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게이트키퍼 통화 허용 제어 구성
본 제품에 대한 문서 세트는 편견 없는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설명서 세트의 목적상, 편견 없는 언어는 나이, 장애, 성별,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성적 지향성, 사회 경제적 지위 및 교차성에 기초한 차별을 의미하지 않는 언어로 정의됩니다. 제품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하드코딩된 언어, RFP 설명서에 기초한 언어 또는 모든 전략 허용 모든 전략 허용 참조된 서드파티 제품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인해 설명서에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스코에서 어떤 방식으로 포용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이 번역에 관하여
Cisco는 전 세계 사용자에게 다양한 언어로 지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계 번역 기술과 수작업 번역을 병행하여 이 문서를 번역했습니다. 아무리 품질이 높은 기계 번역이라도 전문 번역가의 번역 결과물만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Cisco Systems, Inc.는 이 같은 번역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며 항상 원본 영문 문서(링크 제공됨)를 참조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기본 게이트키퍼 통화 허용 제어를 위한 샘플 컨피그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사전 요구 사항
요구 사항
게이트웨이가 게이트키퍼로부터 올바른 주소 확인을 얻기 전에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모든 VoIP 솔루션에 대해 저속 링크가 포함된 경우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구성을 시도하기 전에 다음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모든 게이트웨이는 해당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모든 게이트키퍼는 올바른 다이얼 플랜을 가져야 통화를 위한 경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영역 간의 통화 번호를 제한하도록 허용 제어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처음 두 포인트는 구성 섹션에서 고려되므로 Background Information 섹션의 입장 제어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사용되는 구성 요소
이 문서의 정보는 다음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전을 기반으로 합니다.
Cisco 2600 라우터 3개
Cisco IOS ® Software 릴리스 12.2.8.5 ENTERPRISE PLUS/H323 MCM.
이 문서의 정보는 특정 랩 환경의 디바이스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에 사용된 모든 디바이스는 초기화된(기본) 컨피그레이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라이브 네트워크에서 작업하는 경우, 사용하기 전에 모든 명령의 잠재적인 영향을 이해해야 합니다.
표기 규칙
문서 규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isco 기술 팁 표기 규칙을 참조하십시오.
배경 정보
이 샘플 컨피그레이션은 2개 영역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VoIP 네트워크를 연구하며, 이 토폴로지는 두 영역 모두에 게이트웨이가 3개 있는 게이트키퍼에 의해 관리됩니다. 이 문서의 목적은 영역 간 및 내부 통화 수에 정책을 적용하는 수락 제어 컨피그레이션의 간단한 예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문서에는 구성된 기능, 설계 지침, 기본 확인 및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기술 배경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이 구성에서는 4개의 라우터가 동일한 LAN에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토폴로지에서는 모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네트워크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의 소스가 여러 개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모든 조건은 무수하고 쉽게 간과하기 쉽기 때문에 구별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자주 일어나는 몇 가지 흔한 상황들이 있는데, 그것은 고려할 가치가 있다. 트래픽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라우터가 그러한 트래픽의 소스가 아닐 경우 허용 제어가 문제가 됩니다. 일반적인 토폴로지는 라우터 쌍이 제공하는 링크를 통해 연결된 두 사이트의 여러 음성 게이트웨이를 포함합니다. 또 다른 토폴로지는 PSTN 또는 PBX에 대한 게이트웨이와 함께 두 사이트에서 IP 전화를 사용하는 Cisco CallManager를 포함합니다. 두 경우 모두 링크 양쪽에서 음성 트래픽의 소스가 여러 개 있습니다.
음성 트래픽의 양이 우선순위 대기열에 대해 구성된 대역폭을 초과할 경우 음성 품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트래픽을 시작하는 라우터와 Cisco CallManager/IP 전화기에 위의 설계에서 통화 허용을 위한 중앙 집중식 관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대역폭을 초과하는 패킷은 삭제됩니다.
이 시나리오를 피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LLQ(Low Latency Queue)에서 음성 대역폭을 구성하여 모든 소스의 최대 통화 수를 허용하는 것입니다. 음성 트래픽이 없을 경우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은 데이터 흐름에 부여됩니다. 이 작업은 링크의 총 대역폭이 최대 통화 수에 필요한 대역폭보다 높을 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더 현명한 방법은 링크의 양쪽 끝에서 음성 트래픽의 각 소스에 제한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사이트의 요약 대역폭이 사이트 간 링크의 권장 실제 대역폭의 75%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제한을 적용하려면 VoIP 다이얼 피어 컨피그레이션 아래에서 max-conn 명령을 사용합니다. 하나의 중앙 사이트에만 Cisco CallManager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CallManager 없이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브랜치 사이트에 대한 통화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음성 트래픽의 소스가 링크를 오버서브스크립션할 수 있는 상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단점은 소스에 부여된 대역폭의 경직된 사용입니다. 이 접근 방식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있더라도 일부 게이트웨이가 추가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
가장 유연한 접근 방식은 중앙 집중식 통화 허용 제어를 위해 별도의 엔티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게이트키퍼 게이트키퍼는 두 개의 Cisco CallManager(또는 CallManager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두 사이트를 바인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 게이트키퍼를 사용한다고 해서 반드시 새로운 개별 라우터를 구매하는 것은 아닙니다. 통화 수 및 라우터의 부하를 기준으로 적절한 Cisco IOS 기능 집합이 Enterprise/PLUS/H323으로 설정된 기존 라우터 중 하나에 게이트키퍼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소규모 브랜치를 관리하고 중앙 사이트에서만 전용 게이트키퍼를 허용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키퍼 접근 방식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라우터에 추가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중요한 링크의 추가 트래픽을 방지하기 위해 토폴로지에서 게이트키퍼를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토폴로지에 적합한 번호로 별도의 Cisco 라우터를 네트워크에서 전용 게이트키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토폴로지를 고려하십시오. 여기에서 단일 게이트키퍼가 관리하는 두 개의 로컬 영역에 모든 디바이스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각 영역에 많은 수의 통화가 있을 수 있지만 해당 통화간 통화 수는 제한됩니다. 테스트 예에서는 두 영역 간의 대역폭을 하나의 통화로 제한하고, 둘 중 하나에서 최대 두 개(더 많은 수)의 통화를 허용합니다.
작업을 완료하려면 Cisco High-Performance Gatekeeper에 설명된 bandwidth(gatekeeper) 명령을 사용합니다.
bandwidth(gatekeeper) 명령
H.323 트래픽의 최대 집계 대역폭을 지정하려면 bandwidth gatekeeper configuration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려면 이 명령의 no 형식을 사용합니다.
