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을 사용하는 경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2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아이폰에서 ‘설정→전화’로 이동해 ‘다른 기기에서의 통화→다른 기기에서의 통화 허용’을 켠다. 그리고 바로 아래 통화를 원하는 맥(또는 아이패드 등 iOS 기기)를 선택한다.

Mac에 얼마나 좋은 Doctor 디스크 클리너가 있습니까? : 앱 리뷰

Mac 옵티마이저나 클리너 또는 사용하고 싶은 이름이 무엇이든 설치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면 옵션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모든 종류의 옵티마이저와 클리너를 사용할 수 있지만 불행히도 모든 것이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한 앱이 무료로 수행하는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는 값비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이것이 내가 리뷰를 위해 Doctor Disk Cleaner와 같은 무료 앱을 선택한 이유입니다. 시작하겠습니다.

메모: 앱의 브랜드가 변경되었습니다. 디스크 클린 프로.

가장 먼저

사람들은 사용하기 쉽고 때로는 구형 Mac의 전조인 비치볼의 발생을 줄이기 때문에 최적화 또는 디스크 정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Doctor Disk Cleaner는 매우 깨끗하고 깔끔한 레이아웃을 자랑합니다. Uninstaller, Duplicates Cleaner 또는 Shredder와 같은 모든 종류의 추가 기능이 없지만 앱이 사용자에게 많은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 효과적인 디스크 정리 도구입니다.

Mac을 위한 최고의 청소 앱인가요?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닥터 디스크 클리너 기능

Doctor Disk Cleaner의 홈 화면은 Mac의 메뉴 표시줄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두 가지 빠른 사용 기능을 제공합니다. ‘메모리 최적화’ 그리고 ‘원클릭 클리너’. 메모리 최적화를 사용하면 최적화 버튼을 클릭하여 RAM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메모리 리소스를 요구하는 일부 불필요한 프로세스 및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또한 상당한 메모리를 사용하는 앱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려줍니다.

One Click Cleaner는 시스템에 축적된 정크를 빠르게 제거합니다.

클릭 ‘전체 디스크 스캔’ 다른 Mac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 창으로 이동합니다. 스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앱에 정크 파일 및 대용량 파일 목록이 표시됩니다.

Mac용 Doctor Disk Cleaner 앱 리뷰

모두 선택하고 ‘지금 정리’ 버튼을 클릭하여 정크 항목을 스크랩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클리너는 정크 파일 모듈의 일부로 별도의 구성 요소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사용하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브라우저 기록, 쿠키 및 기타 모든 추적을 동시에 정리합니다.

‘대용량 파일’ 사용자가 하드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는 원치 않는 대용량 파일을 찾아 삭제할 수 있는 또 다른 기능입니다.

Mac에서 원하지 않는 파일 지우기

파일 크기 필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Doctor Disk Cleaner는 지정된 크기보다 큰 모든 파일을 표시합니다. 파일 범주를 선택하고 원하지 않는 파일을 표시하고 클릭 한 번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금 청소’.

그것은 내가 일부를 삭제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600MB 무작위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생성된 복제 동영상입니다. 파일 이름과 크기가 표시되므로 Mac에서 중복되는 무거운 파일을 삭제하는 데 편리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Doctor Disk Cleaner를 다운로드해야 합니까?

의심의 여지없이. Mac을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몇 가지 좋은 기능이 포함된 작은 무료 앱입니다. 메모리 최적화는 Mac에서 사용 가능한 RAM이 부족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대용량 파일’ 좋은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좋은 유틸리티입니다.

macOS/iOS 개발 환경 설정하기

얼마전 M1 맥북 프로를 구입하고 나서, 기존 맥에서 사용하는 설정을 옮기지 않고 하나씩 설정하면서 필요한 것들을 기록했다.

다른 개발 환경 설정 글도 있었지만, 맥을 처음 쓰는 사람들과 macOS/iOS 개발자를 위해서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만한 팁들을 드디어 정리했다.

# 들어가며

단축키를 설명할 때는 다음과 같은 표기를 사용합니다.

command ⌘ , shift ⇧ , option(또는 alt) ⌥ , control(또는 ctrl) ⌃

캡스록 caps lock ⇪

최근에 맥북을 구입하면 캡스록 자리를 한/영 전환으로 표기해서 나온다. 심지어 아이패드 키보드를 구입해도 한/영 키보드 구입하는 경우는 한/영 전환으로 나온다. 이걸 바꾸려면 키보드 환경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

fn

애플 키보드나 맥용 키보드에서는 화면 밝기, 볼륨등 펑션키로 시스템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표준 펑션키 F1, F2를 누르려면 fn키와 같이 눌러야 한다. 펑션키 자리에 터치바가 있는 맥북도 fn키를 누르면 F1…F12가 표시된다. (물론 키보드 설정에서 터치바에 표시되는 방식을 바꿀 수도 있다.)

