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ral Caucus & Strategy 세션에서 만나요?
25년 이상 동안 연례 Rural Caucus & Strategy Session은 농촌 조직가와 지역 사회 지도자들이 주 전역에서 함께 모이는 공간이었습니다. 우리는 일 년에 한 번 모여 이야기와 기술을 공유하고, 관계와 분석을 구축하고, 오레곤의 시골과 작은 마을에서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한 운동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합니다. 올해 우리는 6월 3일 토요일 마드라스에서 모이며 귀하의 카운티를 강력하게 대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6월 3일 토요일 Rural Caucus & Strategy Session과 6월 4일 일요일 Rural Organizing Institute에 참여하세요! 온라인 등록을 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만약 당신이 Caucus에 가본 적이 없거나 우리가 당신을 본 지 몇 년이 되었다면, 올해가 우리와 함께할 해입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의 농촌 지역 사회는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주의, 지역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결집 및 조직되었습니다. 2017년에 우리는 우리의 결의를 강화하고 놀라운 저항을 구축했습니다. 우리는 거리로 나가 우리 지역 사회가 의존하는 것처럼 시청을 가득 채웠습니다. 지금은 장기적으로 회복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우리가 함께 모여 전략을 세워야 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수십 년 동안 시골 사람들은 증가하는 양극화와 친구와 이웃의 희생양에 직면하여 온도를 낮게 유지하고 지역 사회를 연결했습니다. 일부 국가적 대화는 현재의 정치적 현실에 대해 우리 커뮤니티를 비난하지만, 우리는 깊은 관계 구축, 비판적 사고, 서로의 필요 충족, 함께 빵 나누기 및 축하와 같은 농촌 전통을 통해 함께 사랑받는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다는 확고한 결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농촌 간부 회의 및 전략 세션은 시골 및 작은 마을 지도자들이 우리의 순간을 반영하는 주제, 오레곤 농촌 및 작은 마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그리고 정의와 인간을 위한 장기적 운동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위엄. 올해 Caucus의 몇 가지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전략 도구
우리는 당신을 우리와 함께하고 주 전역의 인간 존엄성 그룹에서 배우고 자신의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해 공유하도록 초대합니다!
지금 등록하세요! 얼리버드 등록 할인이 전략 도구 5월 1일 월요일에 종료됩니다!
6월 3일과 4일 마드라스에서 만나요!
열렬히,
Grace, Cara, Jess, Hannah, 그리고 ROP 팀
6월 3일 토요일 – 농촌 간부 회의 및 전략 세션 – 메인 이벤트!
농촌 간부회의 및 전략 세션(8:30am-5:30pm): ROP의 연례 농촌 간부 회의 전략 도구 및 전략 세션은 오레곤 전역의 지도자들을 모아 이야기와 기술을 공유하고, 관계와 분석을 구축하고, 오레곤의 시골과 작은 마을에서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한 운동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할 것입니다. 워크샵, 전략 세션, 본회의 및 지역 전략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많은 시간.
6월 4일 일요일 — 농촌 조직 학회
농촌 조직화 연구소 (8:30am-1pm): 더 나은 조직자가 되고 싶습니까?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Organizer 도구 상자에 추가하고 싶으십니까? 모든 경험 수준의 리더와 조직자를 위한 반나절 교육에 참여하십시오!
earticle
Jang, So Young & Lee, Sung Young. “Validation of a Survey Instrument for Grammar Learning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39.4 (2013): 253-277.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validate a survey instrument for grammar learning strategy in English so as to develop a standard survey instrument. The survey consisted of 52 items with a 5-point Likert scale and was designed based on Oxford’s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 The items were revised partly in order to reflect grammar learning proces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35 college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asch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erms of two perspectiv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rvey instrument. First,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the study found the overall content validity adequate, and survey could measure unidimensional constru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5 point-scale was appropriate to elicit responses. However, som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Redundancy among items was found based on the analyses of fit statistics and point-biserial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reliability of a survey instrument including both items and respondents was high based on the index of reliability. (Kun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 서론
II. 문헌 연구
2.1 문법 학습 전략
2.2 Rasch 측정 모형을 사용한 검사도구 타당화 과정
III.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측정 도구
3.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설문 응답의 정규성 검증
4.2 Rasch 측정 모형의 적합도를 이용한 내용 타당도 검증
4.3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
4.4 표준 잔차를 이용한 분석
4.5 Rasch 측정 모형을 통한 척도 타당성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인용문헌
부록
하버드비즈니스리뷰
많은 기업이 지난 20 여 년 동안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에 공을 들여왔다 . 서로 분리돼 있던 여러 업무와 데이터를 ‘ 부서간 (cross-functional) 비즈니스 프로세스 ’ 로 통합해 비용 절감과 사이클 타임 감소 , 서비스 개선 등의 효과를 본 업체도 많다 . 하지만 리엔지니어링 혁명을 선택한 많은 업체들이 문제에 봉착했다 .
