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9급/두문자/기출 해설/공무원 합격
스왑, 이자율스왑(interest rate swap), 금리스왑, 통화스왑(currency swap)
거래 쌍방이 미리 정한 계약조건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원금, 이자 등을 서로 교환하기로 하고 일정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원금이나 이자지급 등 현금흐름(cash flow)을 서로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스왑거래의 예로는 동일 통화의 일정 원금에 대해 서로 다른 이자(예: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교환하는 이자율스왑(interest rate swap)과 서로 다른 통화의 일정 원금과 이에 대한 이자의 지급을 교환하는 통화스왑(currency swap) 등이 있다. 따라서 통화스왑의 경우 이자율스왑과 달리 거래 시작과 만기 시점에 원금의 교환이 발생한다. 이자율스왑 중 가장 일반적이고 단순한 형태인 plain vanilla swap의 예를 들면 A은행은 B사에게 1억 원의 명목원금(notional principal)에 대하여 7%의 확정 금리를 10년 동안 지급하는 내용과 B사는 A은행에게 1년 만기 미재무성증권 금리 +1%의 변동금리를 같은 기간 동안 지급하는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은 A은행이 단기 자금을 조달하여 장기 자금을 융자함에 따라 금리변동에 민감한 부채(rate-sensitive liabilities)보다 금리변동에 민감한 자산 (rate-sensitive assets)이 1억 원 더 많은 반면 B사의 경우 장기채권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을 단기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A은행과는 반대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데 따라 양자가 부담하게 된 이자율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자율스왑은 금융기 관이 대차대조표의 내용을 조정하지 않고 거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이자율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자율스왑은 금융선물이나 금융선물 옵션 보다 장기를 요하는 경우에 주로 활용된다.
연관검색어 : 금리스왑, 통화스왑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금리 스왑
- A기업은 위의 그림과 같이 외환스왑을 이용하여 달러를 현물환으로 매도하고 선물환으로 매입함에 따라 달러화로 원화를 조달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실무적으로 달러화를 보유한 기업이 월말 또는 분기말 등 일시적으로 원화수요가 발생할 때 보유 달러화를 처분하지 않고 환리스크 없이 손쉽게 원화를 조달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됩니다.
외환스왑의 가격결정 - 외환스왑거래의 스왑가격이란 스왑거래를 할 때 적용되는 현물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를 말하는데, 이론적으로는 "이자율평가이론"에 근거하여 두 통화간의 이자율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스왑가격 산출공식 금리 스왑 및 실례 - 금리평가이론(Interest Rate Parity Theory)에 의하면 국가간의 자본이동이 자유롭고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의 제비용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현물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는 금리 스왑 양국간의 금리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선물환율 > 현물환율 : 기준통화가 선물환 프리미엄 상태입니다. - 기준통화가 상대통화보다 저금리통화로, 저금리통화에 대한 보상의 성격을 가집니다.
선물환율 - 기준통화가 상대통화보다 고금리통화로, 고금리통화에 대한 부담의 성격을 가집니다. - 공식유도
한 투자자가 1USD를 가지고 어느 나라에 투자하든지 원리금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미국과 일본에 투자하는 경우
1USD를 미국에 d기간동안 Rf의 수익율로 투자할 경우의 원리금은
1USD X (1 + Rf X d/360) ----------------- 1)
1USD를 일본엔화로 바꾸어 rv의 수익율로 일본에 투자한 후 선물환율로 환산한 원리금은
1USD X S(1 + rv X d/360)/F ------------- 2)
S : USD/JPY의 Spot 환율
F : USD/JPY의 Forward 환율
1)식과 2)식은 같아야 하므로
1USD X (1 + Rf X d/360) = 1USD X S(1 + rv X d/360)/F
따라서, F = S X (1 + rv X d/360) / (1 + Rf X d/360) ---------------3)
3)식의 양변에서 S를 빼서 Swap Rate(SR)를 금리 스왑 구하면
Swap Rate(SR) = F - S = S X <(rv - Rf) X d/360>/ (1 + Rf X d/360) --------------- 4)
4)식의 분모 (1 + Rf X d/360)은 거의 1에 가까우므로 다음과 같이 약식으로 사용할수있다.