# 시스템 환경설정

아쉽게 시스템 환경 Mac을 사용하는 경우 Mac을 사용하는 경우 설정을 바로 열수 있는 키보드 단축키는 없다.

🎵 개인적으로 자주 쓰는 방법은 ⌥ + F2(화면 밝기 키우기)를 누르면 Display 환경 설정이 뜨는 데 거기서 다른 메뉴로 이동한다.

General

  • 라이트/다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자동Auto으로 하면 다이나믹 배경화면과 함께 시간이 지나 저녁 시간쯤 되면 다크 모드로 바뀐다. 해뜨면 라이트모드, 해지면 다크모드
  • 화면에서 강조되거나 선택해야 하는 디폴트 값을 표시하는 Accent Color와 Highlight Color를 지정할 수 있다. Highlight색은 표준 컨트롤에서 텍스트를 선택하거나 영역을 선택하면 나타난다.
  • 개인적으로는 스크롤바가 생겼다 사라졌다 하는게 더 신경쓰여서 Always 항상 표시한다.
  • 모바일 기기에서 쓰던 앱을 이어서 쓸 수 있는 핸드오프 기능을 사용하려면 여기서 선택해야 한다.

Dock & Menu Bar

메뉴바에 표시할 지, Control Center에 표시할 지 감출 것인지 여기서 설정한다. 메뉴바에 나오는 날짜/시간 표시를 Date & Time 메뉴가 아니라 여기서 변경해야 한다.

M ission Control

  • 미션 컨트롤과 데스트탑 스페이스를 나눠서 사용할 경우에 쓸모가 있다. 스페이스는 모니터별로 데스트탑 화면 공간을 가상으로 나눌 수 있고, 특정한 앱을 선택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멀티 모니터를 쓰는 경우는 헷갈릴 수도 있음 주의.
  • 좌측 하단 버튼으로 핫코너를 설정할 수 있는데 터치바를 쓰지 않는 아이맥이나 맥미니 계열은 핫코너에 원하는 기능을 연결하면 쓸모가 있다. 터치바에는 비슷한 기능을 터치바에 버튼으로 넣을 수도 있다.

⚠️ 마우스 커서를 옮기다가 실수로 핫코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control ^ 이나 option ⌥, command ⌘ 키를 누르고 (조합도 가능하다) 핫코너로 이동한 경우만 동작하도록 지정하자.

Language & Region

개발자들은 언어와 지역은 항상 같이 생각해야 한다.로케일 Locale 설정 코드도 `언어_지역` 순으로 표시된다.

개인적으로 맥이나 아이폰, 아이패도 모두 언어는 영어English를 상위로 올려서 사용한다. 로컬라이즈 메뉴 표시가 어색해서 사용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에러 문구를 찾을 때도 번역 문구보다는 원문으로 찾는 게 도움이 된다. 특히 맥에서는 원하는 앱만 지정해서 언어를 지정할 수 있어서 영문이 좋다.

지역은 한국(kr)으로 지정하는 편이다. 가끔 포맷 테스트를 위해서 바꾸기도 하지만 기본 설정을 활용한다.

Security & Privacy

  • Require password `immediately` after sleep or screen saver begins 잠자기나 화면 보호기 이후에 패스워드 확인은 `즉시`로 바꾸는 걸 추천한다.
  • 터치ID가 없는 장비라면 Apple Watch로 unlock하는 옵션도 추천한다.
  • Allow apps downloaded from: 항목은 필요할 때만 바꿔도 된다. 인증되지 않은 앱을 설치하지 않도록 막는 Gatekeeper 기능인데 설치하는 앱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App Store and identified developers`가 무난하다.
  • FileValut 나 Firewall 항목은 집에서만 쓰는 경우는 꺼둬도 된다. 하지만 이동이 많고 분실 우려가 있다면 켜두는 것도 권장할 만 하다.
  • Privacy 항목은 iOS 장비들처럼 점점 항목이 많아지고 있다. 빅서부터는 사용자가 모르고 접근하지 못하도록 거의 대부분 기능을 막을 수 있다. 개발자들은 시스템 수준에서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여기에서 접근 권한을 풀어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파일이나 폴더, 디스크, 키보드 이벤트, 접근성, 블루투스나 주소록까지 다양한 시스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앱별로 설정해줘야 한다.