다행스럽게도 그 문제를 해결할 만한 방법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 인터넷을 통해 업무를 공유하는 새로운 기술 덕에 이제 프로세스 자체가 아니라 제품 가격 책정에서부터 송장 작성 , 개별 고객의 위험도 평가 , 개발 중인 신제품이 가져야 할 특성의 우선순위 선정에 이르는 활동 등 개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비즈니스 활동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가 됐다 .
이제 많은 비즈니스 활동들을 마치 레고와 유사하게 간편하게 붙였다가 다시 떼어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처럼 설계하는 게 가능해졌다 .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배치하는 새로운 방식인 ‘ 서비스 중심 아키텍처 (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가 있기에 이런 변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 SOA 가 유용한 까닭은 어디에서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을 활용해 다양한 비즈니스 활동 ( 또는 비즈니스 활동을 기반으로 한 일련의 프로세스 ) 에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비즈니스 활동을 구성하는 프로세스가 수동이든 , 완전 자동이든 , 그 중간쯤이든 SOA 를 활용하면 해당 비즈니스 활동을 사실상의 웹 서비스로 바꿀 수 있다 . 이런 변화 덕분에 △ 개별 활동 및 전체 프로세스를 내부적으로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됐고 △ 다양한 비즈니스 활동을 외부에서 구매하거나 판매하기가 훨씬 쉬워졌으며 △ 공급업체나 고객에게 일련의 전략 도구 활동을 위임하기도 편해졌을 뿐 아니라 △IT 시스템을 유지하고 업데이트하기도 쉬워졌다 .
하지만 이런 식으로 SOA 를 사용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도 있다 . 먼저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이 없다 . 실제 개별 납품업체 및 각 산업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SOA 를 사용하고 있다 . 하지만 서로 다른 SOA 를 활용하더라도 대부분의 비즈니스 활동에 대해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큼 표준의 부재는 그리 큰 문제라 할 수 없다 . 뿐만 아니라 조만간 SOA 가 전문가로 구성된 관리 기관에서 감독하는 하나의 표준이 될 것이란 징후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 (MS) 에서 기술 아키텍처 설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대형 고객사에 SOA 를 퍼뜨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마크 바키악 (Mark Baciak) 은 “ 이 세상은 이 방향을 향해 빠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 ” 고 얘기한다 .
표준 부재보다 심각한 문제는 그동안 자주 등장한 회사 경영진과 IT 부서 간 ‘ 생각의 차이 ’ 다 . 고위 임원들은 SOA 가 최고정보책임자 (CIO) 들이 지지하는 차세대 신기술이라 생각하고 SOA 또한 회사에 엄청난 이익을 안겨주진 못하면서 많은 비용을 잡아먹기만 할 것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 이런 두려움과 더불어 CIO 들이 SOA 의 가능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가능성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해 대부분 최고경영자 (CEO) 들은 IT 부서에 제한된 범위 , 즉 기존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범위 내에서 SOA 활용을 허락한다 . 이 결과 SOA 를 도입하는 대부분 기업들은 비즈니스 디자인을 전혀 재고 (rethinking) 하지 않고 SOA 를 적용한다 . 비즈니스 디자인을 재고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바로 SOA 가 갖고 있는 엄청난 가치 , 즉 좀 더 집중력 있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조직 구조를 만들어 내기 위한 기회를 간과하는 것이다 .
