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거래 소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사진=연합뉴스

ScienceON Chatbot

A study on the platform for P2P electricity trading in distributed energy resource market

본 논문에서는 국내 소규모전력중개시장에서 중개사업자를 통해 프로슈머(Prosumer)와 소비자 간 상호 전력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 모델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프로슈머, 소비자, 중개사업자와 Utility(한국전력)로 구성된다. 각 구성 요소들 중 중개사업자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프로슈머와 소비자 간 상호 P2P 전력거래를 중개한다. 중개사업자는 동일거래가격 매칭 메커니즘을 통해 프로슈머와 소비자의 거래를 모두 성립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 메커니즘은 영국의 피클로(Piclo)가 온라인 거래 플랫폼을 통해 P2P 전력.

본 논문에서는 국내 소규모전력중개시장에서 중개사업자를 통해 프로슈머(Prosumer)와 소비자 간 상호 전력거래를 P2P 거래 소개 할 수 있는 플랫폼 모델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프로슈머, 소비자, 중개사업자와 Utility(한국전력)로 구성된다. 각 구성 요소들 중 중개사업자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프로슈머와 소비자 간 상호 P2P 전력거래를 중개한다. 중개사업자는 동일거래가격 매칭 메커니즘을 통해 프로슈머와 소비자의 거래를 모두 성립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 메커니즘은 영국의 피클로(Piclo)가 온라인 거래 플랫폼을 통해 P2P 전력거래를 시행하고 있는 방법으로 최근 많은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적용하고 있는 P2P 거래 소개 메커니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P2P 전력거래를 위한 가격 상한선 및 하한선을 정하고 모의조건 1과 모의조건 2를 통해 프로슈머와 소비자의 편익을 분석하였다. 모의조건 1은 프로슈머와 소비자가 판매하고 구매하는 전력량을 일치시켜 동일거래가격 매칭 메커니즘을 통해 거래하는 상황을 모의로 수행하였다. 동일거래 가격 매칭이 되지 못한 프로슈머와 소비자를 위해 중개사업자는 가격 조율을 하고 가격 조율을 통한 동일거래 가격이 성립하면 프로슈머와 소비자를 재매칭을 하여 거래를 성립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슈머는 태양광 상계거래를 통한 전기요금과 P2P 전력거래를 통한 수익을 비교하였고 소비자는 Utility의 전기요금과 P2P 전력거래를 통한 전기요금에 대한 비교를 통해 편익을 분석하였다. 모의조건 2에서는 프로슈머의 잉여전력량이 소비자의 구매전력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로 설정하였다. 이 경우 소비자는 모의조건 1에서보다 더 높은 거래가격을 제시함으로 경쟁이 치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슈머의 부족전력으로 거래에 참여하지 못하는 소비자는 Utility의 전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누진제 완화 효과와 전기요금 절감의 편익을 보지 못하였다. 그리고 모의조건 1보다 소비자의 편익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국내 소규모전력중개시장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동일거래가격 매칭 메커니즘을 적용한 플랫폼을 통해 P2P 전력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소비자는 누진제 부담완화와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볼 수 있고 프로슈머는 잉여전력 판매에 대한 수익 창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P2P 전력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프로슈머가 증가하여 더 많은 신재생에너지가 생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중개사업자는 이를 바탕으로 더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거래의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platform model in which the prosumer and consumer can conduct P2P power trading. It is consists of prosumers, consumers, aggregator and Utility. As a platform operator, aggregator mediates the electricity trading of prosumer and consumer. This platform uses the same transaction.

