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도구로의 안내
항상 새롭고 신선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좋은 이웃 CU
최고의 상품과 서비스를 약속 드리며, 최고의 가치로 편안함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거래 원칙: BGF리테일은 제조업체와 직거래를 원칙으로 합니다.
- 상담 원칙: BGF리테일 MD는 본사 상담실과 제조업체에서만 상담이 가능합니다.
지정한 장소 외에서는 상담이 불가하오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상담 경로: BGF리테일의 MD는 홈페이지 외 인터넷상품입점상담, 열린중소기업상담,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3가지 경로를 통해서만
상담이 가능합니다.
- 입점 상담 신청 시 MD상담 수칙을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열린중소기업 상담과 온라인 입점상담은 중복 신청이 가능합니다.
- 담당자 : MD기획팀 김나연 [email protected]
① 상담 신청 방법:
회원 가입 → 상담 선택 → 제안 상품 정보 입력
※ 회원가입 후 상담 등록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오류 발생 캡쳐화면을 첨부하여 메일로 전송 부탁드립니다. ([email protected])
② ★상품에 대한 상담만 가능★하고, 그 외 문의는 상단의 ‘열린 제안 상담’게시판 활용 혹은 고객센터
통한 접수 부탁드립니다(1577-8007) - [온라인 입점상담]
- 입점상담 신청 등록 후 5일 내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결과를 통보하여 드립니다. (문자 확인 후 홈페이지 확인 필수)
- [열린중소기업 상담]
- 열린중소기업 상담은 月 1회 (매월 4주차 금요일) 진행됩니다.
Q1. 크롬으로 접속시 회원가입 또는 입점상담 신청이 되지 않습니다. A1. 원활한 회원가입 및 상담신청을 위해 인터넷 익스플로어로 접속을 권장합니다. (크롬 접속시 오류 발생) Q2. 주소 검색 및 상품 분류 검색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클릭이 되지 않습니다. A2. 검색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해당 페이지의 호환성 보기 등록이 필요합니다.
① 입력창 내 글자수가 제한되어 있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항목들은 특히 유의하여 최대한 간결하게 입력 부탁드립니다.
- 회원가입 시: 업체/종목
- 상담신청 시: 상품명 / 주거래처 / 상품 설명(줄바꿈 없이 거래 도구로의 안내 줄글로 이어서 작성 부탁드립니다)
② 첨부파일명에 특수문자 입력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상품 단위가 틀렸을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 1000000g, 30000cm (X) )
상품 업무 기본 준칙이란?
상품 선정 시 기본 준칙에 의거하여 고객 만족과 이익을 극대화하며 모두에게 공정하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품 업무 기본 준칙
- 상품 특화 BGF리테일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가진 고품질의 상품을 개발, 선정함으로써 고객 만족을 극대화한다.
- 매출 이익 극대화 최고의 이익률과 회전율을 갖춘 공헌도 높은 상품을 개발, 선정함으로써 가맹점과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한다.
- 공정한 거래 투명한 절차와 합리적인 기준을 통해 협력 업체와 상품을 선정함으로써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한다.
- 환경 보전과 공익성 실현 안전, 위생, 영양 등 모든 면을 철저히 검토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 선정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 품질 보장 환경과 공익성을 고려한 올바른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 선정하여 판매함으로써 사회에 공헌한다.
식품 품질안전관리 기준이란?
BGF리테일에 상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신규업체는 BGF리테일에서 요구하는 품질·위생 기준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품질·위생 기준은 BGF리테일을 이용하는 고객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BGF리테일의 품질·위생 기준을 충족하는 신규업체는 구매부서 담당자(MD)에게 신규등록을 위한 현장심사(이하 ‘등록심사’라 한다)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품질관리 부서에서 주관한 등록심사를 통과한 신규업체만이 BGF리테일에 상품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신규업체에 대한 품질·위생 기준은 왜 필요한가요?
품질·위생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은 제조업체의 일상적인 품질·위생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증합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BGF리테일을 이용하는 고객을 보호하고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 입니다.
어떠한 업체에게 적용됩니까?
BGF리테일 신규업체 품질·위생기준은 식품 및 축산물을 제조(최종 포장)하는 업체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적용되는 신규업체의 인허가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식품 제조가공업
- 식품첨가물 제조가공업
- 식품 소분·판매업
- 축산물 제조가공업
- 식육포장처리업 등
식품수입판매업과 같은 인허가를 받은 업체는 본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BGF리테일 품질관리 부서에 문의해 주시면 됩니다.