참고: 이 명령을 사용하면 영역의 단일 링크를 통해 대역폭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토폴로지를 통해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전화를 걸 수 있으면 링크가 쉽게 오버서브스크립션될 수 있습니다. 다음 토폴로지를 고려하십시오. 두 개의 영역은 두 개의 경로를 통해 연결되므로 각 경로를 통과하는 하나의 통화만 허용됩니다. 한 번의 통화로 대역폭을 제한하면 두 번째 경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역폭이 두 번의 통화로 제한될 경우 링크 중 하나가 초과 가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명령은 다른 모든 영역에 대한 경로가 하나만 있는 영역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허브 및 스포크" 토폴로지는 예외입니다. 허브에 여러 경로가 있지만 각 링크의 스포크에서 통화 수가 제한되므로, 허브는 링크를 오버서브스크립션하지 않습니다.
구문 설명
다음 표에서는 구문에 대해 설명합니다.
구문 | 설명 |
상호 영역 |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H.323 트래픽의 총 대역폭 양을 지정합니다. |
총계 | 영역에서 허용되는 H.323 트래픽의 총 대역폭 양을 지정합니다. |
세션 | 영역의 세션에 허용되는 최대 대역폭을 지정합니다. |
기본값 | 모든 영역의 기본값을 지정합니다. |
영역 영역 이름 | 특정 영역을 지정합니다. 특정 영역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대역폭 크기 | 최대 대역폭. 영역 간 및 총의 범위는 1~10,000,000kbps입니다. 세션의 경우 범위는 1~5,000kbps입니다. |
명령 모드
명령 기록
다음 표에서는 명령 기록에 대해 설명합니다.
릴리스 | 수정 |
---|---|
12.1(3)XI | 이 명령이 도입되었습니다. |
12.1(5)XM | zone gatekeeper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bandwidth 명령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
12.2(2)T | 이 명령은 Cisco IOS Software 릴리스 12.2(2)T에 통합되었습니다. |
12.2(2)XB1 | 이 명령은 Cisco AS5850 범용 게이트웨이에서 구현되었습니다. |
사용 지침
이전 Cisco IOS Software 릴리스에서는 zone gatekeeper 명령을 사용하여 bandwidth 명령의 기능을 가져왔습니다.
다음 예에서는 영역의 최대 대역폭을 5,000kbps로 구성합니다.
관련 명령
bandwidth remote—이 게이트키퍼와 다른 게이트키퍼 간의 H.323 트래픽의 총 대역폭을 지정합니다.
이 섹션에는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참고: 이 문서에 사용된 명령에 대한 추가 정보를 찾으려면 명령 조회 도구(등록된 고객만 해당)를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이 문서에서는 다음 네트워크 설정을 사용합니다.
목표는 zone1과 zone3 사이의 가용 대역폭을 하나의 통화로 제한하고 zone1에서 더 많은 통화 수(이 예에서는 최대 2개)를 허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통화 허용 작업에 대한 일반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 RAS(Registration, Admission, and Status Protocol) 메시지는 H225 통화 설정 메시지보다 먼저 전송됩니다. 그런 다음 H4245 협상은 그 측면에 실제로 그 기능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화의 실제 대역폭은 통화 허용 단계 및 RAS 메시지 교환 후에 정의됩니다. 그래서 게이트키퍼가 각 통화를 64kb 통화로 취급합니다. 따라서 음성 통화에 대한 영역 간의 대역폭 제한 증가를 64kb 단위로 늘려야 합니다.
참고: GW_3은 로우엔드 지사의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트키퍼와 동일한 라우터에 구성됩니다.
참고: 게이트키퍼 및 게이트웨이 구성을 확인하는 것은 GK-GW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컨피그레이션을 간편하게 이해하기 위해 관련되지 않은 모든 컨피그레이션 명령이 제거되었습니다.
GW_1 ECV-2600-17 |
---|
GW_2 ECV-2600-16 |
---|
GK_1 ECV-2600-15 |
---|
다음을 확인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컨피그레이션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일부 show 명령은 출력 인터프리터 툴 에서 지원되는데(등록된 고객만), 이 툴을 사용하면 show 명령 출력의 분석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show gateway—게이트웨이 등록 상태를 표시합니다.
show gatekeeper endpoints -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모든 게이트웨이를 나열합니다.
show gatekeeper zone prefix - 게이트키퍼에 구성된 모든 영역 접두사를 표시합니다.
show gatekeeper call - 게이트키퍼가 처리한 활성 통화를 표시합니다.
문제 해결
이 섹션에서는 컨피그레이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문제 해결 명령
일부 show 명령은 출력 인터프리터 툴 에서 지원되는데(등록된 고객만), 이 툴을 사용하면 show 명령 출력의 분석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2022 포뮬러 1 시즌을 따르기위한 완벽한 가이드: 알아야 할 모든 것
새로운 기술 규정 및 스포츠 변화는 어떻습니까?논란의 여지가있는 2021 년 정의를 피하는 참신함.팀, 자동차 및 운전자의 세부 정보.모든 종족
2022 년 포뮬러 1의 진실이 될 때였으며 이번 금요일에는 시즌 오프너의 본거지 인 바레인에서 두 번의 무료 연습 세션으로 활동이 시작됩니다.이 카테고리는 다른 공기 역학적 개념을 보여주는 신차에 대한 기술 규정을 선보입니다.또한 루이스 해밀턴과 막스 베르 스타펜 (Max Verstappen) 사이의 작년 정의와 같은 논란의 여지가있는 정의에서 갈등의 원인 인 후방에 대한 변화를 포함하는 스포츠 규정의 발전이 있습니다.또한 팀 라인업 수정 및 23 날짜로 역사상 가장 긴 일정.이 보고서의 모든 세부 정보입니다.
기술 규정.40 년 후, “지상 효과”가 돌아옵니다. 이 시스템은 자동차가지면에 달라 붙어 모서리에서 더 나은 모든 전략 허용 견인력을 얻고 속도를 높이고 트랙에서 추월하는 데 기여합니다.자동차는 상단과 하단에 부착물없이 더 깨끗하며 운전자와 엔진이 위치한 양쪽에있는 섹터 인 폰툰에 제시된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측면을 통한 공기 침투가 이루어집니다.
정면에서 공기는 모노 포스토 아래로 흐르지 만 바닥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하여 극도로 낮은 압력 영역을 만들고 아래에 많은 양의 흡입을 생성합니다.이러한 방식으로 다운 포스를 생성하기 위해 후면의 공기 흡입구에만 의존하지 않습니다.