Swap Rate(SR) = F - S = S X <(rv - Rf) X d/360>----------------- 5)
4)식에서 Rf > rv 이면 기준통화가 고금리통화이므로 기준통화는 선물환 디스카운트통화가 되며,
Rf 외환스왑거래의 효과 - 외환의 매매를 통한 자금조달/운용
·서로 다른 금리 스왑 만기를 가진 매입거래와 매도거래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한 통화로 다른 통화를 조달 또는 운용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음 - 자금의 만기불일치 조절
·조달통화와 운용통화의 만기가 불일치할 경우 외환스왑거래를 통해 만기를 일치시켜 자금 Mismatch를 조절할 수 있음 - 투기목적의 거래
·향후 시장상황의 변화를 예상하여 환차익을 누리기 위한 투기목적의 거래가 가능
*** 최과장의 채권이야기 ***
국고채는 정부가 원리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위험이 없는 채권이다. 물론 국채 등급을 무디스 같은 신평사에서 메기기는 하지만 디폴트 위험은 없다고 보면 된다. 물론 만기까지 보유하지 않는다면 금리 변동에 따른 가치 변화의 위험은 있다. 하여튼 위험이 없는 채권은 금리가 낮다. 안전하기 때문에 issuer는 그만큼 싼 값에 펀딩하고 투자자는 조금 먹어도 마음이 편하다.
그렇다면 IRS 금리는 무엇인가? IRS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가 교환되는 계약인데 그때의 고정금리를 IRS금리라고 한다. IRS거래를 헤지하기 위해서 스왑뱅크들끼리 스왑 거래를 하는 것을 감안하면 은행 크레딧으로 금리가 형성되어야 하고 당연히 국고채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안 그렇다. 아래 그래프를 보자.
현물(본드)금리-IRS금리 >0, 이 의미는 국고채 금리가 IRS금리보다 높다는 의미이다. 이는 한국IRS 시장 특유의 쏠림에 기인한다. 알다시피 시중 은행의 부동산 담보대출의 90%가 변동금리 대출이며 다른 대출 자산들도 거의 CD등에 연동되어 있는 변동금리 자산이다. 이를 은행은 금리가 변동하는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서 IRS시장에서 Receive Fixed 거래를 하는데 문제는 이를 받아줄 상응하는 규모의 Pay Fixed 수요가 없다는 것이다. Receive 수요가 많으면 IRS금리가 내리게 되고 이러한 현상들이 구조적으로 본드-스왑 스프레드 역전 현상을 고착화 시킨 것이다.
왜 IRS금리가 국고채 금리보다 낮게 형성이 되어 있는지 감 잡았다. 그러면 이를 이용해 어떻게 돈을 버는지 최근 금리를 사용해서 알아보자. 먼저 돈을 빌려야 한다(원래 차익거래는 내 돈 없이 하는 거다). 단기자금시장으로 가 보자. 단기자금시장에서 돈을 빌릴 수 있는 방법으로는 RP매도, 콜머니, CD발행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편의상 CD를 발행했다고 하자.
100억을 빌리고 그 대가로 CD금리를 준다. 그 100억으로 통안채를 산다. 그리고 스왑시장에서 Pay fixed, Receive floating 한다. 8/4일 통안채 1년 금리가 3.17%, IRS Pay금리가 3.13%이니까 차익거래자의 net payoff는 "-CD + 3.17% - 3.13% + CD = 0.04%"로 계산된다. 91일 이후 CD 만기가 왔을때 별 문제 없이 roll-over된다고 가정하고 1년 동안 이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금리 스왑 가자. CD금리가 변동하더라고 IRS에서 수취할 CD도 같이 변동하니까 금리 변동위험은 없는셈이다. 수익이 크지는 않지만 무위험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4bp이면 100억당 4백만원이니 레버리지 금리 스왑 왕창 일으키면 예를 들어서 1조를 한다치면 4억을 그냥 먹을 수 있는 셈인데 왜 모든 투자자가 이런 전략을 실행하지 않을까?
시가평가, Mark-to-market하는 경우에는 본드-스왑 스프레드의 변화에 따라 daily 포지션의 valuation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확대되는 경우 즉, 통안채 1년 금리가 오르고 IRS 금리가 내릴 경우에는 포지션 손실이 누적되게 되고 증권사 등의 내부 손실한도에 걸려 포지션을 강제 unwinding해야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원 지하철에 자리가 비었는데 사람들이 앉지 않는데는 다 이유가 있다.