품질·위생 기준 관리 항목
- 5S(정리, 정돈, 청소, 청결, 생활화)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 SSOP(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 현장관리 항목은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들은 상호 연계되어 있습니다.
현장관리 필수 사항
BGF리테일에서는 상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구사항(이하 ‘필수사항’이라 한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만약 필수사항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등록심사 의뢰 및 상품 공급이 불가함으로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개인위생 관리
개인위생관리는 식품 및 축산물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가장 기본이 됩니다.
작업자로부터 발생하는 교차오염의 예방을 위해 작업장 출입구에는 적절한 손세척, 건조, 소독 시설을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작업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모발, 먼지 등의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업장 출입구에 적절한 먼지제거 시설(끈끈이, 에어샤워기) 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개인위생 시설은 출입 인원을 고려하여 구비하시고 시설주변에는 올바른 사용방법 을 표시하여야 합니다.
이물 관리
이물 클레임은 공장의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소비자가 이물이 혼입된 제품을 섭취하였을 경우 인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이물이 혼입된 제품은 고객의 신뢰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제품의 이물 혼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비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간혹 필터·마그네틱 바 등 다른 장비를 사용하여 이물 관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BGF리테일 품질관리 부서에 문의해 주시면 공정 및 제품 특성을 검토하여 필수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해 드립니다.
제품 생산 및 스케쥴 확인
BGF리테일 신규 등록심사시 생산 공정의 확인은 매우 중요 합니다.
제조 가공 중 발생할 수 있는 Risk 확인을 위해 등록(현장)심사 당일에는 동일 유형의 제품의 생산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불가피한 사유로 등록(현장)심사 일정 을 변경하실 경우에는 최소 3일 전 BGF리테일 품질관리 및 MD 부서로 문의하셔야 합니다. 천재지변 등의 문제는 예외로 합니다.
※ 필수항목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되나요?
다른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고 있더라도 위에서 제시한 3가지 필수사항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BGF리테일에 상품을 공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필수사항은 등록심사를 의뢰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되어야 합니다.
만약 등록심사 시 필수사항이 충족되지 못한 것을 확인한 경우 심사자는 그 즉시 등록심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품질·위생 기준 관리 항목 요구 사항
구분 | 항목 | |
---|---|---|
서류관리 | 영업신고 | 사업현황 및 생산제품의 유형과 일치 - 대표자, 상호명, 주소, 면적, 생산품목 일치 및 변경사항 적시 신고 |
품목제조보고 | 품목별로 적시에 신고하여야 하며, 제품명, 주원료, 유통기한 등의 변경시에도 즉시 신고 필요(유통기한 설정 포함) ① 품목제조보고사항의 적정성 - 제품명 : 식품등의 표시기준상의 제품명기준 적합여부 등 - 원 료 : 식품의 원료 사용가능 여부 등 - 식품첨가물 : 식품첨가물공전상 사용제한 기준 등 - 제조가공기준 : 식품공전상 제조가공 기준의 적합여부 등 - 위탁생산 : 위탁생산여부의 적정기입여부 및 수탁자 확인 - 유통기한 설정사유서 확인 ② 품목제조보고사항의 확인 - 품목제조보고 받은 사항에 대하여는 품목제조보고사항의 사실여부, 미 품목제 조보고 생산여부, 품목제조보고기한의 준수여부 및 생산제품의 표시기준 적합 여부 등 확인 점검 ③ 품목제조보고의 신고 - 식품 : 제품 생산 전·후 7일 이내 신고 / 건강기능식품 : 생산 전 신고 | |
생산작업서류 | 생산 또는 작업에 관한 기록을 매일 작성, 구비 - 생산일자, 제품명, 제품생산량, 재고량을 기록하여 보관 | |
원료수불관리 | 원료의 입·출고 등 사용에 관한 기록 작성·유지 - 원료입고일, 원료명, 입고량, 사용량, 재고량 등을 기록하여 수불관계를 확인 가능토록 작성하여 보관 | |
제품판매기록 | 제품 판매 내역을 기록하여 확인이 가능토록 유지, 관리 - 제품 거래기록을 장부 또는 거래기록 등의 형태로 작성하여 보관 | |