메르세데스, 레드불, 페라리의 폰툰의 다양한 개념 (@F1)
그러나이 토양 효과는 1978 년에서 1982 년 사이의 것과 같지 않습니다. 현재의 토양 효과에는 더 나은 공기 흡입을 허용하는 폰툰 아래의 스커트 인 “polleritas”가 없기 때문입니다.난기류를 줄이기 위해 아래에 다양한 지느러미만 있습니다.이 시스템의 리메이크는 결함을 보여 주었고 아래를 통과하는 에어 트레일이 너무 짧기 때문에 직선의 자동차에서 반동 효과가 발생하여 엔지니어에게 골칫거리가 생겼습니다.
앞날개가 재정의되었으며 이제 최대 4개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엔드 플레이트 (앞쪽 날개의 끝) 가 이제 매우 다르게 보이고 약간의 부착물만 있다는 것입니다.그 모양은 마치 비행기의 날개처럼 위쪽으로 향합니다.경적은 1990 년대 초 자동차가 보았던 것처럼 스포일러에 직접 부착됩니다.
새로운 타이어로 피트 스톱 전략이 완전히 바뀔 것입니다 (@F1)
더 많은 오버런?이것이 목표이며, 이전 시뮬레이션에서 Formula One Management (FOM) 와 국제 자동차 연맹 (FIA)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회사는 두 대의 자동차가있을 때 하나는 다른 자동차보다 앞서있을 때 그 뒤에있는 자동차는 현재 약 86% 의다운 포스 (바닥 부착) 는 2021 년까지 하락한 55% 에 비해.이것은 이론적으로 그가 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에있는 것보다 더 나은 견인력을 가지고 도착하고 극복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DRS 파일입니다.이전 지점과 연결되어 있습니다.드래그 감소 시스템 또는 드래그 감소 시스템입니다.후방 날개가 움직일 때 더 나은 공기 흡입을 촉진하고 더 빠른 속도를 허용하는 공기 역학적 도구입니다.자동차가 리바운드를 제시 한 지상 효과 문제로 인해 계속 될 것입니다.
자동차는 너무 많은 부하가 없어도 공기 역학에서 더 깨끗해 보입니다.알파 로미오 (로이터/하마드 I 모하메드) 와 함께 맥시마 관유 저우에서 레이스를 한 최초의 중국인
새 타이어.피트 스톱의 전략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주요 쟁점입니다.2021년까지 사용되었던 13인치 타이어를 대체하는 18인치 타이어입니다.이 참신함은 고무의 과열을 줄이고 트랙의 그립력을 높여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켜 피트 스톱의 전략을 바꿀 것이기 때문에 핵심입니다.
올해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로 나뉩니다.
C1은 가장 단단하고 (흰색) C2는 가장 단단한 (흰색) 입니다. 트랙에서 열화가 가장 적은 것이지만 아스팔트에서 그립 (또는 그립) 을 갖는 데 가장 오래 걸리므로 가장 빠릅니다.버전에 따라 각 팀은 사용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 C3 (노란색): 하드와 소프트 사이에 있으며 전략의 가장 큰 변형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소프트 C4 (빨간색) 및 5 울트라 소프트 (빨간색): 트랙에서 그립력이 가장 좋은 제품이지만 성능이 가장 저하되고 운전자의 관리가 가장 필요한 것입니다.
젖은 바닥의 경우: 녹색은 중급이고 비가 오는 날씨에는 파란색입니다.
건식 및 습식 바닥 모두를위한 다양한 색상의 타이어 및 컴파운드 (사진 제공: Zak Mauger/LAT 이미지)
예산 한도.이번 시즌의 한도는 각 팀당 1 억 4 천 2 백만 달러이지만, 이 수치에는 운전자 또는 주 엔지니어의 급여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레이스의 점수입니다.우승자에게는 25 점, 나머지는 두 번째 (18), 세 번째 (15), 4 번째 (10), 5 번째 (8), 6 번째 (6), 7 (5), 8 번째 (3), 9 번째 (2) 및 10 번째 (1) 의 척도로 동일하게 유지됩니다.랩 레코드: 1 포인트.
스프린트 레이싱.토요일의 쇼트 레이스는 계속되며 에밀리아 로마냐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브라질에서 그랑프리에서 개최됩니다.이제 상위 8 명은 1 위 (8), 두 번째 (7), 세 번째 (6), 4 번째 (5), 5 번째 (4), 6 (3), 7 (2) 및 8 번째 (1) 의 포인트를 얻습니다.
앞날개의 끝은 비행기 날개 스타일과 약간의 외부 부착물 만 있습니다.사진에서 세바스찬 베텔은 애스턴 마틴 (로이터/하마드 I 모하메드)
더 빨리 끝내야 할 레이스.폭우에서 안전 자동차로 단 한 바퀴 만 찍은 벨기에 2021의 역할을 피하기 위해 이제 레이스는 녹색 깃발 조건 (속도 던지기) 에서 최소 2 바퀴 동안 지속되어야 포인트가 부여됩니다.코스의 50 ~ 75% 사이에서 멈추는 레이스의 경우 4 위 점수는 9 점에서 10 점으로, 7 위 점수는 5 점에서 4 점으로 변경되었습니다.전체 과제는 이제 19-14-12-10-8-6-4-3-2-1입니다.
중립화에 낙오자.안전 차량을 선로에 올리면 무릎 이상을 잃은 모든 후행 차량이 리더를 극복하여 무릎을 회복 할 수 있습니다.아부 다비가 정의 될 때까지 안전 차량이 궤도에있는 한 (승인 된) 후행 차량이 리더를 극복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작년 말 아부 다비에서 전 레이스 디렉터 마이클 마시 (Michael Masi) 는 포인터 해밀턴과 두 번째 베르 스타펜 사이에있는 차만 허용했으며 그와 카를로스 사인츠 뒤에있는 차량은 허용하지 않았습니다.그립력이 좋은 새 타이어를 장착 한 네덜란드 인이 영국인을 이기고 경주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
Alpine이 메인 스폰서가 처음 두 날짜에 입을 색상입니다.사진에서 새로운 F1 우승자 중 한 명인 에스테반 오콘 (로이터/하마드 I 모하메드)
새로운 커리어 디렉터.Masi가 사무실을 떠난 후 DTM (독일 관광 챔피언십) 의 전 레이스 디렉터였던 닐스 위티치와 WEC (내구 월드컵) 레이스 디렉터 에두아르도 프레이타스가 이제 F1 레이스 디렉터로 번갈아 활동할 예정입니다.허비 블래쉬 (Herbie Blash) 는 상임 선임 고문으로 참석할 예정이며, 기억 된 찰리 화이팅이 레이스 디렉터로 일했을 때 부국장을 떠난 후 5 시즌 F1로 돌아갈 것입니다.