This paper proposes a platform model in which the prosumer and consumer can conduct P2P power trading. It is consists of prosumers, consumers, aggregator and Utility. As a platform operator, aggregator mediates the electricity trading of prosumer and consumer. This platform uses the same transaction price matching mechanism for transactions. It is the same as Piclo’s online platform trading mechanism.
This paper defines upper and lower limit price for P2P electricity trading and analyzes the benefits of the prosumer and consumer through the case 1 and 2. In case 1, the amount of electricity sold by the prosumer is equal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purchased by the consumer. In the case of the same transaction, the matching transaction is performed preferentially. For the prosumer and the consumer who can not match the same transaction price, the aggregator adjusts the P2P 거래 소개 price and if the price of the same transac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price adjustment, the prosumer and the consumer are re-matched and the transa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is, the prosumer compares the electricity tariffs and the profit from the P2P electricity trading, and the consumers analyzed the utility charges and the electricity tariff through the P2P electricity trading.
In case 2, P2P 거래 소개 P2P 거래 소개 the prosumer’s surplus power is less than the purchased power. In this case, consumers are able to confirm that competition is intense by suggesting a higher transaction price than in case 1. Consumers P2P 거래 소개 P2P 거래 소개 who can not participate in the transaction due to the lack power of prosumer have to use utility power, so they have not the benefits and the reduction of electricity bills. And we can confirm that consumers' convenience is less than case 1.
If consumers and prosumers make P2P electricity trading through the same transaction price matching mechanism in the Distributed Energy Resource market in the future, consumers gain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electricity bill, and the prosumer can generate revenue for surplus electricity sales. In order to activate P2P power trading, prosumer will increase and more new renewable energy should be produced. Therefore, aggregator should increase efficiency of business through more efficient business model.

P2P 거래 소개

250만원, 고반발 금장 아이언세트, '60만원'대 72% 할인 판매!

대규모 채용·파트너십 확대 잰걸음
제도권 진입 넘어 '혁신산업' 각인 시도

제도권에 진입한 P2P금융(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업체가 내년 본격 영업 확대를 위한 채비에 나섰다. 인재 영입 및 사옥 이전뿐 아니라 중금리 대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통 금융사와 제휴도 모색한다.

Photo Image

8퍼센트는 내달 최고전략책임자(CSO)를 신규 선임한다고 밝혔다. 내년 사업계획을 구상하고 투자 본부를 신설해 국내외 투자 제휴를 이끌어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달 대거 인력 채용을 위한 공고를 낸다. △플랫폼 개발 △경영지원 △컴플라이언스 △기관 영업 △전략 △재무 등을 포함한 전 분야에서 인력을 증원한다.

8퍼센트는 그동안 축적한 금융·비금융 데이터를 융합해 전통 금융사와 제휴를 확장할 계획이다.

또 중금리 대출과 대체 투자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고금리를 중금리로 전환하는 대환대출 상품을 집중 공급함과 동시에 우버처럼 임시계약직으로 인력을 운용하는 기그(gig·임시직) 이코노미 운전사, 배달종사자 등에 특화한 대출 상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8퍼센트는 실리콘밸리 투자사 BRV캐피탈매니지먼트를 비롯한 복수 기관으로부터 지난달 453억원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Photo Image

피플펀드는 지난 1일 강남역 인근으로 사무실을 확장 이전했다. 내년 하반기까지 현재 인원의 60%를 추가 채용해 250명으로 대폭 늘린다.

이중 개발 및 데이터 전문 인력은 전체 채용 규모의 3분의 2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연내 시리즈C 투자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피플펀드는 올해 5월 AI(인공지능)연구소를 론칭하고 여신 특화 STT(Speech to Text) 엔진 개발 등 AI 기반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또한 비은행권 고객의 모바일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업계 최초로 100% 비대면 대출 앱 서비스를 론칭했다.

애큐온 저축은행을 비롯한 다수의 금융기관과 투자 파트너십 및 법인 투자를 확대해 중금리 대출 공급을 위한 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당국의 유권해석을 통해 국내 여신금융기관의 온투업 투자 가능성을 재확인한 만큼 국내 금융기관과 온투업 파트너십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Photo Image

렌딧은 내년 하반기까지 현재 전 직원 40%에 해당하는 개발인력을 약 60% 수준까지 증원할 방침이다. 머신러닝과 AI,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개발 인력과 금융 전문 인력 등 상시 채용한다.

또 다년간 축적해 온 중금리대출 데이터를 토대로 다양한 금융기관과 협업을 꾸준히 모색할 계획이다. 중금리대출 신용평가모형 고도화에도 집중한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내년 온투금융이 단순히 새로운 재테크 수단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 기술 기반의 혁신 임팩트 산업이라는 사실을 꾸준히 알려나가겠다”고 밝혔다.

커지는 온라인P2P 시장…투자 속도도 가파르다

P2P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온투법)' 시행 이후 제도권에 올라선 온라인 P2P 기업들에 대한 투자 속도가 빨라지며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투자금을 확대한 P2P 거래 소개 온라인 P2P사들은 중·저신용자,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을 더욱 확대해 '포용 금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28일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중앙기록관리기관에 따르면 금융당국에 공식 등록한 P2P 업권(33개사)의 올해 누적 대출금액은 전날까지 집계된 통계를 기준으로 2조4527억원에 달했다.