생산실적보고 | 매년 전년도 생산실적에 관한 보고 실시 후 서류 보관 - 익년 1월 이내에 전년도 생산실적을 보고하고 그 내역을 사업장에 보관 | |
자가품질검사 | 자가품질검사는 법적 항목과 검사횟수 준수 ① 제품, 포장재에 대한 자가품질검사를 실시하고 성적서 보관 ② 자가품질검사 기준(법적 검사항목, 횟수)을 준수하고 결과에 이상이 없어야 함 ③ 자가품질검사를 실시하고 2년간 성적서를 사업장 내 비치 ※ BGF리테일 신규등록심사시 의뢰 대상 제품의 최근 3개월 내 실시한 자가품질 검사결과 구비 | |
건강진단 | 제품 취급자(작업 종사자)에 대해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관련서류 보관 ① 식품 생산 작업장에 근무하는 종사자는 보건증을 구비하고 검사주기(1회/년)를 준수하여야 한다. [2년 보관 권장] ② 전염병, 피부병, 기타 화농성질환자가 생산에 직접 종사하지 않아야 한다. | |
위생교육 | 정기적으로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그 내역들을 사업장에 보관 ① 영업자 또는 품질관리인은 사업현황별 교육주기(1회/년)를 준수하여야 하며, 위생교육필증을 사업장에 구비[2년 보관 권장] ② 사내위생교육[월 1회/ 30분 이상] - 영업자 또는 품질관리인은 정기적으로 전직원대상 사내위생교육을 실시 후 내역 보관 | |
용수관리 | 영업장에 사용하는 용수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관련 서류 보관 ① 수질검사 [년간 1회 이상 / 음료류는 반기 1회 이상] - 지하수는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게 수질검사(47항목)를 실시하고 그 성적서를 사업장에 비치해야 함.[2년 보관권장] - 제품 생산에 물을 사용하는 경우 용수(상수도 포함)의 적합성 여부를 수질검사서를 통해 증명해야 함. ② 용수시설 - 지하수 관정 및 저수조는 덮개는 시건 장치를 설치하여 시건 하여야 함. - 정수장치를 사용할 경우 정수필터 등은 교체 주기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그 내역을 기록관리하여야 함. - 저수조를 운영하는 경우 반기1회 이상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고 그 내역을 보관하여야 함. | |
원재료 안전성관리 | 제조에 사용하는 원재료에 대한 적절한 안전성관리를 실시 후 관련 내역 보관 ① 원료업체 영업신고증, 품목제조보고서, 시험성적서, 원료(부재료) 표시사항 등을 수취하여 정기적으로 점검(검토)을 실시해야 한다. ② 원재료 입고 검사를 적절히 실시하고 그 내역을 기록 보관하여야 한다. | |
현장관리 | 구분 구획 | 제조, 가공 외의 사용되는 시설 및 생산에 사용되는 공간은 용도별로 구분, 구획 ① 사무실, 휴게실, 식당 등 제조가공 이외의 시설과 구분되어야 한다. ② 원재료창고, 전처리, 가공, 내포장, 외포장, 제품창고 등이 그 보관조건과 사용목적에 맞게 구분 (벽으로 천정에서 바닥까지 차단)되어야 한다. - 작업장은 식품 등의 제조,가공을 하는 공간이므로 주변 환경으로부터 나쁜 영향을 받지 아니 하도록 분리(벽 또는 층) 또는 구획되어야 한다. 다만, 자동화 시설 또는 제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분리 또는 구획할 거래 도구로의 안내 거래 도구로의 안내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선, 줄 등에 의한 구분도 가능함. - 원료처리실 또는 전처리실은 해당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다른 작업 공간과 분리되어야 함. - 제조,가공실은 식품 등의 제조, 가공을 하는 직접 작업하는 공간이므로 해당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함. - 충진실(내포장실 포함)은 해당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전용으로 사용되며, 다른 작업공간과 분리되어야 함. |
바닥관리 | 바닥은 내수성 재질로 되어 갈라지거나 파손되어 물고임 현상이 없어야 함 ① 바닥 재질이 타일 또는 내수성 페인트 등으로 내수처리 되어 있어야 한다. ② 바닥은 갈라지거나 벗겨지거나 홈 등이 없으며 물고임이 관찰되지 않아야 한다. ③ 배수로는 배수가 용이하며, 배수로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바닥이 평평하지 않아 울퉁불퉁 홈이 파여 있는 경우 물이 잘 고이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곰팡이, 기름때, 찌꺼기가 발생치 않도록 관리하여야 함. - 바닥이 갈라지거나 파손된 경우 코팅된 바닥의 상당 부분이 분리되거나 들고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함. 단, 작업특성상 물을 사용하지 않아 항상 마른 상태의 바닥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함. - 배수로는 배수가 용이한 구조 즉, 적정한 경사, 폭, 깊이를 갖추어야 함. - 배수로에 물이 고여있거나 넘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오래된 침전물 및 악취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야 함. | |