Users & Groups

장비를 혼자만 쓰는게 아니라면 여기서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Guest 계정은 지우거나 금지하는 게 좋다.

⚠️ 만약 회사에서 LDAP 이나 ActiveDirectory 같은 디렉토리 서비스로 계정을 관리한다면 여기서 Network Account Server를 지정하면 된다.

Keyboard

▪️ Keyboard 탭

키 반복 입력, 딜레이를 지정할 수 있다. 키보드 타입을 바꿀 수 있는데, 좌/우 쉬프트 옆에 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 Modifier Keys를 선택하면 캡스록이나 Command키를 다른 시스템 키로 매핑할 수 있다.맥용 키보드가 아닌 경우 키를 바꿀 때 유용하다.

▪️ Text 탭

자주 쓰는 문장을 축약해서 넣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우측에 있는 옵션들을 끄고 쓰는 편이다. 자동으로 해주는 게 너무 불편하다 ㅜㅜ

⚠️ 특히 Use smart quotes and dashes 옵션은 꼭 끄자.

▪️ Shortcuts 탭

♥️ 알아두면 쓸만한 것들

메뉴바로 이동 ^ + F2

독으로 이동 ^ + F3

상태바로 이동 ^ + F8

(멀티스크린 포함) 전체 화면 캡처 ⇧ + ⌘ + 3

영역 선택 화면 캡처 ⇧ + ⌘ + 4

윈도 선택 캡처 ⇧ + ⌘ + 4, Space

화면 레코딩 ⇧ + ⌘ + 5

▪️ Input Sources 탭

영문, 한글(두벌식, 세벌식) 입력기를 추가하거나 다국어 입력기를 추가할 수 있다. 구름입력기, 바람입력기 같은 개발자들이 추가하는 다른 입력기도 설치하고 여기서 추가하면 된다.

♥️ 맥에는 이모지를 입력기가 따로 없는데, ^ + ⌘ + Space를 동시에 누르면 이모지 포함한 유니코드를 찾아서 입력할 수 있는 Character View 최상위 창이 뜬다.

Trackpad

▪️ Point & Click 탭

Tap to click 체크 : 클릭하지 않고 터치(탭으)로 클릭 효과 주기

▪️ More Gestures 탭

Mission Control, App Exposé 정도는 켜놓고 익숙해지는 게 좋다.

♥️ 여기서 힌트 : é 글자를 입력하려면 option + e를 누르고 영문 e를 누른다.

Accessibility

윈도 드래그가 클릭후에 손을 다 띄지 않고 움직이는 방법도 있지만 다른 방법도 있다. 설정 화면이 트랙패드 제스처에 있다가 옮겨졌다.

Accessibility > Pointer Control > Trackpad options… 를 눌러서 들어가면 선택할 수 있다. 마우스를 주로 쓰는 경우가 아니면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트랙패드를 쓴다면 써보길 추천한다.

Network

네트워크 옵션 중에 추천할 만한 것은 Thunderbolt 케이블이 있다면 Thunderbolt Bridge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서 두 대 맥을 direct로 연결할 수 있다. 썬더볼트 케이블로 타깃모드로 연결할 수 있지만 켜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썬더볼트로 연결하고 Synergy 또는 Barrier 같은 KV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맥을 키보드, 마우스를 부드럽게(!) 공유할 수 있다.

Sharing

화면 공유, ssh 접속 등을 설정한다. 여기서 컴퓨터 이름을 바꿀 수 있다. (터미널에서 보이는 hostname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다른 장비에서 내 장비로 접속하려면 필수!

# Finder 파인더 설정

▪️ General

파인더Finder를 실행하고 ⌘ + , (또는 메뉴에서 Finder > Preferences…)를 선택한다. 여기 선택이 개취지만, New Finder Windows show: 항목은 Recents인 경우 살짝 멈칫거린다.

개인적으로는 Finder에서 탭으로 보이는 것도 별로라 unchecked (Mac을 사용하는 경우 Mac을 사용하는 경우 대신 파인더에서 ⌘ + T 누르면 새 탭으로 열린다)

▪️ Sidebar

보여줄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Finder에서 그냥 사이드바로 드래그해서 추가해도 된다.