F1의 VAR입니다.가상 레이스 컨트롤 룸.축구의 비디오 지원 심판 (VAR) 과 마찬가지로 그는 서킷에서 백업하기 위해 FIA 사무실 중 하나에 배치됩니다.레이스 디렉터와 실시간으로 연결됩니다.
DC에는 라디오가 없습니다.또 다른 중요한 개발에서 팀은 더 이상 레이스 디렉터와 의사 소통을 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레드 불과 메르세데스, 크리스티안 호너, 토토 울프의 머리에게 타격을 입혔습니다.제목의 정의에서 Red Bull의 회원이 Masi와 대화하고 호주가 동의 한 해밀턴 뒤에 Verstappen을 배치하도록 요청했음을 상기해야합니다.
루이스 해밀턴은 막스 베르스타펜 (로이터/하마드 I 모하메드) 에게 2021 타이틀을 잃은 후 복수를 추구 할 것입니다
팀, 운전자, 자동차 및 엔진.
메르세데스: 루이스 해밀턴 #44 - 조지 러셀 #63.W13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폰툰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오버 헤드 라디에이터를 사용할 때 가장 웅변적입니다.해밀턴은 러셀의 입국으로 힘든 내부 라이벌을 가질 것입니다.
레드불: 맥스 버스타펜 #1 - 세르지오 페레즈 #11.RB18은 폰툰 아래에 큰 컷이 있으며 이는 더 나은 공기 흐름을 위한 과감한 대안입니다.Honda는 2025년까지 엔진을 계속 공급할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베르스타펜은 바레인 테스트에서 가장 빨랐습니다.그는 타이틀을 유지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Checo Pérez는 더 많은 승리를 거둘 수 있습니다.
페라리: 찰스 르클레르 #16 - 카를로스 모든 전략 허용 사인츠 #55.F1-75 은 이전 모델보다 더 나은 엔진을 보여주었습니다.또한 폰툰과 뾰족한 몸통의 기복으로 구별됩니다.태풍은 원칙적으로 흥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맥라렌: 랜도 노리스 #4 - 다니엘 리치아르도 #3.메르세데스로 구동되는 MCL36 은 지상 효과로 인해 첫 번째 테스트에서 FIA의 주목을 받았으며 바레인의 공식 테스트에서는 확증 할 수 없었던 의구심을 받았습니다.
알파인: 페르난도 알론소 #14 - 에스테반 오콘 #30.2021 년에는 헝가리에서 Ocon의 우승자였으며 올해 알론소는 자신의 우승을 차지할 것입니다.A522는 두 번째 테스트에서 르노 엔진의 잠재력을 보여준 기계적 수단입니다.
알파 타우리: 피에르 가슬리 #10 - 유키 츠노다 #22.Red Bull 위성 팀은 AT03과 경쟁하고 컨스트럭터 월드 챔피언십에서 상위 5 위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Honda 아이언의 연속성은 좋은 기대를 불러 일으 킵니다.
윌리엄스: 니콜라스 라티피 #6 - 알렉산더 알본 #23.그는 1 년 동안 결석 한 후 돌아온 Albon에 합류했습니다.역사적인 Grove 팀은 마지막 세 곳에서 벗어나기 위해 메르세데스 엔진으로 FW44로 개선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애스턴 마틴: 세바스찬 베텔 #5 - 랜스 산책 #18.그는 메인 스폰서를 변경했으며 이번 시즌에는 개선이 예상됩니다.Vettel을 깃발로 삼은 목표는 메르세데스 부스터와 함께 계속 될 올해 모델 인 AMR22 로 지휘대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알파 로미오: 발테리 보타스 #77 - 관유 저우 #24.그는 운전자 팀을 갱신했습니다.더 이상 키미 라이코넨과 안토니오 조비나치가 없습니다. 이들은 발테리 보타스와 F1에서 레이스를 한 최초의 중국인 관유 저우로 대체되었습니다.그의 차는 페라리 구동 C42가 될 것입니다.
하스: 믹 슈마허 #44 - 케빈 마그누센 #20.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Mazepin 수도가 떠난 후 엄청난 금융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북쪽은 정확히 2022년의 목표에 도달할 것입니다.자동차는 페라리 엔진이 장착 된 VF-22 입니다.
올해부터 레이스 디렉터는 축구의 VAR 스타일 (로이터/아메드 요스리/파일 사진) 으로 서킷에 포함되지 않는 가상 레이스 컨트롤의 지원을받을 것입니다.
캘린더.23 날짜로 역사상 가장 길다.호주, 캐나다, 싱가포르 및 일본은 COVID-19 전염병과 관련된 여행 제한으로 인해 지난 2 년 동안 탈퇴 한 후 돌아옵니다.또한 첫 번째 마이애미 그랑프리는 5 월 초 5.41km의 도시 서킷에서 개최됩니다.이를 통해 미국은 오스틴에 합류하면서 두 가지 날짜를 갖게 될 것입니다.
모든 전략 허용
㈜풀무원의 미션 LOHAS의 가치를 담은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공유가치(경제/사회/환경)를 창출합니다.
LOHAS 의 가치를 우리 사회에 널리 확산
[LOHAS : 나의 건강과 지구의 지속가능을 위한 가치 실천 활동]
바른먹거리(식생활)’의 핵심 전략으로는 Nutrition Balance(영양균형), Animal Welfare (동물복지), Plant-Foward (식물성 지향)의 3대 전략을 운영합니다. 풀무원의 비식품 생활사업인 ‘건강생활(모든 전략 허용 개인생활과 사회생활)’ 사업의 핵심 전략은 Health & Hygiene(건강한 생활공간)과 Wellness(행복한 문화 공간)의 2대 전략을 운영합니다. 더불어 창사 이래 소중하게 지켜온 풀무원의 브랜드 정신과 미션의 핵심 요소인 ‘환경’ 전략으로 Eco-friendly(친환경)를 채택하였습니다.