내벽관리 | 내벽은 1.5미터 이상의 밝은색의 내수성(또는 작업특성에 따라 내열성, 세균방지용 페인트 처리) 처리 ① 먼지, 연기, 오물 등의 더러움이나 오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녹이나 부식 등에 의한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 |
작업장 온도·환기 | 작업장은 적정한 온도로 유지되고, 충분한 환기시설을 갖추어 매연, 증기, 악취, 유해가스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어야 함 ① 작업장은 작업에 적정한 온도를 갖추어야 한다. - 작업장은 종사원이 작업하기에 적절한 온도 이하를 유지 하여야 한다. 만약 종사원이 많은 땀을 흘리거나 위생복을 풀어 헤칠 정도로 더운 경우로 관리해서는 안된다. ② 작업장은 작업에 적정한 환경을 위한 환기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 작업장 내에는 매연, 악취, 증기 등이 차있지 않도록 적절한 환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작업장 내 위치한 환기설비는 청결하게 유지보수되어야 하며, 특정 작업공간에 매연, 증기 등이 차서 작업에 지장을 주거나 천정, 벽 등에 응축수가 생기는 경우 , 환풍기, 환기구 등에 있는 오염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관리하야 한다. | |
조명관리 | 작업장 내 설치된 조명에는 각 용도에 맞는 조도와 적절한 보호장치 설치 ① 검사 공간의 조도는 540룩스 이상이며, 기타 작업공간은 220룩스 거래 도구로의 안내 이상을 충족하여야 한다. ② 식품 혼입 우려가 있는 공간에는 유지보수 미흡으로 인한 오염우려가 발생치 않도록 예방관리하여야 한다.(청소 포함) | |
작업장 청결관리 | 각 공정별 공간은 청결하게 정리·정돈, 관리 - 원료 입고장, 생산가공장, 포장실, 제품보관실 ① 곰팡이, 거미줄, 해충사체, 쥐똥, 흙/먼지 등이 없도록 청결관리하여야 한다. ② 작업장 내 불필요한(비인가) 물품이 반입 되지 않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 종사원의 개인의류, 비품 및 기타 비 인가된 사무용품 등 ③ 작업장 청소에 사용되는 도구는 이물발생 또는 세균 증식이 없도록 위생적인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 싸리비, 목재재질 청소용 도구 등 거래 도구로의 안내 흡습하여 세균 증식이 용이하거나 이물이 발생하기 쉬운 재질의 사용은 피해야 함. | |
재질 | 제조가공에 사용되는 설비, 기구, 용기 등은 위생적 내수성 재질 사용 ① 세척과 소독이 가능한 재질이며, 유지보수를 적절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설비, 기구, 용기 등은 부적절한 재질로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 예 : 노끈, 실, OPP 테이프 등 ) | |
검교정관리 | 생산에 사용되는 저울, 온도계 등은 공인된 기관에서 검교정 실시 ① 설치된 온도계측기를 검교정관리하고, 온도계측기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점검표를 구비하여 정기적으로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② 저울, 온도계, 압력계 등은 공인된 검사기관으로부터 검교정을 받고, 공인성적서를 보관하며, 년간 계획을 세워 주기에 따라 검교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 |
설비 청결관리 | 제조가공에 사용되는 설비, 기구, 용기 등은 위생적인 재질로 사용 전후 청결한 상태로 보관 ① 제조가공용 설비 또는 기계는 식품 등에 접촉하는 부위가 내수성, 내부식성재질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FRP, 테프론 등)이어야 한다. ② 설비, 기구, 용기 등은 주기적으로 점검 및 유지보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 유지보수 대상 부위에 부패·변질물, 오래된 찌꺼기,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③ 설비, 기구, 용기 등은 이물 및 오염 발생 우려가 있는 부적절한 재질로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④ 설비, 기구, 용기 등을 세척 또는 소독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고, 이 경우 온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⑤ 세척 소독이 완료된 기구, 용기 등을 위생적으로 건조·보관할 수 있는 공간과 시설을 갖추고 실질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 |
냉장 냉동실 | 원료 및 완제품을 보관 창고는 적절하게 온도관리 ① 보관창고의 온도를 일 2회 이상 모니터링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② 온도를 측정 하였을때 지시값과 표시값의 오차가 없어야 한다. - 표시 온도계의 감온봉은 냉각원으로 부터 먼 곳에 위치하여 온도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야 함. ③ 냉장·냉동 제품을 취급할 경우 차량 온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내역 (타코메터 기록지 등)을 보관하여야 한다. | |