올해 9월 말 기준 1조6345억원이었던 P2P 대출 규모는 3개월 새 1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온투법이 지난 8월 시행된 것을 감안하면 매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P2P 거래 소개 분석된다.

P2P대출 상품 유형별로는 부동산담보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이 7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개인 신용 대출이 9%를 기록했다.

국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에서 실행된 P2P 대출. (자료=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중앙기록관리기관)
온라인P2P사들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에 특화된 중금리 대출을 더욱 늘려 '대안 금융'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제도권으로 올라서면서 회사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최근 윙크스톤파트너스가 신한금융투자로부터 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해 누적 투자유치금액이 32억원을 기록했다. 윙크스톤은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을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 개발·확장 및 복합신용평가모델 고도화에 두루 쓰일 예정이다.

과거 온투법 시행 전에는 P2P 금융사가 P2P대출 상품 투자자로 참여하는 것을 제한받았지만, 온투법 시행 이후 온투업자로 등록된 회사에 대해서는 모집금액의 80% 이상 모집 시 플랫폼의 자체 투자가 허용되면서 자기자본 연계 투자금을 늘리는 곳도 있다.

8퍼센트를 운영하는 에잇퍼센트는 100억원 규모의 자기자본 투자금을 조성해 온투금융 채권의 모집 자금 중 20%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8퍼센트가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8퍼센트는 1차로 조성된 100억원에 이어 자기자본 연계 투자금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에잇퍼센트는 채권별 80% 이상 자금이 모집된 이후에는 회사의 자기자본 투자를 더해 더 빠른 속도로 중금리 대출을 실행할 P2P 거래 소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떠난 핀테크협회 새 회장은?

국내 핀테크업계를 대표하는 한국핀테크산업협회(이하 핀테크협회)의 차기 회장 선거가 다음달 치러질 예정인 가운데 4대 회장 후보 등록이 마무리됐다.9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핀테크협회는 지난 7일 오후 6시 30분 4대 핀테크협회 임원 후보 등록 접수를 마감했다. 4대 임원 선거는 회장을 포함해 부회장, 이사, 감사 등을 선출한다.현재 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는 오는 4월 임기가 끝난다. 류 대표는 모회사인 카카오 신임 대표로 내정됨에 따라 핀테크업계를 떠날 예정이다.이날 마무리 된 4대 핀테크협회 회장 후보는 △이혜민 핀다 대표이사 △정인영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이근주 한국간편결제진흥원장 등 3명이 후보 등록 접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 회사에서 모두 후보 등록 접수를 마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업계에서도 이미 예상했던대로 3파전으로 선거가 치러질 것"이라고 설명했다.현재 최종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은 모두 업계에서 성장세 등이 뚜렷한 조직을 이끌고 있다.이혜민 대표는 비교 대출 중개 플랫폼 서비스 스타트업 '핀다'를 지난 2015년 설립했으며, 류영준 대표가 출사표를 던졌던 지난 3대 회장 선거에도 출사표를 던진 바 있다. 당시 핀다가 협회 임원사가 아니었던 탓에 후보 적격 심사에서 최종 후보자로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특히 이 대표는 핀테크 업계 가장 뜨거운 이슈인 '마이데이터' 사업 관련 P2P 거래 소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인물로 꼽힌다. 핀다는 대출 중개 부문에서는 지난 2019년 1호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된 바 있고, 표준API 의무화 이전 마이데이터 사업 본허가를 따내며 마이데이터 사업자로서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평가다.함께 유력 후보로 이름을 올린 정인영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대표는 현재 부회장이다. 정 대표는 그간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당국의 규제 완화 관련 입장을 적극적으로 밝혀왔다. 특히 '망 분리 규제' 이슈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며 “망분리 규제로 모바일 개발 시에 필수적인 오픈소스나 라이브러리 사용이 제한돼 개발자들이 핀테크 기업을 꺼려한다”며 “핀테크 업권 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체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개발 단계만 망분리 예외로 하는 등 합리화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이근주 한국간편결제진흥원장은 IBK기업은행 스마트금융부장·핀테크센터장을 거쳐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사무국장, 제로페이 추진단장 등을 지냈고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출범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에선 정부에서 그는 민간으로 이관된 제로페이 사업을 맡아왔다.절차 상 최종 후보자는 오는 10~18일 협회 선거관리위원회(이사회)에서 후보적격심사 및 추천 과정을 거쳐 확정된다. 19일 후보자 확정이 공고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후보들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다.투표는 이달 20~26일 선거인 명부 확정 이후 진행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따라 모바일 투표로 진행될 수 있다.*지난 1월 9일자 본 기사에서 차기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회장 후보로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등록 접수를 마쳤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측에서 이석우 대표가 아닌 이근주 한국간편결제진흥원장이 후보로 등록했다고 전해했기에 정정합니다. 혼동을 일으킨 점 죄송합니다.