▪️ Advanced

모든 확장자를 표시하는 걸 권장한다. Show all filename extensions 체크하자

# 개발명령도구 추가

iOS/macOS 개발자라면 Xcode (다른 선택지가 Mac을 사용하는 경우 없으니 이게 최선입니다⁉️)

CLT(Command Line Tools) 패키지 설치하기

개발명령도구를 설치해야 git을 쓸 수 있다. 물론 아래 homebrew를 설치하고 git만 설치할 수도 있다.

명령 설치 디렉토리는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usr/bin

Xcode 설치했을 때 명령 설치 디렉토리

어떤 명령들이 있나

gcc, lldb, git, make, pip3, python3(심볼릭링크), copypng, instruments, symbols, xcodebuild, xctest(심볼릭링크), vmmap

# 폰트 설치

SF Mono | SF Pro Display | New York 정도는 설치하자.

⚠️ ~/Library/Fonts에 복사해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이트에서 받은 패키지로 설치하는 게 좋다. 그렇지 않으면 Font weight나 style이 뒤죽박죽 될 수도 있다. (그 불편함은 당해본 사람만 안다 ㅎㅎ)

# 추천 앱 설치

  • iTerm2 맥용 터미널 앱의 대명사 https://iterm2.com
  • iTerm용 테마https://iterm2colorschemes.com
  • Visual Studio Code 설명이 필요없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텍스트 편집기는 대동단결. https://code.visualstudio.com
  • Visual Studio Code 베타버전(M1 맥북용 arm64 인사이더 버전을 받을 수 있음) https://code.visualstudio.com/insiders/
  • Unarchiver 깔끔한 무료 압축풀기 앱 https://apps.apple.com/kr/app/the-unarchiver/id425424353?l=en&mt=12
  • (선택)Slack 슬랙에서 벗어날 때가 가까워진 것 같지만 여전히 많이 쓰는 슬랙 (iOS 앱 입력기 버그 좀 잡아주라…) https://apps.apple.com/kr/app/slack/id803453959?l=en&mt=12
  • (선택)SourceTreehttps://www.sourcetreeapp.com 호불호가 나뉘기는 하지만 GitHub Desktop 앱과 함께 무료로 쓰기 좋은 앱이다.
  • (선택)GitHub Desktophttps://desktop.github.com
  • (선택)하나타자연습 - 유료 바로 제가 만든 앱입니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만, 개발자라면 타자연습 정도는 즐길 수 있어야죠. 특이하게 짧은 글 연습에 코드를 입력하는 개발자 모드가 있습니다 ㅎㅎ https://apps.apple.com/kr/app/hanatypewriter/id1501811568?l=en&mt=12
  • (선택)알프레드Alfred - 유료 유명한 런처앱. 스포트라이트로 대부분 된다고 하지만 워크플로우를 써봐야 제대로 쓰는 것임 https://www.alfredapp.com/
  • (선택)바텐더Bartender - 유료 메뉴바를 확실하게 개선시켜주는 앱인데 검색+런처 기능도 지원함. 메뉴바 아이템이 많고 화면이 좁으면 필수 https://www.macbartender.com
  • (선택)iStatMenus - 유료 맥 시스템 모니터링을 메뉴바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https://bjango.com/mac/istatmenus/

# 터미널 설정

요즘은 macOS 기본 shell은 zsh이다. 역시 대세는 zsh. 그래서 oh-my-zsh도 추천한다.

oh-my-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 최애 테마는 gnzh

테마에 따라서는 전용 font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zshrc 추가 옵션

개인적으로 추가할 옵션은 쉘 환경을 vi 모드로 바꿔주는 것이다. 그러면 단어 사이를 이동하거나 지우거나 동작들을 vi 단축키로 할 수 있다. 물론 vi 명령에 익숙해야한다 🤭

ASCII ART 추가

터미널에 접속할 때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려면 아스키 아트를 추천한다.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런 서비스에서 단어를 입력하고 폰트를 바꾼다음 생성한다.

Text to ASCII Art Generator (TAAG)

Main Controls - *FIGlet and AOL Macro Fonts Supported*

생성한 문자열을 echo 명령으로 한 줄씩 출력하는 방식이다.

터미널 호스트네임 변경하기

₩ -> ` 키맵 설정하기

macOS나 iOS에서 한글 키보드에서는 백쿼트를 입력하지 못하게 바뀌었다. (그렇다 분명 예전에는 안그랬다.) 그래서 ₩ 키 대신 ` 키로 입력하도록 바꾸려면 다음 두 줄을 입력하면 된다.

homebrew

homebrew는 Linux/Unix CLI 명령들(만 관리해줬지만 요즘은 일반 프로그램도)을 관리하도록 도와준다. 다른 언어처럼 이미 빌드된 루비나 파이썬도 설치할 수 있고, 개발자들이 자주 쓰는 도구 - 오픈소스를 받아서 빌드할 수도 있다.