보관관리 | 원재료, 반·완제품은 보관기준에 적합하게 보관 ① 원재료, 완제품 보관장소가 구분되어 있어야 한다. ② 유통기한 및 입고일자 등에 대한 표시가 있어야 한다. ③ 보관 및 공정 대기 제품은 거래 도구로의 안내 바닥, 벽과 이격되어야 한다. ④ 보관중인 원재료, 완제품은 밀폐(밀봉)하여 오염이 없도록 위생적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⑤ 원재료, 완제품은 유통기한 및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⑦ 원재료 및 완제품은 특성을 고려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⑧ 화학물질(소독/ 방충,방서/ 소화기 등)거래 도구로의 안내 은 별도 장소에 보관하며 식별표시를 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 |
정기점검 | 품질관리자는 월 1회 이상 방충방서 점검 실시 및 기록 유지 ① 작업장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면서 해충이나 서류의 흔적을 확인하고 기록을 하여야 한다. ② 포충/포획량이 증가하는 경우 적절한 대책(원인 분석을 통한 임시 방제, 시설 검토 등)을 수립하여 조치 하여야 한다. ③ 작업장에 월 1회 정기 소독을 실시하며, 그 내역을 보관하여야 한다. | |
방충방서시설 | 작업장 내부는 밀폐하고 적절한 방충방서 장비 설치 · 관리 ① 포획량 증가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설비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② 천정, 바닥, 벽, 문틈 등은 밀폐되어 해충과 서류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작업장 내부에는 적절한 방충방서 장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작업장의 위치와 특성에 맞게 포충/포획기가 설치되어 있고 관리를 하여야 함. ④ 장비 배치도와 사용 약제의 MSDS를 비치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⑤ 배수로 등에 U관, 그물망 등 쥐, 벌레의 출입을 방지할 장치가 설치함. ※ 작업장 내부에는 전기충격식 살충등의 설치를 금지 한다. | |
누수 분진관리 | 계량, 투입, 세척 등에서 분진이나 누수 등에 대한 방지 및 적절한 처리대책 마련 ① 배합기 또는 용기 상단에서 원료 투입시 처리 대책이 적절하여야 한다. - 분말류 등을 배합기 위에서 파포함으로써 포장지에 묻은 먼지 등 이물과 포장 종이 및 실 등의 오염 및 혼입 가능성이 있고, 분진이 발생하여 각종 설비에 부착하였다가 추후 낙하되어 제품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 가능한 작업장은 구획하고 적절한 집진시설 또는 환기시설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작업장 외부에서 분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작업장 외부에서 분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분진이 발생한 경우 작업장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출입구를 밀폐하거나 에어커튼을 설치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작업장 내부로 입고되는 원료, 제품, 부자재에 대한 이물 제어관리를 하여야 한다. - 작업장 내부로 입고되는 원료, 제품, 부자재 등에 분진이 묻어있을 경우 다른 상품 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거한 후 입고하여야 한다. ④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대해 적절한관리를 하여야 한다. - 작업장 내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제거활동을 하거나 적절한 장치(집진장치)를 설치하여 분진의 발생 및 누적을 방지하여야 한다. | |
오염방지 | 모든 공정은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 ① 모든 공정은 식품이 오염되지 않게 관리되며, 실제로 공정 중 제품오염현상이 우려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분진, 증기, 먼지, 이슬 등으로부터 제품이 오염될 우려가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해동 공정시 식별표시 하여 위생적(냉장, 유수해동 등)으로 해동하여야 한다. | |
이물관리 | 이물에 대한 예방대책이 수립되어 현장에서 적절하게 관리 ① 포장 전 공정상 필요한 경우와 포장 후 금속성 이물을 방지하기 위한 검출 장비가 설치되어 관리하고 있으며, 금속성 이물 검출장비에 대한 검증 및 기록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금속성 이물 검출시에는 추가 피해(유입)의 우려가 없도록 부적합품에 대해 별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③ 비금속성 이물(해충, 끈, 실, 나무조각, 종이 등)에 대한 예방관리가 공정 중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거래 도구로의 안내 ④ 작업장 내 설치된 유리 재질의 경우 보호필름(강화유리)을 부착하여야 한다. | |