신한은행, 'AI 뱅커'와 CES 갔다

신한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22(Consumer Electronics Show)에 참가해 인공지능(AI) 뱅커를 소개했다.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번 CES 참가를 준비하면서 AI 뱅커에게 한국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학습시켰다. 실제 시연에서 AI 뱅커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영어로 말하는 모습도 선보였다. 'AI 뱅커'는 영상합성과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한 가상 직원으로 디지털 기기를 통해 맞이인사 후 고객이 원하는 업무까지 안내하고 있다. CES에서 신한은행은 지난해 12월 서울 서소문 디지로그 브랜치에 설치한 AI 기반 업무 안내 서비스 기기인 'AI 컨시어지'와 실시간 화상 상담 시스템 '디지털 데스크'를 주제로 부스를 구성했다. AI 혁신기술과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고객 방문에서 상담, 거래 완료까지 금융서비스의 전 과정을 구현해 신한은행이 추진하는 미래형 영업점의 모델을 선보였다.디지로그 점포는 외관부터 운영방식까지 기존 은행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구현했다. 서소문의 경우 전면을 통유리로 꾸며 은행 내부가 카페처럼 들여다보이게 제작했다. 은행 벽면엔 스마트 월을, 고객들이 대기하는 테이블에는 터치 스크린을 설치해 고객들이 은행 상품이나 다양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게 특징이다. 또 고객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없애기 위해 100% 예약제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이번 CES 참가는 인공인간 아바타 기술 보유업체인 마인즈랩, 디지털 데스크 제조사인 효성 TNS와 공동으로 진행했다. 향후 신한은행은 AI 학습을 고도화 해 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신한은행의 AI 뱅커와 디지털 데스크는 (구)평촌남 지점과 (구)다사 지점(대구 소재)에 지난해 9월 도입돼 운영 중이다. 또 고령층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고령층 방문이 많은 일부 영업점에서는 'AI 컨시어지'가 고객 내점 시 번호표 발행기에 탑재돼 고객의 안면을 인식해 고객을 식별하고, 방문 목적 등을 호가인해 가장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창구로 안내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CES 참가를 통해 신한은행이 그 동안 추진한 디지털 전환 노력의 결실인 혁신적인 미래형 영업점 모델을 전세계에 알리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표준API 방식 전면 시행한 '금융 마이데이터'…국세 등 공공정보, 상반기 중 서비스

올해부터 은행·보험·카드 등 흩어져 있는 내 금융정보를 한 데 모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금융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서비스가 표준API 방식으로 전면 시행됨에 따라 금융권의 관련 서비스가 5일 일제히 시작됐다.금융권에 따르면 표준API 방식의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표준화 된 전산처리방식으로 금융회사가 고객의 정보를 마이데이터 P2P 거래 소개 사업자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표준API 도입 전에는 스크래핑(긁어오기) 방식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운영돼 왔다.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표준API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면 소비자 측면에서는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면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광범위한 정보수집이 제한되고, 개인 정보 유출 등의 사고 발생시 책임소재가 명확해진다.표준API 방식이 의무화되면서 이날부터 일부 대부업체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도권 금융회사 등 417개사의 정보가 마이데이터 사업자에 제공되며, 전체 정보제공자 중 은행은 24개다. 이 중 지난해 12월 한 달 간 진행된 마이데이터 시범운영에 참여한 △KB국민 △농협 △신한 △우리 △기업 △하나 △대구 △SC제일 △광주 △전북 등 10개 은행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시행일에 맞춰 시범운영을 마치고 서비스를 개시한 은행권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신한은행 '머니버스' △KB국민은행 'KB마이데이터' △광주은행 'MY자산관리' 등이 있다. 은행별로 소비패턴 분석, 금융 습관 분석, 자산관리 시뮬레이션, 여행지 추천, 카드·페이·멤버십 포인트 모아보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P2P 거래 소개 한편 금융위원회는 현재 표준API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은 국세·지방세·관세 납세내역과 건강보험, 공무원연금·국민연금 보험료 납부내역 등의 공공정보를 올해 상반기 중 마이데이터 사업자에 제공할 수 있도록 각 기관과 협의 중이다.