설치 명령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sh)"

확인 명령

⚠️ 여기서 잠깐! M1 애플 실리콘 맥과 homebrew

Intel용으로 빌드된 패키지들을 설치하면 rosetta로 번역해서 실행한다. 이게 성능저하를 가져오기 때문에 애플 실리콘 native로 실행하려면 소스를 받아서 빌드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애플이 기본적으로 설치해주는 패키지는 Intel과 애플 실리콘용을 합쳐놓은 Universal로 배포해주지만 그 외에는 직접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Python3 실행하면 3.8.2 기본 설치되어 있고 Universal 바이너리다. (참고로 Python 2.7.16 유니버설로 설치되어있지만 비추니까 패스)

그래서 여러 개발자들이 과도기라서 /opt/homebrew 디렉토리에 native homebrew를 설치하도록 분리하고 있다. 다만 homebrew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해주는 게 아니라서 패키지에 따라서 설치 안 되는 게 있을 수 도 있다.

Chrome 원격 데스크톱으로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하기

컴퓨터 또는 휴대기기에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면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의 파일 및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웹으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휴대기기를 원격 액세스에 사용하려면 Chrome 원격 데스크톱 앱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도움말: 관리자는 사용자가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Chrome에서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할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Chrome 원격 데스크톱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컴퓨터 원격 액세스 설정

Mac, Windows, Linux 컴퓨터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컴퓨터에서 Chrome을 엽니다.
  2. 주소 표시줄에 remotedesktop.google.com/access 라고 입력합니다.
  3. '원격 액세스 설정'에서 다운로드 를 클릭합니다.
  4. 화면에 표시되는 안내에 따라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Chrome 원격 데스크톱 액세스를 허용하려면 컴퓨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설정에서 보안 설정을 변경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Linux에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Chromebook에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려면 컴퓨터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컴퓨터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

다른 사용자가 내 컴퓨터에 원격으로 액세스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내 앱, 파일, 이메일, 문서 및 방문 기록에 모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1. 컴퓨터에서 Chrome을 엽니다.
  2. 상단의 주소 표시줄에 remotedesktop.google.com/support 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3. '지원 받기'에서 다운로드 를 클릭합니다.
  4. 화면에 표시되는 안내에 따라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5. '지원 받기'에서 코드 생성을 선택합니다.
  6. 코드를 복사하여 컴퓨터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전송합니다.
  7. 코드를 받은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액세스 코드를 입력하면 나에게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대화상자가 표시됩니다. 공유를 선택하여 컴퓨터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부여합니다.
  8. 공유 세션을 종료하려면 공유 중지를 클릭합니다.

액세스 코드는 한 번만 유효합니다. 컴퓨터를 공유하는 경우 30분마다 컴퓨터를 계속 공유할지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컴퓨터에 원격으로 액세스하기

  1. 컴퓨터에서 Chrome을 엽니다.
  2. 상단의 주소 표시줄에 remotedesktop.google.com/access 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3. 액세스를 클릭하고 원하는 컴퓨터를 선택합니다.
  4.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PIN을 입력합니다.
  5. 화살표를 선택하여 연결합니다.

보안을 Mac을 사용하는 경우 위해 모든 원격 데스크톱 세션은 완전히 암호화됩니다.

원격 세션 중지

사용이 끝나면 탭을 닫아 세션을 중지합니다. 옵션 연결 해제를 선택해도 됩니다.

목록에서 컴퓨터 삭제하기

  1. 컴퓨터에서 Chrome을 엽니다.
  2. 상단의 주소 표시줄에 remotedesktop.google.com/access 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3. 삭제하려는 컴퓨터 옆의 원격 연결 사용중지 를 클릭합니다.

원격 지원 서비스 제공

  1. 다른 사용자가 원격 액세스 코드를 공유한 경우 원격으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컴퓨터에서 Chrome을 엽니다.
  3. 상단의 주소 표시줄에 remotedesktop.google.com/support 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4. '지원하기' 아래에 코드를 입력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1단계: 호스트 구성요소에 맞는 Debian 패키지 설치

여기에서 64비트 Debian 패키지를 다운로드합니다.

