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장 거래시간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프리장과 애프터장은 장외거래시간일 뿐이에요.

장전시간외거래 시간, 방법 알아보기

국내 증시 정규장은 오전 9시에 개장하는데, 그 이전에도 거래가 가능한 시간대가 있습니다. 이처럼 정규장 개장 전에 거래하는 방식을 장전시간외거래(장개시전 시간외거래)라고 합니다. 장전시간외거래에서는 전일 종가로만 매매할 수 있고 다른 호가로는 주문할 수 없습니다. 또한, 주문 방법도 정규장 주문 방식과 조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장전시간외거래의 거래 가능 시간, 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장전시간외거래 시간

장전시간외거래는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 동안 진행됩니다. 호가 접수 시간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로 동일합니다(증권사에 따라 주문은 8시 20분부터 미리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전시간외거래는 모든 상장 종목에 대해 이루어집니다(예외 존재).

장전시간외거래는 전일 종가로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전일 종가가 1만원이었다면, 장전시간외거래에서는 1만원으로만 거래할 수 있고 다른 가격으로는 주문을 넣을 정규장 거래시간 수 없습니다.

장전시간외거래에서 체결 순서는 시간 우선 원칙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주문 수량과 관계없이 먼저 들어온 주문이 우선적으로 체결됩니다.

장전시간외거래 방법

장전시간외거래는 정규장 주문과 마찬가지로 각 증권사의 HTS(컴퓨터) 혹은 MTS(스마트폰)를 통해 가능합니다. 정규장 주문 시 이용하는 '주식 주문' 창에서 주문 종류만 '장전시간외'로 선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키움증권 정규장 거래시간 HTS의 경우 '키움주문 [4989]' 혹은 주식종합 [2000]' 등에서 장전시간외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주문창에 종목명을 입력하고 매수, 매도 여부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주문 종류를 '장전시간외'로 선택합니다(아래 그림의 붉은 원). 다음에는 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고 매수 혹은 매도 주문을 내면 됩니다.

장전시간외거래

장전시간외거래

장전시간외거래는 전일 종가로만 주문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문 가격 정정은 불가합니다. 다만 아직 체결되지 않은 주문에 대해 취소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키움증권 HTS의 경우 취소는 '정정/취소' 메뉴에서 할 수 있습니다('정정/취소'는 '매도' 메뉴 옆에 있습니다).

* 이 글은 한국거래소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주식 VI 발동 조건 알아보기 [주식 용어]

주식 VI 발동 의미 한국 증시에서 어떤 종목의 주가가 급등 혹은 급락하는 경우 주식 VI가 발동되며 일시적으로 거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주식 VI 발동 조건, 시간

미국주식 프리장 시간 및 방법, 한눈에 확인하기

미국주식 투자자로서 미국증시를 살펴보다보면, 항상 정규 개장시간 외에 주가가 바뀌는 시간이 있습니다. 바로 장전시간인 프리장과 장후시간인 애프터시장인데요. 이 시장들은 시간외거래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오늘은 프리장 시간과 거래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미국주식 프리장시간

장시간은 증권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1. 미국주식 프리장, 애프터시장 뜻

미국주식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

프리장과 애프터장은 장외거래시간일 뿐이에요.

국내주식을 정규장 거래시간 거래할때 정규장 시작시간이 09:00~15:30까지이고, 이외의 시간은 장외시간으로 거래시간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을 거래할때도 구조는 똑같습니다. 미국증시도 거래할때 정규장시간이 있고, 장외시간이 있습니다. 이 장외시간은 정규장 전의 시간인 장전시간이 있고 이는 프리마켓 또는 프리장 이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정규장시간이 끝나고 열리는 장외시간은 애프터마켓 또는 애프터장이라고 불립니다.

이렇게 미국주식은 프리장, 정규장, 애프터장이 있지만 우리는 국내 증권사를 통해서 모든 시간에 거래하기는 어렵습니다. 증권사마다 일부 제한된 프리장시간에서 거래를 할 수 있기에 사용하시는 증권사마다 언제 거래가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 합니다.

2. 미국주식 프리장 시간

우리나라에서 가장 점유율 높은 증권사가 키움증권이라고 하죠. 실제로 호불호는 있을 수 있겠지만 저도 개인적으로 가장 주로 쓰고 있는 증권거래 플랫폼입니다. 서머타임을 적용할때와 미적용할때의 거래시간 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머타임 적용시 미국장 거래시간

  • 프리마켓(Pre-market) : 20:00~22:30
  • 정규장 : 22:30~05:정규장 거래시간 00
  • 애프터마켓(After-market) : 05:00~06:00

▼서머타임 미적용시 미국장 거래시간

  • 프리마켓(Pre-market) : 21:00~23:30
  • 정규장 : 23:30~06:30
  • 애프터마켓(After-market) : 06:00~07:00

키움증권 미국주식 거래시간

키움증권 기준입니다.

3. 미국 프리장 시간 거래방법

  1. 거래희망 종목 선택
  2. 호가, 수량 선택
  3. 매수/매도 선택

장외거래라고 특별히 다른 점은 없습니다. 정규장에서 미국주식을 거래하던 방법처럼 거래희망하는 종목을 선택하고 호가, 수량을 선택하고 매수/매도처리 하면 됩니다. 키움증권 기준으로 예약 주문,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주문이 가능하고 실시간 주문도 별도의 수수료를 지불하면 거래가 가능합니다.