온투법등록 P2P기업 21곳 추가…P2P시장 활기 띤다

금융위, 21개 P2P기업 추가등록…총 28개사
등록요건 미비 회사 다수…엑싯 계획도 마련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온투법)의 등록요건을 갖춘 P2P금융기업이 21개사가 추가됐다. 이로써 국내 P2P금융업계에서는 총 28개사가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온투법 등록요건을 갖춘 모우다 등 21개 기업을 온투업자로 금융위원회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온투법은 P2P금융에 투자하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업자가 갖춰야 하는 조건을 제시하고, 이 조건을 제시한 사업자에게만 P2P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온투법에 따라 P2P금융업자는 △연계대출 규모에 따라 최소 5억원 이상의 자기자본 요건 △인력 및 물적설비 구비 △사업계획 및 내부통제장치 △임원의 형사처벌 및 제재사실 여부 △대주주의 출자 능력, 재무상태, 사회적 신용 △신청인의 건전한 재무상태 등을 검증받아야만 금융위에 등록되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2월부터 온투법 등록 신청을 받아왔고 그동안 많은 P2P기업들이 신청을 했지만 쉽게 문턱을 넘지 못해왔다. 국내에 100여 곳이 넘는 P2P금융회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전까지 7개 회사만 금융위에 등록될 수 있었다.

금융위가 이번에 21개사를 한번에 허가하면서 P2P금융시장이 다시금 활기를 되찾을 수 있게 됐다. 금융위 역시 이번에 21개사를 추가하면서 "온투법의 적용을 받는 온투업자가 등록됨으로써 P2P금융 이용자가 보다 두텁게 보호되고 향후 P2P금융산업의 신인도 제고와 건전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금융위는 일부 회사의 경우 등록요건 등이 미비해 심사가 미뤄졌으며 심사가 마무리되는대로 조속히 영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금융위에 등록되지 않은 P2P금융회사를 통해 투자한 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 중이라는 의미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심사중인 업체들은 등록시까지 신규 영업은 중단되지만 자금회수, 상환 등 이용자 보호 업무는 지속할 예정"이라며 "등록요건이 충족돼 온투업자로 등록되면 신규 영업 재가가 가능하다. 앞으로도 온투업에 새롭게 진입하고자 하는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등록 접수와 심사도 진행할 것"고 말했다.

동시에 온투법 등록에 실패한 P2P 거래 소개 P2P 거래 소개 P2P금융기업의 이용자 보호를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일종의 폐업 가능성을 염두한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관련 금융위는 P2P업체가 폐업할 경우 잔존업무를 처리하고 채권추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법무법인이나 채권추심업체와 사전 계약토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P2P업체 투자금, 상환자금 유용 방지를 통해 자금관리 업체의 협조를 받아 전산관리 실태를 통제 중이다.

이 관계자는 "대출잔액, 투자자 규모가 큰 업체 등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 직원 등 상시 감독관을 파견할 예정"이라며 "온투업 미등록 P2P업체의 기존 대출을 등록된 온투업자의 대출로 대환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P2P 거래 소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세계 최초로 시행된 P2P금융업 관련 법률인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온투법)'이 제정된지 1년이 지났다. 금융위원회가 P2P금융업체들로 하여금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온투업자)로 등록하도록 부여한 1년간의 유예기간도 종료됐다. 이들이 공식적으로 법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옴으로써 가져올 P2P업계 변화와 향후 전망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오피니언뉴스=권상희 기자] P2P(개인 간 거래) 금융시장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광범위하게 성장하는 추세다.

중소기업 대출, 소비자 신용 대출, 부동산 대출, 학자금 대출 등 다양한 범위의 자금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P2P 금융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리포트앤데이터(Reports and Data)'에 따르면 P2P 대출시장은 지난 2018년 431억6000만달러(약 50조3677억원)에서 2026년까지 5673억달러(약 662조391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26.6%에 달한다.