2단계: 원격 연결 허용

위의 '컴퓨터 원격 액세스 설정'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3단계(선택사항): 가상 데스크톱 세션 맞춤설정

처음 연결하면 기본 세션 선택기가 표시되며 여기에서 데스크톱 환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데스크톱 환경이 항상 실행되도록 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usr/share/xsessions/ 에서 원하는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desktop 파일을 찾습니다. 파일에서 Exec= 으로 시작하며 세션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가 있는 행을 찾습니다.

  • 예를 들어 Cinnamon에는 cinnamon.desktop 이라는 이름의 파일이 있습니다. 일부 버전에서 파일에 gnome-session --session=cinnamon 과 같은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Cinnamon 예시에서 올바른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exec /etc/X11/Xsession 'gnome-session --session=cinnamon'

도움말: 사용 중인 데스크톱 환경에서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세션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hrome 원격 데스크톱 세션과 로컬 세션에 다른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거나 세션 선택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션 Mac을 사용하는 경우 선택기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Chrome 원격 데스크톱의 데스크톱 환경이나 로컬 세션에서 로그아웃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같은 데스크톱 환경에 로그인해야 합니다.

Chrome 원격 데스크톱 삭제하기

  1. Chrome 원격 데스크톱 액세스를 삭제하려는 컴퓨터별로 다음과 같이 앱을 삭제합니다.
    1. 제어판프로그램프로그램 추가/삭제로 이동합니다.
    2. 'Chrome 원격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찾습니다.
    3. 삭제를 클릭합니다.
    1. Chrome 원격 데스크톱 액세스를 삭제하려는 컴퓨터별로 다음과 같이 앱을 삭제하세요.
      1. 'Chrome 원격 데스크톱 호스트 제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합니다.
      2. 제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거를 클릭합니다.

      문제해결 도움말

      Chrome 원격 데스크톱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음 도움말을 따르세요.

      • 컴퓨터를 공유하거나 컴퓨터에 액세스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페이지가 열리지 않으면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합니다.
      •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가 Chrome 원격 데스크톱 사용을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Chrome 원격 데스크톱 사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가 다음을 허용하는지 확인하세요.
        • 아웃바운드 UDP 트래픽
        • 인바운드 UDP 응답
        • TCP 포트 443(HTTPS) 트래픽
        • 포트 3478(STUN)의 TCP 및 UDP 트래픽

        다른 문제가 있으면 Chrome 도움말 포럼에서 신고해 주세요.

        Chrome 원격 데스크톱 개선하기

        Google에서는 Chrome 원격 데스크톱 개선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네트워크 지연 및 세션 지속 시간에 관한 익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합니다.

        [App] MacOS(맥OS) Caffeine(카페인) Version 1.1.3 설치 및 사용기

        Mac(맥)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특정 시간 혹은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다 보면 스크린 세이버나 잠자기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물론 사용하지 않고 자리를 비우는 경우라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거나, 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해야 하는 것 당연하다.

        잠긴 경우 항상 키보드, 마우스, 트랙패드 등등을 이용하여 깨울 수 있지만 그럴 때마다 항상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불편하다.

        글을 쓰거나, 동영상을 보거나, 장시간 빌드를 하거나, 혹은 장시간 켜놓고 있어야 하는 경우 등 여러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위와 같은 상황에서 벗어나서 항상 Mac을 깨어 있는 상태로 유지할수있는 애플리케이션 Caffeine(카페인)이 있다.

        Mac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한번정도는 설치 혹은 사용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이다 필자도 오래전부터 잘 사용하고 있으나, 이번에 Mac을 새로 설정하다 보니 Caffeine(카페인)이 2020년 5월 12일에 MacOS Mojave 및 Catalina를 지원하도록 Update(업데이트)가 되었다.

        업데이트되면서 다크 모드(Dark Mode) 및 Bar Icons이 Retina로 업데이트되었다.
        - 요 전까지는 수동으로 Bar Icon을 변경하여 사용하곤 했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겠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 다운로드(Download) 및 설치(Install) / 사용방법(Use)에 대해서 알아보자.

        1. Caffeine 다운로드 및 설치

        예전에는 App store(앱스토어)에서 받아서 설치하였으나, 이제는 다운로드하여서 설치를 해야 한다.

        • HomePage : https://www.intelliscapesolutions.com/apps/caffeine
        • Link : https:// github.com/IntelliScape/caffeine/releases/download/1.1.3/Caffeine.dmg

        "Caffeine.dmg" 파일을 다운로드 후 파일을 클릭하여 실행 후 아래 그림과 같이 Caffeine.app 애플리케이션을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s) 디렉토리로 이동시켜 준다.