- 1 영양균형 Nutrition Balance 잘못된 식습관에서 비롯된 영양불균형의 개선을 위해, 풀무원 영양관리기준 준수 및 당흡수저감(Low-GL) 지향의 제품과 식단(211)을 구현 2 당흡수저감 Low GL 정제된 탄수화물 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한 생활습관 병을 예방하기 위해 채소, 지방이 적은 단백질, 통곡물로 당 흡수를 줄이는 제품 및 식단 구현 -->
- 2 동물복지 Animal Welfare 생명체로서 동물의 존엄성을 보장하고, 공장식 축산과 무분별한 포획 및 공장식 수산 양식이 초래하는 건강 위해성과 생태계 폐해를 줄이기 위한 제품을 구현
- 3 식물성 지향 Plant-Forward 나와 지구의 건강을 위해 동물성 고기 사용을 최소화하고(꼭 필요 시 동물복지육 또는 친환경 수산물 사용), 지속가능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제품과 식단을 구현
- 4 건강한 개인생활 Health& Hygiene 늘어나는 기대수명을 모든 전략 허용 건강수명으로 누리기 위해 개인의 신체건강과 주거 환경의 위생습관을 만들고 지켜가도록 도움을 주는 제품과 서비스를 구현
- 5 행복한 문화공간 Wellness 질병의 예방을 넘어, ‘신체, 정신, 사회적 관계의 균형 잡힌 웰빙(Well-being)’을 통한 고객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복합 생활문화 공간 서비스 구현
- 6 친환경 Eco-Friendly 원료, 제조, 판매/포장, 폐기 등 풀무원의 Business Value Chain 전체 과정에서 생태계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제거 및 최소화
법인명 : (주)풀무원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 280 로즈데일빌딩 대표전화 : 080-022-0085
Copyright ⓒ Pulmuone Corporate All Rights Reserved.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보유기간 가. ‘고객의 소리’ 이용 시
1. 필수입력사항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2. 선택입력사항 : 주소 및 필수항목 외 개인이 직접 입력한 내용
3. 보유기간 : 소비자 불만 등 처리를 위한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3년간 보관 후 파기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접속 IP 정보, 접속 로그
1. 필수입력사항 : 성명, 핸드폰번호, 이메일, 직업, 우편번호, 신청일, 신청사유
2. 선택입력사항 : 유선 연락처
3. 보유기간 : 공장견학 완료 후 1년간 보관 후 파기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접속 IP 정보, 접속 로그
다. ‘사이버감사실 부정제보’ 이용 시
1. 필수입력사항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2. 보유기간 : 내부감사 완료 및 관련 이슈 대응을 위해 10년간 보관 후 파기
* 10년 초과 보관이 필요하신 경우 팀에 연락 부탁드립니다.(경영진단팀)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로그, 쿠키, 접속IP정보, 결제기록, 이용정지기록
2.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고객의 소리 접수 및 결과 회신,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진행
-공장견학 신청 및 신청 결과 회신, 공장견학 진행과 관련한 안내
-부정제보 및 건의사항 접수 / 조치 회신, 공정거래 상담
-불량이용 사용자의 사이트 접근 제한 3. 개인정보 수집방법 회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1. 홈페이지 이용
2. 제휴사로부터의 제공
3. 로그 분석 프로그램을 통한 생성정보 수집
4. ‘쿠키(cookie)’에 의한 정보 수집
5. Application을 통한 정보 수집 4. 개인정보의 취급위탁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위탁업체명 | 위탁업무내용 | 위탁기간 |
---|---|---|
메타넷 | 풀무원회원, 풀무원 홈페이지 정보전산 처리 및 유지관리 | 회원 탈퇴 시 혹은 위탁 계약 종료 시까지 |
㈜MPC | CS 정보전산 처리 및 유지관리 | |
㈜이비즈엔시스템 | ㈜이비즈엔시스템 - 메일 전송 시스템 유지관리 | |
한국갤럽 | 고객기쁨센터 상담 고객만족도 조사 | |
LG CNS | 고객기쁨센터 상담 모든 전략 허용 고객만족도 조사 |
5.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습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파기절차
가.이용자가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한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됩니다.
나.동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가.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나.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6. 아동의 개인정보 보호 -회사는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가입 시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제 3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습니다.
-만 14세 미만 아동의 정보 수집이 필요한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습니다. 아동의 법정대리인은 아동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7. 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개인정보의 조회, 수정 및 가입해지의 요청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의 요청
-개인정보의 조회, 수정 및 해지, 삭제 등의 요청은 ‘고객정보변경’ 및 ‘회원탈퇴’ 등을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정정, 혹은 탈퇴가 가능합니다.
-이용자가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한 경우에는 정정 및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해당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잘못된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한 경우 지체 없이 수정하겠습니다.
-회사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지 또는 삭제되는 개인정보는 [7.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에 따라 처리합니다.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삭제, 처리, 정지 요구가 다른 법령상의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다른 사람의 생명, 신체를 해할 우려가 있거나 다른 사람의 재산과 그 밖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처리하지 아니하면 정보주체와 약정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등 계약이행이 곤란한 경우는 요구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8.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주)풀무원은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기(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모든 전략 허용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9.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 대책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모든 전략 허용 기술적, 관리적,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① 개인정보 암호화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번호에 의해 보호되며,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파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별도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 하고 있습니다.
②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회사는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해 회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가.개인정보의 훼손에 대비해서 자료를 수시로 백업
나.최신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나 자료가 누출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
다.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
라.물리적 무단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 설치
마.기타 시스템적으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기술적 장치를 갖추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③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접근 제한
회사는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 등에 관한 기준을 수립하고 비밀번호의 생성 방법, 변경 주기 등을 규정 운영하며 기타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다하고 있습니다.