P2P 대출 시장은 북미, 아시아태평양, 유럽, 중동과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지역에 걸쳐 세분화돼 있다. 이 중 아시아태평양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다.

이러한 성장배경에는 인터넷 등 통신기술의 발달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촉발된 언택트 기조가 큰 역할을 했다. P2P 금융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서로 자금을 빌려주고 갚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세계 최초의 P2P 금융 기업은 2005년 영국에서 등장한 '조파(ZOPA)'다. 조파는 지난 2018년 말 은행업 인가를 받았다. 미국의 경우 P2P금융기업 '렌딩클럽'이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P2P금융 서비스가 큰 주목을 받았다. 렌딩클럽은 시중은행인 레디우스 뱅크 인수에 나서기도 했다.

학자금대출에서 시작한 업체가 10억 달러 투자까지

해외에서는 학자금 대출을 위해 P2P플랫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이 바로 '소파이(Sofi)'다. 소파이는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의 머리글자를 딴 기업으로, 2011년 스탠퍼드대 졸업생이 재학생에게 학자금을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P2P 중계 플랫폼으로 시작했다.

사진=소파이 홈페이지

사진=소파이 홈페이지

이후 소파이는 미국 핀테크 스타트업 중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기업이 됐다. 2015년 9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소파이에 10억달러를 투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까지 소파이가 투자받은 곳은 소프트뱅크, 카타르투자청, 페이팔 창업자 피터 틸 등으로 투자받은 금액은 3조원에 이른다.

소파이는 2020년 1월 회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4월에는 미국 모바일 결제시스템 개발 스타트업인 '갈릴레오'와 홍콩 온라인 증권사인 '8 시큐리티'를 인수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삼성전자가 모바일 결제 시스템과 직불카드 기능을 하는 삼성머니를 출시하며 소파이와 손을 잡았다. 이후 올해 1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인 IPOE와 합병을 통한 상장 소식을 발표했다.

소파이의 기업 가치는 48억달러(약 5조7000억원)으로 이미 유니콘(기업 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회사)을 넘어 데카콘(기업 가치 10조원 이상의 비상장 회사)을 향해가고 있다.

온투법 제정으로 국내 P2P시장 성장 예상

리포트앤데이터는 P2P시장이 온라인 앱 증가와 기존 은행 시스템의 기술 수요 증가로 인해 상당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비대면 금융거래가 늘어나면서 P2P 금융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세계 최초로 온투법이 제정된 만큼 법의 테두리 안에서 시장이 안착해 성장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온투법에는 ▲P2P업체에 법적 지위 부여 ▲금융회사 투자 허용 ▲자기자본 대출 건당 20%까지 허용 ▲투자자 보호 장치 마련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그동안 국내 P2P대출은 대출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통신판매업자이자 모집된 금액을 대출자에게 전달하는 대부업으로 분류됐다. 투자자 보호가 취약함에 따라 그동안은 성장이 쉽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온투법의 발효로 P2P 산업이 처음으로 법적 지위를 갖게 될 전망"이라며 "이용자 입장에선 P2P상품도 기존 금융상품과 마찬가지로 법적인 피해 구제책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투자상품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 금융사들의 대체투자 상품에 포함될 수 있게 됐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며 "기존 금융회사가 P2P업체들을 심사하고 평가한 뒤 투자에 참여하면 개인투자자들의 신뢰도 커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온투업권 제도권 합류…정부 정책과 연계 가능성 기대

국내에서는 온투업의 법제화 완료로 중저신용자들을 위한 중금리 신용대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법 시행 1주년만에 30여개의 업체가 등록됨에 따라 이제서야 온투업 업권이 제대로 형성된걸로 볼 수 있다"며 "업권이 생성됐기 때문에 시장 확대를 기대해보고 있으며 온투업권이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서민금융 공급기관으로 정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영국의 경우 민간의 중금리 대출을 통해 소상공인 진흥을 유도해온 사례가 있다. 이에 따라서 업계는 국내도 향후 정부 정책이나 금융기관과의 연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P2P업체 8퍼센트 관계자는 "그동안 26조원의 신청자금을 심사하며 쌓은 데이터를 통해 금융기관에 중수익 투자상품을 제공할 준비를 마무리했다"며 "올해와 내년은 해외와 마찬가지로 금융기관의 투자 비중이 절반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