        2. 실행 및 설정

        이제 Caffeine을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자.

        필자의 경우는 단축키로 Spotlight(검색)를 실행 시켜 바로 Caffeine 불러 필요한 경우에는 활성화 시켜 사용하고 있다.

        Mac을 사용하는 경우

        더 기어 연재 ‘맥 초보 가이드’ - 애플의 컴퓨터, 노트북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한 Mac을 사용하는 경우 연재입니다. 아주 친절하게 맥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맥 고수로 가는 길 더 기어와 함께 하세요. 매주 수요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맥에 뒤늦게 입문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면 아마 아이폰을 쓰면서 느꼈던 사용자 경험 때문일 것이다. 만약 아이폰과 맥을 함께 쓰고 있다면 두 기기를 연결하면 사용성을 더 확장할 수 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아이팟의 iOS와 맥용 OS X는 애플이 전략적으로 개발 리소스를 공유하며, 점차 하나로 통합하고 있다. 맥과 아이폰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작업 5가지를 소개한다.

        맥과 아이폰 연결하기

        맥과 아이폰(아이패드,아이팟 포함)을 이어주는 기능은 '핸드오프(Handoff)'기능이다. 핸드오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이폰의 버전은 iOS 8 이상, 맥은 OS X 요세미티 이상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아이폰과 맥이 블루투스 범위안에 있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마지막으로 맥과 아이폰 모두 동일한 애플ID(아이클라우드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어야 한다.

        - 아이폰 준비

        iOS8 이상 설치된 아이폰을 준비한다.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모두 활성화 시키고, ‘설정→일반→Handoff 및 추천 App’으로 이동해 ‘Handoff’를 활성화한다.

        - 맥(OS X) 준비

        맥 역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모두 설정해아 한다. 시스템 환경 설정의 ‘일반’ 패널에 추가된 ‘이 Mac과 iCloud 기기 간의 Handoff 허용’ 설정에 따라 활성/비활성화 된다.


        ▲ ‘시스템 환경설정→ 일반’으로 이동해 화면 하단 ‘이 Mac과 iCloud 기기 간의 Handoff 허용’에 체크한다. 이 옵션이 없는 경우 아이폰과 맥 사이의 파일 전송이 불가하다.

        1. 에어드롭 사용하기

        에어드롭은 아이폰과 맥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받는 기능이다. 아이폰은 ‘제어 센터’에서 손쉽게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는 반드시 켜놔야 한다. .
        맥은 파인더 사이드 바에서 ‘에어드롭’을 클릭하면 파일 전송 대상이 나타난다. 맥 역시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모두 활성화해야 한다.

        - 먼저 아이폰에서 맥으로 파일을 보내보자.


        ▲ 아이폰에서 사진 앱을 터치하고, 맥으로 전송할 이미지를 선택하자. 그리고 화면 왼쪽 아래 공유 버튼(왼쪽 이미지 네모 부분)을 탭한다. 그러면 주위의 애플 기기가 오른쪽 이미지(중간 네모 부분) 처럼 나타난다. 이미지를 전송할 기기를 선택하자.


        ▲ 맥 파인더는 아이폰에서 보낸 이미지를 곧바로 수신한다. 전송 상태를 사용자 iOS 기기 아이콘 주위에 테두리를 그리며 알려준다.

        - 이번에는 맥에서 Mac을 사용하는 경우 아이폰으로 파일을 전송해 보자.


        ▲ 맥 파인더를 실행하고 에어드롭 탭을 클릭한다. 주위의 아이폰 등 iOS 기기나 맥 컴퓨터가 나타난다. 아이폰꽈 아이패드가 동시에 나타났다.


        ▲ 아이폰으로 전송할 이미지를 드래그 하여 놓는다.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한번에 보낼 수 있다.

        맥에서 아이폰으로 파일을 전송할 경우는 호완 앱이 필요하다. 이미지는 ‘사진’ 앱이, 오피스 문서는 '넘버스 페이지' 등의 호환 앱이 설치되어 있을 때 전송이 완료된다. 압축 파일도 마찬가지다. 텍스트 파일은 인코딩에 주의해야 한다. 유니코드(UTF-8)가 적용된 문서에 한해 전송된다. 페이지에서 작성한 문서를 보낼 때도 마찬가지이며, 맥에서 iOS 기기로 보내는 모든 텍스트 문서는 원칙적으로 유니코드를 준수해야 한다. 음악 파일은 ‘음악’ 앱의 에어드롭 미지원으로 M4A, MP3 또 는 WAV 등 iOS 표준 대응 파일을 보내더라도 음악 앱을 통한 재생은 불가능하다.