④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회사의 개인정보관련 취급 직원은 담당자에 한정시키고 있고 이를 위한 별도의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정기적으로 갱신하고 있으며, 담당자에 대한 수시 교육을 통하여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준수를 항상 강조하고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보호전담기구의 운영
사내 개인정보보호전담기구 등을 통하여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이행사항 및 담당자의 준수여부를 확인하여 문제가 발견될 경우 즉시 수정하고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0. 개인정보보호 관리책임자 및 담당자의 연락처 ① (주)풀무원)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송기정
직책 : CPO
직급 : 정보기술실장
이메일 : [email protected]
▶개인정보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정보보안팀
담당자 : 조일연
연락처 : 02-2140-2921, [email protected]
② 정보주체께서는 (풀무원 홈페이지)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주)풀무원은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11. 고지의 의무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버전번호: 5.0 - 시행일자 : 2019년 11월 18일
12.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18(내선2번)
2. 정보보호마크인증위원회 : 02-580-0533~4 (http://eprivacy.or.kr)
3. 대검찰청 첨단범죄수사과 : 02-3480-2000 (http://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1566-0112 (http://www.netan.go.kr/)
(주)풀무원 개인정보처리방침(Ver 5.1)
('www.pulmuone.kr'이하 '풀무원 홈페이지')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1.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보유기간
2.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3.개인정보 수집방법
4.개인정보의 취급위탁
5.개인정보 파기절차 및 방법
6.아동의 개인정보
7.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8.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9.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 대책
10.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및 담당자의 연락처
11.고지의 의무
12.권익침해 구제방법
1. 필수입력사항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2. 선택입력사항 : 주소 및 필수항목 외 개인이 직접 입력한 내용
3. 보유기간 : 소비자 불만 등 처리를 위한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3년간 보관 후 파기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모든 전략 허용 접속 IP 정보, 접속 로그
1. 필수입력사항 : 성명, 핸드폰번호, 이메일, 직업, 우편번호, 신청일, 신청사유
2. 선택입력사항 : 유선 연락처
3. 보유기간 : 공장견학 완료 후 1년간 보관 후 파기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접속 IP 정보, 접속 로그
다. ‘사이버감사실 부정제보’ 이용 시
1. 필수입력사항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2. 보유기간 : 내부감사 완료 및 관련 이슈 대응을 위해 10년간 보관 후 파기
* 10년 초과 보관이 필요하신 경우 팀에 연락 부탁드립니다.(경영진단팀)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처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로그, 쿠키, 접속IP정보, 결제기록, 이용정지기록
2.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고객의 소리 접수 및 결과 회신,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진행
-공장견학 신청 및 신청 결과 회신, 공장견학 진행과 관련한 안내
-부정제보 및 건의사항 접수 / 조치 회신, 공정거래 상담
-불량이용 사용자의 사이트 접근 제한 3. 개인정보 수집방법 회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1. 홈페이지 이용
2. 제휴사로부터의 제공
3. 로그 분석 프로그램을 통한 생성정보 수집
4. ‘쿠키(cookie)’에 의한 정보 수집
5. Application을 통한 정보 수집 4. 개인정보의 취급위탁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위탁업체명 | 위탁업무내용 | 위탁기간 |
---|---|---|
메타넷 | 풀무원회원, 풀무원 홈페이지 정보전산 처리 및 유지관리 | 회원 탈퇴 시 혹은 위탁 계약 종료 시까지 |
㈜MPC | CS 정보전산 처리 및 유지관리 | |
㈜이비즈엔시스템 | ㈜이비즈엔시스템 - 메일 전송 시스템 유지관리 | |
한국갤럽 | 고객기쁨센터 상담 고객만족도 조사 | |
LG CNS | 고객기쁨센터 상담 고객만족도 조사 |
5.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습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파기절차
가.이용자가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한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됩니다.
나.동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가.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나.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6. 아동의 개인정보 보호 -회사는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가입 시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제 3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습니다.
-만 14세 미만 아동의 정보 수집이 필요한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습니다. 아동의 법정대리인은 아동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7. 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개인정보의 조회, 수정 및 가입해지의 요청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의 요청
-개인정보의 조회, 수정 및 해지, 삭제 등의 요청은 ‘고객정보변경’ 및 ‘회원탈퇴’ 등을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정정, 혹은 탈퇴가 가능합니다.
-이용자가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한 경우에는 정정 및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해당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잘못된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한 경우 지체 없이 수정하겠습니다.
-회사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지 또는 삭제되는 개인정보는 [7.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에 따라 처리합니다.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삭제, 모든 전략 허용 처리, 정지 요구가 다른 법령상의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다른 사람의 생명, 신체를 해할 우려가 있거나 다른 사람의 재산과 그 밖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처리하지 아니하면 정보주체와 약정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등 계약이행이 곤란한 경우는 요구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8.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주)풀무원은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기(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9.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 대책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 관리적,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① 개인정보 암호화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번호에 의해 보호되며,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파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별도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 하고 있습니다.
②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회사는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해 회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가.개인정보의 훼손에 대비해서 자료를 수시로 백업
나.최신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나 자료가 누출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
다.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
라.물리적 무단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 설치
마.기타 시스템적으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기술적 장치를 갖추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③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접근 제한
회사는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 등에 관한 기준을 수립하고 비밀번호의 생성 방법, 변경 주기 등을 규정 운영하며 기타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다하고 있습니다.
④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회사의 개인정보관련 취급 직원은 담당자에 한정시키고 있고 이를 위한 별도의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정기적으로 갱신하고 있으며, 담당자에 대한 수시 교육을 통하여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준수를 항상 강조하고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보호전담기구의 운영
사내 개인정보보호전담기구 등을 통하여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이행사항 및 담당자의 준수여부를 확인하여 문제가 발견될 경우 즉시 수정하고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0. 개인정보보호 관리책임자 및 담당자의 연락처 ① (주)풀무원)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송기정
직책 : CPO
직급 : 정보기술실장
이메일 : [email protected]
▶개인정보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정보보안팀
담당자 : 최현석
연락처 : 02-2140-2921, [email protected]
② 정보주체께서는 (풀무원 홈페이지)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주)풀무원은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11. 고지의 의무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버전번호: 5.1 - 시행일자 : 2020년 11월 1일
12.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시장으로 앱 확장하기
App Store는 175개 지역에서 40개 언어로 제공되므로 전 세계 사용자가 손쉽게 앱을 찾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앱을 현지화하면 다양한 문화 및 언어에 적합한 앱을 제공하면서 비즈니스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앱을 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하십시오.
현지화를 위해 앱 구성하기
국제화는 현지화를 위해 앱의 코드와 UI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앱을 빌드하는 첫 단계입니다. Xcode, Foundation API, 자동 레이아웃 및 Unicode 지원을 포함한 Apple의 강력한 도구 및 기술을 사용하면 아직 지원할 언어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라도 손쉽게 여러 언어 및 지역을 지원하도록 앱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Xcode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 및 이미지를 실행 코드와 자동으로 분리합니다. 이러한 요소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려는 경우, 앱 번들 내에 별도로 저장된 현지화 리소스 파일로 내용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세트, Apple Watch 컴플리케이션, Apple TV 이미지 스택, Sprite Atlases 및 기호 세트를 포함한 이미지를 자산 카탈로그에서 직접 현지화할 수 있습니다. 현지화된 SF 시스템 기호(영문)모든 전략 허용 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맞춤형 기호의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예: 아랍어 및 히브리어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고 쓰는 언어).
