스로 관리합니다. 물론 전략에 따라 내부적으로 Thread방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 99개까지 전략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보통 오백만원정도의 리눅스서버를 사용하기때문이고 Latency를 고려한 결정입니다. 필요에 따라 늘리는 것은 가능합니다.
가 가능합니다. VIP서비스일 수 있고 스탑로스 가능 특화주문서비스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수수료는 차별화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채널관리가 가능합니다. 맞춤서비스이므로 서버의 전략과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개발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ZeroAOS를 증권사와 서비스를 하였을 때 한 명의 개발자가 담당하였습니다.
스탑로스 가능
계좌 잔고에 있는 종목의 수익률이 하락 중인데 매도(손절) 버튼을 못 누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약 손절은 정말 중요합니다. 자신의 시드와 시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영웅문 HTS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 스탑로스 가능 0624 ' 를 입력합니다 .
주식 자동감시주문이라는 창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
빨간색 네모칸 에 있는 ' 잔고편집 자동매도 ' 를 클릭하세요.
위와 같은 화면으로 바뀝니다 .
[ 기준가대비 ] ' 손절가 퍼센트를 임의로 지정하세요 . 저 같은 경우는 3% 로 설정합니다 .',
[ 시장가 ] ' 체크 ', ※시장가로 체크하는 스탑로스 가능 이유는 주가가 급락 발생 시 매도 체결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 주문수량 ] ' 매도가능수량 100% ', ※저는 위와 같이 설정을 합니다. 임의로 지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조건추가 ] 버튼을 클릭합니다 .
위와 같이 감시조건이 추가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자동감시 작동 중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잔고편입 자동매도 ] 를 위와 같이 사용하시면 임의의 종목이 매수 체결이 되면 자동으로 위에 설정한 조건으로 [ 보유종목 자동매도 ] 의 감시 조건이 생성되면서 자동 감시가 작동합니다 . 매수 체결된 종목이 3% 하락을 하면 시장가로 매도가 됩니다 .
영웅문 스탑로스 [키움증권 스탑로스]
제가 주식을 시작한지 거의 6년이 다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오랜 기간동안 많은 매매를 해봤는데 아직까지도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는 못했습니다. 요즘에는 한달에 대략 10~20개 정도의 종목을 매매하고 있는데요, 단타 위주이기때문에 보통은 하루에서 이틀내로 모두 매도가 완료됩니다. 하루종일 HTS를 보고있는것이 싫어서 매수 스탑로스 가능 후에는 자동으로 매도가 되도록 스탑로스를 걸어두는데요,
오늘은 여러분들께도 키움증권 스탑로스 또는 영웅문 스탑로스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HTS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해줍니다.
계좌를 개설하고 회원가입을 하고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과정까지 말씀드리면 내용이 너무 길어지기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영웅문을 실행하면 창의 상단 좌측에서 원하는 창을 열 수 있도록 검색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식 자동감시주문] 또는 [0624]를 입력하여 창을 하나 열어줍니다. 보유종목 자동매도, 신규종목 자동매수, 잔고편입 자동매도가 있는데 저같은 경우에는 앞에 두가지만 사용합니다.
자동매수를 거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설정 기준인데요, 매수를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고 가격설정을 합니다. 트레일링 스탑주문은 주가가 매수범위에 들어와도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매수되도록 설정하는 것인데 저는 거의 사용을 안합니다. 주문종류와 가격, 수량,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조건추가] 버튼을 눌러서 감시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자동매도를 거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역시나 트레일링 스탑이 있는데요, 제가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기때문에 넘어가겠습니다. 스탑로스의 경우 보유한 종목이 특정 가격에 도달하거나 하락할 경우 자동으로 매도되도록 합니다. 이익실현, 이익보존, 손실제한을 설정할 수 있고 주문종류와 가격 및 수량과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탑로스를 걸어놓으면 HTS를 종료해도 유효하기때문에 날짜설정만 잘 해놓고 매도가 될때까지 신경쓰지 않아도 돼서 좋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