        2. 맥에서 전화 받고 걸기

        맥과 아이폰으로 전화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아이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맥에서 받고, 반대로 맥에서 아이폰은 물론 안드로이드 폰, 피처폰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전화 연결을 설정하려면 맥 ‘페이스 타임’ 앱 ‘환경 설정’에서 ‘iPhone 통화’에 체크한다. 아이폰에서도 ‘설정→ 전화’로 이동해 '다른 기기에서의 통화 허용' 항목을 활성화한다.


        ▲ 맥에서 ‘페이스 타입’ 앱을 실행하고 환경설정으로 이동한다. 아이폰과 동일한 애플 ID인지 확인하고 ‘iPhone 통화’에 체크한다.
        사용자의 페이스 타임 연락처는 전화번화와 애플ID로 사용하는 이메일을 등록하면 된다.


        ▲ 아이폰에서 ‘설정→전화’로 이동해 ‘다른 기기에서의 통화→다른 기기에서의 통화 허용’을 켠다. 그리고 바로 아래 통화를 원하는 맥(또는 아이패드 등 iOS 기기)를 선택한다.

        3. 맥에서 메시지 보내기

        아이메시지를 이용하면 안드로이드 폰, 피처폰 사용자와 주고받은 모든 메시지 수신은 물론 맥에서 안드로이드 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아이메시지를 통해 이뤄지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은 맥, 아이패드 등 여러 애플 기기를 쓴다면 원하는 기기에 한해 적용 가능하다.


        ▲ 맥에서 메시지 앱을 실행하고, 환경 설정으로 이동해 아이폰과 동일한 애플 ID로 로그인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 메시지 앱에서 아이폰과 연동할 것인지 묻는다. 이때 아이폰 화면에 인증 화면이 나타난다. 맥 화면의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문자 메시지 연동이 시작된다.


        ▲ 만약 인증 코드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아이폰 ‘설정→ 메시지→ 문자 메시지 전달’로 이동해 해당 애플 기기를 켠다.

        4. 메일 작업 이어서 하기

        아이폰에서 메일을 쓴다고 가정해보자. 화면이 작아 오타가 많고 작성할 내용이 많으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전에는 임시 저장하고 컴퓨터에서 다시 불러와 재작업을 해야 했다.
        다행히 iOS 8과 OS X 요세미티 이후부터는 핸드오프 덕분에 작업 사이의 흐름은 끊어짐 없이 이어진다. 사파리도 마찬가지다. 아이폰 사파리에서 읽던 웹 페이지를 맥 사파리에서 그대로 이어서 볼 수 있다. 아이폰에서 메일 앱을 실행하면 맥 바탕화면 독(Dock) 옆 아이폰 그림이 새겨진 메일 앱 아이콘이 나타난다. 맥에서 사파리를 실행하면 아이폰 잠금 화면 아래 왼쪽, 멀티태스킹 화면 아래 사파리 앱이 나타난다.


        ▲ 아이폰 홈 버튼을 터치하면 잠시 후 맥 바탕화면 아래 독(Dock) 옆으로 아이폰 아이콘이 그려진 메일 앱이 나타난다. 아이폰에서 메일 작성 중임을 알린다. 이것을 클릭하면 맥 메일 앱이 실행되면서 작성 중인 화면이 뜬다. 사파리도 동일하다.


        5. 아이폰이 공유기 ‘인스턴트 핫스팟’

        외부에서 인터넷 공유기 역할을 톡톡히 하는 아이폰. iOS8 이후+OS X 요세미티 이후 조합에서 사용자는 일일이 개인용 핫스팟 기능을 활성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난다. 맥 전원을 켜면 근거리에 있는 아이폰을 자동으로 찾아 인터넷 연결 준비를 하는 ‘인스턴트 핫스팟(Instant Hotspot)’ 덕분이다. 인스턴트 핫스팟은 맥에서 사파리를 쓰는 중인지도 자동으로 파악해 핫스팟 연결을 끊거나 다시 연결한다.


        ▲ 아이폰 제어 센터에서 블루투스를 활성화한 다음 맥 화면 상단 메뉴바에서 와이파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개인용 핫스팟에 ‘○○○ 아이폰’이 표시된다.


        ▲ 이를 클릭하면 아이폰 개인용 핫스팟 기능이 활성화되며, 맥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