금리선물 | 금리스왑 | 금리자유화
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이란 기초자산인 금리를 거래대상으로 하며 현재의 시점에서 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사거나 팔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말한다. 금리선물의 대표적인 상품은 기초자산별로 다양한 만기의 국채선물이다. 3년 국채선물의 주요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기초자산은 최종결제일 현재 만기 3년, 액면금액 1억원, 표면금리 5%, 반기별로 이자를 지급하는 가상의 국고채권이다. 가격의 표시방법은 액면금액 1억원을 100으로 환산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시한다. 최소가격 변동폭인 1tick의 크기는 0.01인데 그 가치는 가상채권 가격의 10,000원에 해당되며 국고채금리 1bp(0.01%)는 국채선물가격 3tick과 거의 동일하다. 투자자들은 금리변동위험 헤지(hedge) 및 투기적 목적으로 국채선물을 거래한다. 일반적으로 은행,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들은 현물채권을 다량으로 보유하고 있으므로 향후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금리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국채선물을 매도(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채권의 가격 하락이 국채선물 매도에 따른 이익으로 상쇄)하게 되는데 이를 헤지거래라고 한다. 반면 보유채권 없이 국채선물가격의 방향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채선물을 매수 또는 매도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거래를 할 수 있는데 이를 투기적 거래라고 한다. 국채선물의 경우 거래증거금률이 매우 낮아(3년 만기, 0.5%) 레버리지가 매우 높으므로 헤지펀드 등 외국인들이 이런 투기적 거래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국채선물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크다. 한편 금리선물시장에서의 금리 스왑 가격 움직임을 보고 향후 시장금리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를 예측하기도 하는데 특히 미국의 페더럴펀드금리선물(federal funds futures)은 시장참가자들에게 향후 미연준이 통화정책을 어떤 방향으로 운용할 것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역할을 하기도 한다.
#tick
금융 거래에서 거래가 가능한 최소 증분원가(차액원가). 호가(특정 주식을 특정 가격에 사거나 금리 스왑 혹은 팔겠다고 부른 값)라고도 한다. 틱차트는 다른 차트들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거래가 발생하였을 때 ( 거래량500주 1개 거래의 1회 체결 을 1개의 점으로 표현. 즉 체결건수에 따라 틱 차트가 그려짐) 만 변화한다. 10틱, 120틱 차트는 10개 또는 120개의 거래를 하나로 모아서 한개의 금리 스왑 캔들로 표시하게 된다. 1틱 차트는 선으로 그 이상은 봉으로 표현된다.
#헤지
본래 뜻은 위험 회피 및 분산이나 투기적인 성격이 강함
미수금이라고도 불림.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할 때 약정 대금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예탁해야 하는 보증금
정부가 돈을 빌리고 그 증거로 써주는 차용증
기준금리는 모든 채권과 예금, 대출 이자의 시작점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만큼 채권이자가 발생되도록 하면 아무런 일을 하지 않아도 생활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자유의 도구가 됨
채권투자시 고려해야할 요소
1)신용등급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완전 안전한 국채나 지방채의 경우 투자금 전액을 나라에서 보장해줌
일반적으로는 5천만원까지가 예금자보호법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는 평균누적부도율을 통해 만기까지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전성 평가가 필요
BBB등급까지가 안전한 투자라고 여겨짐
2)단가
무조건 10,000원으로 발행되는데 단가는 시장에 따라 계속 변동됨
보유하면 원금 수령가능
3)옵션
개인도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Home Trading System)로 채권투자 가능
기간은 몇 일부터 몇 년까지 다양
금액은 소액인 천원부터 몇억가지 가능
안전하면서도 확실한 투자
채권은 3개월마다 이자가 나옴
투자시 만기까지 확정이자
금리스왑