규격관리 | 모든 공정에 대한 기준(작업표준)을 가지고 관리 ① 제조, 가공에 사용되는 원료의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관리(검수 등)를 하여야 한다. ② 생산공정은 기준(작업표준) 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완제품 규격관리를 실시하여 부적합품에 대해 별도관리하여야 한다. - 부적합품 발생시 별도보관하며 그 발생내역과 처리내역을 기록관리하여야 합니다. ④ 제조공정, 배합비율, 완제품에 대한 표준이 문서화되어 있으며, 중요 공정별 적절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어야 한다. | |
폐기물(반품)관리 |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해 오염우려가 없도록 적절하게 관리 ① 생산과정중 발생한 폐기물은 뚜껑이 있는 용기에 담아 주기적으로 작업장외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② 폐기물 보관장소가 취수원으로부터 20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③ 폐기물 보관장소는 악취, 누수, 해충, 쥐 등을 방지하기위해 제조시설과 독립된 공간에 구분되어 위치하며, 오염의 우려가 전혀 없어야 한다. ④ 반품된 제품은 별도 보관하고 처리시에는 그 처리내역을 기록관리 하여야 한다. | |
위생장구 | 작업 공정 및 공간별 복장 규정이 수립되어 규정대로 착용 ① 작업자는 위생모, 위생복, 위생마스크, 위생화를 적절히 착용하여야 한다. ② 위생장구는 이물, 오염 우려가 없도록 청결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③ 외부인에게 위생장구를 제공하며 그 수량은 충분하여야 한다. ④ 작업자는 장신구, 휴대폰 등을 휴대 및 반입하지 않아야 한다. | |
화장실 관리 | 화장실은 제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에 있으며, 손 세척·소독시설 및 전용 신발 구비 ① 화장실에는 비누(물, 거품 타입), 건조 시설(핸드 드라이, 페이퍼 타올 등), 손 소독 시설 등이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② 화장실에 구비된 세정시설은 물 공급 및 온수가 원활하여야 한다. ③ 화장실에 비치된 세정시설 및 전용 신발은 교차오염 우려가 없도록 청결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 |
탈의실관리 | 탈의실은 청결하여야 하며, 위생복은 청결하게 거래 도구로의 안내 보관 ① 탈의실 내 위생복과 사복이 구분되며, 위생복 보관은 오염 우려가 없어야 한다. ② 사물함은 청결하여야 하며, 취식물의 보관이 이루지면 안 된다. ③ 위생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탈의실 내 바닥에 눕거나 앉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
출입관리 절차 | 작업 출입에 대한 규정이 있으며, 규정대로 입실 절차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① 출입시 세척·소독 시설은 인원수에 맞게 충분하게 설치하여 한다. ② 세척, 소독, 먼지 제거에 대한 시설이 있으며, 청결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 세척 시설은 항상 온수가 공급되어야 하며, 손 세척을 위해 사용하는 비누(물, 거품)는 가급적 향이 없는 타입의 비누 사용을 권장 드립니다. - 손 건조에 사용하는 핸드드라이는 냉·온풍이 가능하여야 하며, 바람조절이 가능한 성능의 시설을 권장드립니다. - 위생복 먼지 제거를 위해서는 하나(에어샤워기 등) 이상의 시설을 운영을 권장드립니다. ③ 위생전실에 마련된 시설은 올바른 사용법을 표시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④ 출입 인원(종사자, 외부 방문자)의 건강상태, 반입 물품 등의 점검을 실시하고 적절하게 조치하여야 한다. |
비식품 품질안전관리 기준이란?
BGF리테일에 상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신규업체는 거래처 스스로 당사 품질 수준을 충족하는지 점검하여 최종적으로 거래 되는 제품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고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거래 거래 도구로의 안내 도구로의 안내
美, 최근 자동차 산업 M&A 동향 및 2009년 전망
-미국 자동차 시장 침체로 M&A 급감
□ 미국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 금융위기로 인한 신용 경색으로 자동차 시장 최악
- 세계 자동차 시장은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자동차 시장은 급격한 자동차 판매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어 사상 최악의 부진을 기록하고 있음.
○ 주요 자동차 생산업체 지난해 1월 대비 판매량 큰 폭 하락
- 미국 자동차 3사의 올해 1월 매출액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상보다 판매 감소율이 아주 높은 상항임.
- 미국 최대 자동차 업체인 GM 사의 1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48.9% 감소하였으며 Ford사는 39%, 그리고Chrysler사는 54.8%의 높은 감소율을 기록하였음.
- 일본의 대표적인 자동차 업체인 도요타사의 지난 1월 판매대수는 전년동기 대비 31.7% 하락하며 70년 만에 처음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음.