Foundation API를 사용하여 날짜, 길이, 무게, 가격 및 통화 기호와 같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동적으로 생성되는 값을 모든 로케일에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와는 별개로 모든 언어의 사용자 생성 텍스트를 언어의 개수에 상관없이 한 번에 허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앱 콘텐츠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언어 및 포맷으로 표시됩니다. SwiftUI를 사용하면 현지화된 앱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는 Xcode에서 자동으로 추출되며 기본 레이아웃 동작은 바로 현지화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동 레이아웃(영문)을 활용하여 레이아웃과 규격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광범위한 유니코드 지원으로 모든 언어의 텍스트에서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하며, Cocoa 및 Cocoa Touch의 강력한 텍스트 처리 기술로 각종 언어로 된 텍스트를 표시, 배치 및 편집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OS 및 iPadOS에서는 사용자가 기기의 기본 언어와 관계없이 앱에서 선호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국어 사용자가 앱에서 손쉽게 언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macOS에서는 사용자가 시스템 환경설정의 언어 및 지역 섹션에서 앱 언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준비하기
시장 요인 조사하기
인구, 언어 및 구매력과 같은 시장별 인구 통계 정보를 통해 앱과 관련이 있거나 앱이 필요한 지역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시장에는 고객이 가장 즐기는 앱 또는 카테고리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지만 전략 게임은 특정 지역에서 더 인기가 높을 수 있습니다. 높은 앱 다운로드, 판매, 사용 또는 유지율 지표와 같이 이미 성공을 거둔 시장과 유사한 속성을 가진 시장을 선택하면 보다 쉽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시장을 선택할 때 앱이 얼마나 적합한지 그리고 앱의 가치와 기능이 해당 시장의 요구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평가합니다. 시장의 요구를 파악하여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앱 분석을 사용하여 잠재적 시장 확인하기
전 세계에 앱을 제공하지만 특정 지역을 위해 현지화하지 않은 경우 제품 페이지 조회 수, 앱 판매량, 판매 및 활성 기기와 같은 주요 성과 지표를 지역별로 필터링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지화를 통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특정 지역에서 앱이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지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앱의 기본 언어가 영어인데 독일의 유지율 또는 활성 기기당 세션 수가 평균 이하로 나온다면, 독일어를 추가로 지원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시장에서는 앱의 기본 언어에 매우 익숙하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상당히 많은 현지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활성 기기, 세션 및 유지율과 같은 사용량 데이터에는 진단 및 사용 정보를 개발자와 공유하기로 동의한 사용자의 정보만 포함됩니다.
앱 분석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앱 분석을 통한 통찰력 얻기를 참고하십시오.
현지 문화 및 관습 고려하기
앱과 제품 페이지는 모든 시장에 일관된 경험을 제공해야 하지만 문화적 관련성을 위해 특정 요소를 조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휴일 콘텐츠 또는 지역의 예술 형식과 같은 시장별 콘텐츠 또는 문화적 시점을 접목할 수 있습니다. 앱에 대해 고객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으려면 현지 정책 및 시장 규제는 물론 정치 또는 종교적 민감성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앱 현지화하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콘텐츠 번역하기
Xcode Export For Localization(영문)(Xcode 현지화를 위해 내보내기) 기능을 사용하여 코드, stringsdict 파일, Interface Builder 파일에서 참조된 현지화된 문자열을 포함하여 현지화 가능한 모든 콘텐츠 및 현지화된 자산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 절차에서는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내외의 현지화 서비스를 통해 손쉽게 번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관된 앱 경험을 위해 모든 전략 허용 사용 목적 문자열(영문)을 현지화해야 하며, 모든 사용자가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현지화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Apple 서비스. Apple API를 사용하여 Apple Pay(영문), Apple 지갑(영문) 및 Apple로 로그인(영문)을 사용할 때 현지화된 버튼, 결제 시트, 오류 등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합니다.
시청각 미디어. AVKit 및 AVFoundation을 사용하여 앱에서 시청각 미디어를 위해 현지화된 지원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영문)는 자막과 청각 장애인용 자막을 간단히 표시하고 대체 오디오 및 비디오 트랙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 제공된 지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현지화 서비스. 외부 현지화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콘텐츠를 번역하기로 한 경우 특정 언어, 문화 또는 카테고리의 현지화에 전문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공하는 품질 보증 수준을 확인합니다. 해당 서비스에 앱과 콘텐츠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면 효율성을 높이고 번역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는 안내서를 만드십시오. 예를 들어, 캐릭터의 이름과 성격이 포함된 플레이북, 농담이나 유머에 대한 설명, 자주 사용되는 용어집, 번역이 사용될 화면을 보여 주는 스크린샷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계 번역에만 의존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기계 번역의 경우 문맥, 문화적 민감성 또는 언어적 뉘앙스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번역이 부정확하고 품질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호텔 앱의 'book' 버튼이 '예약'이 아닌 '책'으로 잘못 번역될 수 있습니다.
현지화 테스트하기
Xcode에서 테스트 계획을 구성하여 설정별로 쉽게 테스트를 실행하고 한 곳에서 테스트 변형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지원하는 기기 및 언어의 잘림, 레이아웃 중복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포맷 관련 문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Localization Screenshots(현지화 스크린샷) 기능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테스트에서 현지화된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이를 튜토리얼, 마케팅 자료 또는 App Store 제품 페이지에서 사용하기 위해 내보낼 수 있습니다. 앱을 현지화한 후에는 TestFlight를 사용하여 시장의 사용자 그룹과 앱을 공유하여 피드백을 받고 개선 기회를 수집합니다.
출시를 위해 준비하기
제품 페이지 현지화하기
앱을 제공하는 각 지역별로 앱 설명, 키워드, 앱 미리보기, 스크린샷 등 App Store Connect의 App Store 메타데이터를 현지화합니다. 또한 현지 사용자들이 더 잘 공감할 수 있도록 앱 이름을 번역하고 키워드를 맞춤화하여 각 시장의 가치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App Store Connect API를 사용하여 여러 현지화에 대한 메타데이터 업로드 및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국제 결제 방식 및 가격
App Store에서 결제 과정을 처리하므로 전 세계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지역별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신용·직불 카드, 이동통신사 청구 방식, 디지털 지갑 또는 App Store 및 iTunes 기프트 카드로 앱과 앱 내 구입을 모든 전략 허용 결제할 수 있습니다.
앱 및 앱 내 구입 가격 책정 시에는 App Store Connect에서 각 지역의 시장에 맞춰 조정된 가격이 포함된 가격대를 선택합니다. 자동 갱신 구독의 경우 사용 가능한 모든 통화와 가격대의 200개 가격 중에서 선택하여 각 위치에 적합한 가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전략 조정하기
새로운 시장에서 앱을 출시할 때 지역에 맞춰 마케팅 전략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앱과 앱이 제공하는 가치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현지 사용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네트워크나 기타 채널은 시장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조사하여 앱에 대한 홍보를 진행합니다. 스크린샷, 배너 및 광고와 같이 마케팅 및 사용자 확보에 사용하는 모든 자료를 현지화합니다.