그동안 본 연구진이 함께 작업해 온 기업 중 회사의 운영 활동을 다시 설계한 뒤에 SOA 를 적용한 기업들은 서로 중복되는 소프트웨어를 제거하고 , 수동으로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자동화해 많은 비용을 절감하면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 하버드 필그림 헬스케어 (Harvard Pilgrim Health Care) 라는 보험회사는 약국수혜 관리 , 질병 진단 등과 같은 비전략 및 비핵심 활동에 대해 아웃소싱을 단행했다 . 모토로라의 휴대전화 사업부는 최근 고객 서비스 콜센터에서 사용하던 독자적인 프로세스를 표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고 , 이 덕에 소프트웨어를 공유하여 연간 수백만 달러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 바키악은 시범 사례를 통해 MS 로 하여금 SOA 프로젝트에 125 만 달러를 투자하게 했고 , 이 결과 한 세트의 IT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투입되는 연간 비용을 300 만 달러 이상 절약할 수 있었다 . 이를 통해 전략 도구 비용 절감 효과를 경험한 MS 는 바키악의 주장에 따라 SOA 를 도입했다 .
하지만 이런 효과를 얻으려면 운영 방식에 현저한 변화가 있어야 한다 . 즉 개선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 이를 위해선 폐쇄적인 운영방식의 집합체이던 기업이 표준화한 플러그 & 플레이 ( 연결 즉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나 기기 ) 활동의 집합체로 변해야 한다 .
SWOT 분석, 정성적 전략 도출 도구
가장 널리 알려진 조직 내외부 환경 분석 Tool이다. 조직이 처한 환경을 분석하여 대응 논리를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여 사용된다.
휴넷, Smart MBA 중에서
위 그림은 SWOT이란 단어가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ies(기회), Treat(위협)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표현한다. S와 W는 기업의 내부 환경을 O와 T는 외부환경을 의미한다.
SWOT 분석 단게
- 내부능력/외부환경 분석 및 이슈 파악
강점/약점 분석
- 브레인스토밍(최대한 많은 의견을 내는 것이 중요) 리스트 업
- 개인적인 의견 및 편견을 최대한 배제
- 고객의 의견을 취합하면 좋음
- 경쟁사 비교에 필요한 의견 취합 방법 강구
기회/위협 분석
- 전문 조사 기관 이용
- 객관성 확보된 자료 활용
- 브레인스토밍, 고객 의견 수렴
- 치우친 의견 극복 가능
휴넷, Smart MBA 중에서
- 변수 조합을 통한 전략과제 도출
휴넷, Smart MBA 중에서
- SO : 외부 기회 극대화, 경쟁우위 요소 극대화
- WT : 약점 및 외부 위협 최소화, 리스크 감소 방안 마련
- WO :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 방법 강구
- ST : 강점으로 외부위협 감소 방안 마련
SO -> WT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한 뒤 전략 수립을 할 수 있도록 한다.
SWOT 분석 시 반드시 해야 할 고려사항
SWOT 분석은 계량화할 수 없으므로 한계점이 있음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 또한 관점에 따라 같은 내용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이슈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전략 도구 전략 도구 해야 한다.
많은 기업에서 SWOT 분석을 이용하여 전략과 과제를 도출한다. 문제는 도출한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현 계획을 세우지 않아서 마치 SWOT 분석은 도구에 지나지 않다는 오해를 받는다. 과제가 실행되지 않으며, 매년 같은 내용의 SWOT 분석이 반복하게 되는 경향이 높다. 기업은 최종 세부 시행 내용까지 정리하여 전략과 혁신과제 달성에 대한 리뷰가 가능하도록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제안서에 전략 툴을 꼭 써야 할까? -1
사업을 계획하거나 전략을 수립할 때 흔히 쓰는 툴이 몇 가지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전략 툴입니다. 사업계획서나 기획서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잘못 사용해서 오히려 점수를 깎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략 툴을 쓰는 이유는 외부와 내부의 변수를 고려하여 일목요연하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이기 때문인데, 자칫 잘못 쓰면 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투자제안서(IR deck)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전략 툴은 3C 분석, SWOT 분석 그리고 포지셔닝 맵입니다. 간혹 가다 BCG 매트릭스나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분석, 매킨지의 7S 분석 등의 툴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우선 BCG 매트릭스나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분석, 매킨지의 7S 분석 등 남들조차 잘 쓰지 않는 툴은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BCG 매트릭스는 전략 도구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지만, 초기 스타트업에 그리 적합하지 않은 툴이고, 그 외 나머지 툴들은 개념을 이해하기도 제대로 사용하기도 어렵습니다.