□ 세계 자동차 산업 M&A 동향
○ 지난해 세계 자동차 업체 M&A 건수와 금액 감소
- 세계 자동차 산업의2008년 M&A 금액 및 건수는 경기 침체로 인해 지난 해 동기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지난 2008년 M&A 금액은 약 31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도인 571억 달러에 비해45% 감소하였으며 거래 건수는 549건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기인 604건에 비해 거래 금액에 비해 다소 낮은 약 9% 감소하였음.
- 지난해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의M&A 거래 건수는 지난 2002년 621건을 기록한 이래 7년 동안 500건 이상의M &A 건수를 기록하여 여타 산업에 비해 활발한 M&A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자동차 산업 침체에 따라 M&A 크게 위축
- 지난 2008년 자동차 산업의 M&A 거래 건수 및 금액이 크게 감소한 이유는 신용 경색으로 인한 금융 시장 불안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 따른 기업 가치의 급격한 하락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음.거래 도구로의 안내
- 또한 경기 침체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침체로 인해 금융 기관의 자동차 기업에 대한 투자가 크게 위축되었음.
세계 자동차 산업의 연도별 M&A 건수 및 금액
자료원 : Thomson Reuters, Pricewaterhousecoopers
○ 자동차 산업 부문별 M&A 거래 금액
- 지난 2008년 자동차 부품업체의 M&A 거래 금액은 금융 기관의 투자 감소로 인해 전년 동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나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M&A 거래 금액은 오히려 증가하였음.
세계 자동차 산업 부문별 M&A 거래 액
자료원 : Thomson Reuters, Pricewaterhousecoopers
○ 지역별 자동차 산업의 M&A 금액 비율
- 지난해 세계 자동차 업체의 지역별 M&A는 유럽 지역이 전체 건수의 약 67%를 차지하여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지역은 자동차 산업 침체로 인해 전년도 비율인 43.8%에 비해 크게 감소한 17%를 기록하였음.
- 반면 아시아 지역의 M&A 건수가 2007년에는 전체 건수의 6.5%를 차지하였으나 2008년도 에는 13%로 크게 증가하였음.
M&A 금액 기준 지역별 비율
자료원 : Thomson Reuters, Pricewaterhousecoopers
□ 세계 자동차 산업 M&A 전망
○ 경기 침체로 M&A 거래 침체 전망
- 올해 자동차 시장의 M&A는 금융 시장 불안과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자동차 산업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아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임. 이러한 높은 불확실성에도 여러 가지 시장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다음이 전망할 수 있음.
- 올해 자동차 산업의 M&A 거래는 금융 시장이 안정되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없어지지 않는 한 지난해에 이어 지속적으로 부진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전세계 자동차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 산업의 M&A는 거래는 위축되고 제조업체들은 생존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구조 조정을 추진하기 위해 많은 매물이 시장에 나오게 될 것이지만 구매력을 확보한 바이어가 많지 않아 M&A 거래는 활발하지 않을 것임.
- 신용 경색으로 인해 금융 기관으로부터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있고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기업 인수 합병 보다는 살아남기 위해 현금 확보를 통해 유동성을 극대화 시키는 경영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M&A 소극적으로 대처하게 될 것이며 많은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계열사 분사 또는 매각 압력에 처하게 될 것임.
○ 자동차 산업 생존을 위한 M&A 추진
- 최근의 신용경색, 세계적 경기 침체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극심한 부진은 부품 업체와 완성차 업체 모두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과거 시장 확대를 위해 M &A를 추진했으나 이젠 생존을 위해 M&A를 추진하고 있음.
○ 올해 자동차 산업의 M&A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지난해 미국 자동차 산업의 M&A 거래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올해는 갑작스럽게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M&A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
- 극심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몇몇 자동차 기업들과 금융 기관들은 전략적으로 기업 가치가 크게 하락한 우량 기업을 인수하기 위해 나서고 있으며 특히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마련이 필요한 기업의 경우 M&A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임.
- M&A는 지금과 같이 경기 침체로 인해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여 기업 운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을 분리하여 매각하거나 새로운 기업을 인수하는 등의 강력한 구조 조정을 통해 단기간에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음.
자료원 : Thomson Reuters, KPMG, Pricewaterhousecoopers, WSJ, Economist, 시카고 KBC 종합 및 의견
KOTRA의 저작물인 (美, 최근 자동차 산업 M&A 동향 및 2009년 거래 도구로의 안내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온라인 주식 거래
ForexTime Limited (www.forextime.com/eu)는 키프로스 CySEC(Cypr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의 규제를 받고(라이선스 거래 도구로의 안내 번호 185/12), 남아공 FSCA(Financial Sector Conduct Authority)의 인허가를 받아 영업합니다(FSP 번호 46614). 또한 당사는 영국 FCA(Financial Conduct Authority)에 등록되어 있어 있습니다(등록 번호 600475).