App Store 배지. 커뮤니케이션에 App Store에서 다운로드하기 배지를 사용하여 콜투액션으로 앱 다운로드를 유도합니다. 현지화된 배지를 사용하여 앱이 전 세계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맞춤화되었다는 것을 알리십시오. App Store 마케팅 지침에서 배지를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App Store 마케팅 도구. App Store 제품 페이지로 연결되는 짧은 링크 또는 삽입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고 앱 아이콘, QR 코드 또는 App Store 배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너 및 이미지와 같은 맞춤형 마케팅 자료를 만들고 여러 언어로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추가하여 지역 광고 활동에서 앱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App Store 마케팅 도구 보기.
Search Ads. 61개 지역에서 Apple Search Ads를 사용하여 App Store의 더 많은 곳에서 앱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고객이 검색 탭의 광고로 검색하기 전에 앱이 표시되고 고객이 관련 검색 결과 상단에서 광고로 검색하는 순간 고객과 모든 전략 허용 소통할 수 있습니다. Search Ads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고 개발자 성공 사례를 확인하십시오.
성공 평가하기
App Store Connect에서 앱 분석을 사용하여 고객이 앱을 발견하고 참여하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으며 이 데이터를 확장한 지역별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App Store 에서 검색하거나 탐색하는 동안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앱을 발견하는지 확인하고 조회 횟수 중 최초 다운로드로 이어진 비율을 측정합니다. 사용자가 앱을 계속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설치, 세션 및 활성 기기 수를 확인합니다. 이 데이터를 앱을 장기간 제공 중인 다른 시장의 데이터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조정해야 하는지 또는 앱의 현지화 수준을 높여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후에 새로운 시장을 식별하고 현지화를 추가하여 더 많은 고객에게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전략 허용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은행권의 집단이기인가, 적합한 요구인가' '사회적 책임은 도외시한 채, 잇속 불리기에 혈안 아닌가'
"은행은 공공기관이며 은행 서비스는 공짜라는 인식이 강해 은행의 금융서비스 수수료를 원가에 근거해 현실화하기 어렵다" "정부 재정으로 지원할 영역까지 은행의 금융지원을 요청하는 관행도 잔존한다" "배당정책과 점포전략에 대한 당국의 간섭으로 적정한 배당수익률, 디지털시대 경쟁력에도 애로를 겪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최근 작성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 제출용 '은행업계 제언' 보고서 초안에서,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은행권의 이런 불만사항을 조목조목 열거했다.
은행권은 먼저 경영자율성 문제의 '개선방안' 부분에서 "금융권은 앞으로도 실물경제를 뒷받침하고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경제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다만 금융산업이 실물경제와 함께 지속성장할 수 있는 윈윈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은행산업을 독자적 서비스산업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에는 "금융서비스 요금이나 배당, 점포운영 등 은행 정책수행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차별적 서비스가 금융시장에 출현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은행권은 최근 사모펀드 환매사태 등으로 불거진 금융사 '내부통제' 문제와 관련해서도 "내부통제제도 미흡에 대한 금융당국의 제재는 금융회사지배구조법과 상충하고, 법상 제재사유인 '내부통제기준 미(未)마련'을 확대해석해 미흡한 경우까지 제재하는 것은 명확성의 원칙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내부통제제도 결함·미준수 등에 대해서는 금융회사 스스로 최적화된 내부통제제도를 수정·보완하도록 유도하는 규제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은행연합회는 최근 이사회 검토를 거친 이 초안을 시중은행들에 보내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제언 보고서 내용이 확정되면 다음달 초 인수위에 제출할 예정이다.
'은행업계 제언' 보고서 캡처.
은행권은 새 정부에 '미래 먹거리' 차원에서 더 다양한 사업을 허용하고 서비스 범위도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무엇보다 자산관리 서비스 혁신 항목에서 '가상자산 서비스 진출허용'을 가장 먼저 언급한 점이 눈에 띈다.
은행권은 "특정 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개정안은 주로 자금세탁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일부 가상자산사업자의 독과점 발생 등 시장불안에 대한 이용자 보호는 부족하다"며 "공신력 있는 은행이 가상자산 관련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은행법상 은행의 부수업무에 가상자산업을 추가해 달라"고 제안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 제언에 대해 "앞으로 제정될 가상자산업법에서 정의되는 가상자산업종을 모두 은행도 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것"이라며 "여기에는 코인거래소 뿐아니라 가상자산 보관 전자지갑 서비스, 가상자산 수탁서비스, 기업 등 대상 가상자산 거래서비스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말했다.
은행으로서는 새 시장을 개척하고, 이용자는 믿을 수 있는 은행을 통해 가상자산을 관리하자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또한 은행권은 로보어드바이저(로봇 투자전문가)를 활용한 투자일임업에 걸린 빗장도 풀어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은행의 투자일임업(금융전문가에게 투자위탁) 겸영은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만 허용되기 때문에, 마이데이터 사업자로서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투자일임업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많다는 게 은행권의 주장이다.
은행권은 보고서에서 "마이데이터 라이선스(허가)는 은행·금융투자·전자금융업자 등에 같은 기준으로 부여되는 것"이라며 "따라서 은행에도 차별없이 투자일임업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은행권은 새 정부에 '신탁제도의 혁신'도 주문했다.
현재 자본시장법이 수탁가능 재산을 7가지 종류로 제한해 영업, 보험금 청구권 등의 다양한 신탁재산 관련상품 출시에 한계가 있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탁시장 규모가 2020년 말 기준 53%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GDP 대비 신탁시장 비율이 174%에 이르고, 미국도 94% 수준이다.
따라서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수탁가능 재산을 법에 명시해 제한하는 현행 '열거주의' 방식규제를, 법에 명시해 금지하지 않는 한 모두 허용하는 '포괄주의'로 전환하고, 소액 금전신탁의 합동운용도 허용해야 한다는 게 은행권의 주장이다.
방카슈랑스(은행의 보험 판매)에 대해서도 은행권은 현재 종신·자동차보험 판매불가 등 판매상품 제한과 판매비율 상한규제 등 탓에 금융소비자의 보험 접근성 개선 등의 효과가 떨어진다며 전면적 규제완화를 요구했다.
은행권은 이밖에 "부동산·유통·헬스·자동차 등 다양한 비(非)금융업종을 겸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줘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이번 제언 보고서에도 실었다.
이를 두고 금융가에선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탓이지만, 은행권이 지나치게 집단이기주의에 매몰돼 권한및 이익확대를 주장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소리가 적지 않다.
'은행업계 제언' 보고서 캡쳐.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