우리는 투자제안서(IR deck)에 깊이 고민한 흔적을 보여주라는 말씀을 자주 드립니다. 그 의미를 오해하시는 분 중에는 어렵고 생소한 전략 툴을 가져와서 설명하시려는 분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작성하는 본인 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로 쓰기 때문에 스토리에서 전략 툴이 따로 놀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결론이 흘러가버린다는 것입니다.
쉽고 명쾌하게 자신의 사업을 설명해야 하는 투자제안서(IR deck)에 스스로도 잘 알지 못하는 어려운 개념을 굳이 가져올 이유가 없습니다. 메시지를 방해하는 역할만 할 뿐입니다.
투자제안서(IR dec k)를 접하다 보면, 자주 쓰여서 익숙해 보이는 전략 툴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전략 툴,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3C 분석
3C 분석은 고객(Customer), 경쟁(Competitor), 자사(Company)의 이니셜을 딴 분석 툴입니다. 3C분석은 이 3가지 관점의 분석을 통해 핵심 성공요인(Key Succes Factor)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각 3가지 관점에 따라 분석해야 할 사항은 전략 도구 이렇습니다.
[고객(Customer)]
시장의 규모, 시장의 성장성, 시장 수요의 유무, 구매 결정 과정 및 구매 행태, 고객 분류 및 타깃 고객 정의, 타깃 고객의 특성 및 트렌드 등
[경쟁(Competitor)]
경쟁자의 정의, 경쟁자의 수 및 시장 점유율, 경쟁자의 전략, 경쟁사의 자원, 경쟁사의 강∙약점, 경쟁자의 실적 등
[자사(Company)]
자사의 실적, 자사의 전략, 자사의 자원, 자사의 강∙약점 등
항목들을 보니 뭔가 익숙하지 않으신가요? 아마 투 자제안서(IR deck)에 들어가는 주요 항목들과 유사하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3C 분석은 별도의 장표 한 장을 따로 배정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IR deck 스토리 자체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투자제안서(IR deck)를 구성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이 바로 3C 분석이라고 할 수 있지요. 3C 분석의 개념에 대해 이해한 상태로 투자제안서(IR deck)를 작성하시면 한결 작성이 쉬울 것입니다.
2. SWOT 분석
SWOT이란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이니셜을 딴 이름입니다. SWOT은 대표적으로 아주 흔히 볼 수 있는 툴이기 때문에 만만히 보는 경우가 많은데 생각보다 제대로 작성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SWOT 분석을 사용할 때 가장 흔하게 하는 실수는 내부 분석과 외부 환경 분석이 뒤섞이는 것입니다.
SWOT의 항목 중 강점(S)과 약점(W)은 자사의 내부 분석, 기회(O)와 위협(T)은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강점과 약점에 외부 환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거나, 기회와 위협에 자사에 관한 분석을 넣는 순간 SWOT은 의미를 잃게 됩니다. SWOT 분석의 기본적인 개념은 내부 요인인 강점(S), 약점(W)과 외부 요인인 기회(O), 위협(T)을 각각 교차해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강점(S)과 기회(O)를 조합한 공격적인 시장 진출 전략, 약점(W)과 위협(T)을 조합한 위기 대처 전략을 세 우는 것이지요.
그러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 하더라도 SWOT 분석은 결코 사용하기 쉬운 툴이 아닙니다. 우선 내∙외부 환경에 대해 정확히 분석하는데도 많은 조사와 정보가 필요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대로 분석하는 것도 쉽지 않을뿐더러, 그 분석된 내용을 기준으로 전략을 수립하기도 어렵습니다. 흔하게 보기 때문에 쉽게 생각할 뿐, 실제 전문가들도 제대로 사용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SWOT 분석은 3C분석과 겹치는 부분도 상당히 있고 1장에 별도로 보여주는 것 외에는 크게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어설프게 사용할 경우, 투자자에게 부족하다는 인상만 심어주기 때문에 작성을 할 때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투자제안서(IR deck)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포지셔닝 맵 에 대해서는 [투자제안서에 전략 툴을 꼭 써야 할까? -2] 에 이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