ForexTime (www.forextime.com/uk)는 영국 FCA(Financial Conduct Authority)의 인허가와 규제를 받습니다(라이선스 번호 777911).
Exinity Limited (www.forextime.com)는 모리셔스 공화국 FSC(Financial Services Commission)의 규제를 받는 투자중개사입니다(라이선스 번호: C113012295).
카드 거래는 FT Global Services Ltd (등록 번호: HE 335426, 등록 주소: Ioannis Stylianou, 6, Floor 2, Flat 202 2003, Nicosia, Cyprus)를 통해 처리됩니다. 카드 소지자 문의 주소: [email protected] 카드 가맹점 위치 주소: FXTM Tower, 35 Lamprou Konstantara, Kato Polemidia, 4156, Limassol, Cyprus.
Exinity Limited는 외환시장에서 금융서비스 업계 내 분쟁 해결을 중재하는 국제기구인 Financial Commission의 회원입니다.
위험 고지: 거래 도구로의 안내 외환 및 레버리지 금융상품 거래는 투자위험도가 높아 원금 전액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감당할 수 없는 금액 이상으로 투자하지 말고 관련 투자위험을 충분히 숙지해야 합니다. 일부 투자자는 레버리지 상품 거래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거래하기 전에 본인의 투자경험 및 투자목적을 고려하되 필요 시 별도의 투자자문을 구해야 합니다. 거주 국가의 법률 규정에서 FXTM 서비스 이용이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전적으로 고객의 책임입니다. FXTM의 위험 공시 전문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지역 제한: FXTM 브랜드는 미국, 모리셔스, 일본, 캐나다, 아이티, 수리남,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푸에르토 리코, 브라질, 거래 도구로의 안내 키프로스 점령지 및 홍콩 거주자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주묻는질문의 규제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전자결제 서비스란?
인터넷 상점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고, 고객이 이에 대한 대금을 신용카드 및 기타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지불 서비스입니다.
전자결제의 장점
구매자와 판매자, 금융기간 간의 상호신뢰를 구축, 금융거래의 안전한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
전자결제의 특징
1. 안전한 결제 환경
- 고객사의 Black Office System 환경에 맞는 다양한 연동방식을 제공합니다.
- 자체 VAN망을 보유하여 안전하고 빠른 Transation을 보장합니다.
- 국내 최고 수준의 표준 알고리즘과 국산 암호를 이용한 강력한 보안 스스템입니다.
2. 통합 정산관리
- 결제수단별 거래내역 및 정산내역 집계,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 매출 내역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여 관리 및 분석 효율성을 증대시켜 드립니다.
- 전자세금계산서 및 부가세 신고 자료를 제공해 정산업무를 지원합니다.
3. 마케팅 지원과 리스크 관리
- 다양한 이벤트 지원을 통해 고객사의 이익을 극대화시켜 드립니다.
- 불량매출과 중복거래를 관리하여 고객을 보호하고, 리스트크를 감소 할 수 있습니다.
- 고객사의 공지사항을 결제 창에 반영하여, 고객중심의 결제 창을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분석툴 안내
KDX한국데이터거래소는 데이터를 원하는대로 직접 분석 및 시각화할 수 있는 분석도구를 제공합니다.
회원유형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분석도구를 이용해 보세요.
KDX-Analytics는 KDX에서 구매하고 판매하는 데이터와 로컬 데이터를 인스턴스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NHN 토스트상에 설치된 Hadoop과 Spark기반으로 데이터 분석툴을 제공합니다.
*인스턴스별 시간당 가격(CPU 메모리 스토리지 합산) 및 특정 인스턴스 사용시 잔여기간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고급회원은 r2.c2m8(300G 기준)으로 3만시간, x1.c16m128(300G 기준) 4,954시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금액 소진시 크레딧을 충전한 후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마켓
AI 비즈니스
기업회원 알아보기
KDX 뉴스레터 데이터루
(주)케이디엑스한국데이터거래소는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주)케이디엑스한국데이터거래소는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대표자: 박재현 사업자번호: 469-87-01591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9-서울중구-2344호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 4층(필동 1가, 매일경제신문사빌딩) 대표 전화 : 02-2000-5936 대표 이메일: [email protect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