금리스왑(IRS; Interest Rate Swaps)이란 금리변동위험 헤지 및 차입비용 절감 등을 위하여 거래당사자간에 원금교환 없이 정기적(3개월)으로 변동금리(91일물 CD금리)와 고정금리(IRS금리)를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이때 고정금리를 지급하는 대신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거래를 금리스왑 pay거래라 하며 반대로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대신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거래를 금리스왑 receive거래라 한다. 거래단위와 만기는 제한이 없지만 통상 100억원, 만기 1~5년 거래가 주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금리스왑은 고정금리부 자산과 고정금리부 부채의 듀레이션이 불일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금리변동위험을 헤지 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고정금리부 자산이 고정금리부 부채보다 많은 경우 고정금리부 부채를 늘릴 필요가 있는데 이때 금리스왑거래를 통해 채권매도와 같은 효과를 내는 금리스왑 pay거래를 실시하면 금리변동위험이 감소한다. 금리스왑도 향후 금리변 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헤지거래와 향후 금리 방향을 예상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투기적 거래가 있다. 앞서 제시한 예시는 헤지거래에 해당한다. 자신의 자산・부채 포지션 과 관계없이 금리 하락을 예상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금리스왑 receive거래를, 금리 상승을 예상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금리스왑 pay거래를 하게 되는데 전형적인 투기적 거래에 해당한다. 금리스왑시장에서는 금리스왑 스프레드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이는 동일만기 IRS금리-국고채금리(무위험채권)를 의미한다. 금리스왑 스프레드는 향후 금리전망,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된다. 예를 들어 스왑딜러가 향후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여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대신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 receive거래를 하는 경우 고정금리 수취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RS금리가 하락하면서 금리스왑 스프레드는 축소된다.
국가간 인출한도를 정한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것
각 국가별로 이에 해당하는 금리를 줘야함
모든 경제/금융시장의 국가들/화폐는 연결돼있기 때문에 서로 협조하고자 만든 것
금리자유화
금리자유화란 금리규제를 철폐함으로써 금리가 시장의 자금수급에 따라 자유로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이다. 금융시장의 대표적인 가격변수인 금리를 제한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보아 미국 등 다수의 국가에서 금융불안이 반복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금융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금융규제의 하나이다. 이러한 구조적 금융규제로는 금리규제 이외에 업무영역규제, 진입제한 등이 있다. 그러나 1970~80년대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은행의 자금중개가 위축되는 이른바 디스인터미디에이션(disintermediation)이 발생하는 가운데 금융규제를 우회하는 금융혁신이 진전되고 금융자유화가 추진되면 서 각국은 금리규제를 단계적으로 철폐하였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우 ‘레귤레이션 큐(Q)’라는 연준 규정에 의해 은행예금 최고금리가 제한되었는데, 1980년대 일련의 자유화조치 등으로 금리자유화가 진전되었다. 한국은 금융기관 간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금융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산업의 대외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1991년 8월 수립된 “4단계 금리자유화 추진계획”에 따라 1995년 11월 제3단계 금리자유화를 완결하였다. 이어 2004년 2월부터는 요구불예금 금리도 자유화함에 따라 모든 예금의 금리상한 규제가 폐지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부문 낙후의 주요 원인이 금리의 가격기능 위축에 있다는 점에서 금리자유화는 시장원리에 의한 경제운용과 통화정책의 유효성 제고를 위한 기반이 되었다.
스왑 스프레드(Swap Spread), 그리고 그 역전 현상에 대하여
스왑 스프레드라니. 머리가 아프다. 영어가 두개이다. 뭔지 그 의미도 불분명한 영어 단어가 두개나 붙어있다. Swap은 뭔가를 바꾸는 것이고, Spread는 뭔가와의 차이를 의미한다. 너무 고민하지 마라. 스왑 스프레드의 개념은 아주 단순하니까. 바로 IRS 금리와 국고채 금리와의 차이를 의미한다.
※ 스왑 스프레드(Swap Spread) = IRS 금리 - 국고채 금리
3Y 스왑스프레드 : 대부분의 기간 마이너스 영역이다 / 출처 : Bloomberg
스왑 스프레드(Swap Spread) 역전 현상의 원인
이러한 국내 스왑 스프레드의 역전은 유서가 깊은만큼 많은 많은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결국 이론적인 펀더멘탈이 들어맞지 않는 현실은 수급으로 설명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스왑 스프레드 역전의 원인으로 주로 언급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국고채 공급의 증가로 국고채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올라갔다는 설명이다.
(2) 변동금리 위주의 막대한 주택담보대출
: 막대한 변동금리 베이스의 주택담보대출로 인해, 이를 헷지하기 위한 은행권의 IRS Receive 수요가 많다. 이것이 IRS 금리를 하락 시킨다는 것.
: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금리 정책 정상화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지난 수십년간 금리는 경기에 따른 부침에도 불구 장기적으로 하향되어왔다.
이러한 금리의 하향 추세와 저금리의 고착화는 IRS Payer 로서는 영 껄쩍찌끈한 일인 동시에, 사람들의 IRS Receive 에 대한 수요를 자극했다.
: 차익거래를 수행하여야 할 금융기관들의 내부 리스크 관리/통제 등으로 충분한 차익거래가 발생하지 못했다.
(그외) 스왑 딜러의 헷지 비용
: IRS 거래를 받아주는 스왑 딜러 입장에서는 해당 포지션을 시장에서 헷지하여야 한다.
스왑 딜러 입장에서 금리 스왑 IRS Receive 인 경우, 그 헷지 비용은 (CD금리-레포 금리). 반대로 IRS Pay 인 경우, (레포금리-CD금리)가 헷지 비용이 된다.
따라서 CD금리-레포금리(Receive 입장 헷지 비용)이 확대되는 경우, IRS 금리를 높게 요구하게 되고 스왑 스프레드는 양의 방향으로 확대된다.
반대로 CD금리-레포금리가 축소되면 스왑 스프레드는 음의 방향으로 축소된다.금리 스왑
* IRS Receive 포지션을 기준으로 스왑 딜러의 총 수익은 스왑 스프레드-(CD금리-레포금리) 가 된다.
그러나 과거 2008년 등에 비하여 현재의 스왑 스프레드 역전폭은 아주 양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임상규, 장봉규. 한국시장에서의 이자율 스왑 스프레드 결정 요인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3호.
김태선, 이광엽, 이승훈. Bond Swap Spread의 역전 원인에 관하여. 현대선물.
'금융 경제 지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_구매관리자지수] ISM vs. Markit (1) | 2020.05.13 |
---|---|
스왑 스프레드(Swap Spread), 그리고 그 역전 현상에 대하여 (2) | 2018.06.20 |
금리스왑(IRS; Interest Rate Swap)이란 무엇인가? 조연:베이시스 스왑 (10) | 2018.06.14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에 대하여 (0) | 2018.05.14 |
국민소득 삼면 등가의 법칙과 항등식 (0) | 2018.05.04 |
국가대표 경제지표, GDP 국내총생산 (1) | 2018.04.25 |
'금융 경제 지표·용어' Related Articles
hoeingforyield 2018.08.28 20:54
안녕하세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스왑 딜러의 헷징 비용이 이해가 조금 안가서 그러는데요,
헷지 비용이 cd금리 - repo금리 가 되는 이유가 뭔지 조금만 더 설명해 주실 수 있는지요?
우구리 2018.08.28 21:56
안녕하세요 금리 스왑 우구리 입니다.
우선, 스왑 딜러가 IRS 리시브 포지션인 경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스왑 거래를 통해 딜러는
(1) IRS 금리 수취 (고정)
(2) CD 금리 지급 (변동)
의 포지션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포지션을 스퀘어로 만들어주기 위해 스왑 딜러는 다른 시장에 가서 반대로 고정 금리 지급, 변동 금리 금리 스왑 수취 포지션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딜러는 그를 위해 국채를 빌려서(대차) 매도합니다. 그럼 국채 매각 대금인 현금이 생겼지요? 이 현금을 가지고 레포 매수를 합니다. 그럼 해당 포지션으로 부터 레포 이자(변동)을 수취하게 되지요. 그런데 어쨌든 애초에 국채를 빌려왔으니 거기서 발생하는 국채 이자(고정)을 대주에게 지급해야합니다.
(금리 스왑 3) 레포 금리 수취
(4) 국채 금리 지급
그럼 정리해보면, 스왑 딜러의 손익구존는 (1)-(2)+(3)-(4) 입니다. 순서를 좀 바꿔보면 [(1)-(4)]-[(2)-(3)] 이 되지요. 이게 스왑 스프레드-(CD-레포) 입니다.
*대차 수수료는 그냥 없다고 쳤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