Ant Developer

일반적으로 주식을 하지 않거나, 처음 하시는 주린이분들은 주식장이 열리는 시간인 오전 9시부터 장이 마감하는 오후 3시 30분까지만 거래가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처음엔 그랬습니다 ㅎ;

정규 시간 09:00 ~ 15:30
장 시작 동시호가 08:30 ~ 09:00
장 마감 동시호가 15:20 ~ 15:30
장전 시간외 종가 08:30 ~ 08:40
장후 시간외 종가 15:40 ~ 16:00
시간외 단일가 16:00 ~ 18:00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시간은 9:00 ~ 15:30 이지만, 실제로 거래는 08:30 ~ 18:00까지 가능합니다.

정규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증시 거래시간입니다. 원하는 지정가, 시장가 등으로 자유롭게 매수와 매도가 가능한 시간입니다.

정규장에서 진행되는 매매는 주문한 순서대로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만약 4,825 호가에 1주를 매도하고 싶어서 주문을 걸었다면, 먼저 주문을 걸어놓은 1,133주가 순서대로 체결된 후 본인의 물량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매수도 마찬가지입니다.

동시호가는 정규장에서 진행되는 매매 방식, 즉 순서대로 체결되는 방식이 아닙니다.

장이 시작하기 전, 장이 마감한 후와 같이 주식 거래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거나 많은 물량이 몰리는 경우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즉, 순서대로 바로바로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매매 수량과 매매 가격을 미리 걸어 두고 특정 시간에 일괄 처리가 되는 방식입니다.

장 시작 동시호가

동시호가의 개념을 이해했으면, 이제부터는 쉽습니다.

장 시작 동시호가란, 정규장이 시작하기 전에 진행되는 거래입니다.

8시 30분부터 30분동안 주문을 미리 받고, 9시가 되면 받아놓은 주문들이 일괄로 처리됩니다.

이때, 모든 호가의 모든 물량이 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많은 매수, 매도 주문이 걸려있는 호가에서 체결이 되며 그 가격이 시초가가 되는 방식입니다.

장 마감 동시호가

장 시작 동시호가와 같은 개념입니다.

정규장이 끝나기 10분전, 3시 20분부터 호가창에 6개의 호가만 표시되고 거래가 되지 않는 상황을 보셨을 것입니다.

이때가 바로 장 마감 동시호가입니다.

정규장이 끝나기 10분전인 3시 20분부터 10분간 주문을 모두 받고 3시 30분에 일괄 처리합니다.

이때, 체결된 가격이 종가가 되는 방식입니다.

장전 시간외 종가

장 마감 동시호가로 만들어진 종가로 매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정규장 시작 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총 10분간 전일 종가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후 시간외 종가

장 마감 동시호가로 만들어진 종가로 매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정규장이 끝난 3시 40분부터 4시까지 당일 종가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시간 외 단일가

종가 배팅과 마찬가지로 제가 자주 사용하는 매수 시간대입니다.

※ 종가 배팅과 시간 외 단일가를 추천하는 이유 ※

종가 배팅이란, 단어 그대로 종가로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정규장이 열린 직후, 1시간 동안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고가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시초에 매수를 한다면 장이 끝날 때까지 오를 수도 있지만 하락할 시간적 여유가 충분히 있게 됩니다.

또한, 차트 매매의 기본이 되는 캔들은 종가를 기준으로 음봉, 양봉이 결정되기에 캔들을 확인할 수 있는 종가와 시간 외 단일가로 거래를 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 거래시간[정규시간, 장전거래, 장후거래], 양도세, 배당소득세 feat. 썸머타임이 뭐여?

요즘 미국주식 투자하시는 분들 많은거 같은데 "미국 주식시장 거래시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국 증권시장은 미국 현지시간으로 오전 9시 30분에 시작해서 오후 4시에 종료됩니다.(한국은 9시 - 3시30분) 한국 시간으로 저녁 11시 30분에 시작합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정규장 시작전 프리마켓(Pre-market) 1시간 30분이 주어지며, 정규장 종료 후 2시간 30분 동안 에프터마켓(After-market)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표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시간(한국시간)
개장 전 거래시간 22:00 ~ 23:30
정규장 23:00 ~ 06:00
개장 후 거래시간 06:00 ~ 08:30

그리고 중요한 것이 하나 있는데 미국은 썸머타임 제도가 있어서 그 기간에는 주식시장 운영시장도 변경이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헷갈리더라고요. 썸머타임 기간은 3월 둘째주 일요일부터 11월 첫째주 일요일까지 이며 전체적으로 1시간이 앞 당겨 집니다. 썸머타임 적용시 표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시간(한국시간) + 썸머타임 적용
개장 전 거래시간 21:00 ~ 22:30
정규장 22:00 ~ 05:00
개장 후 거래시간 05:00 ~ 07:30

미국주식을 통해 이익을 내면 당연히 세금을 내야 합니다. HTS 거래수수료는 증권사별로 다르니 제외하더라도 세금관련(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정규장 거래시간 매도에 따른 이익발생에 대한 세금)

한해 매도차익 250만원 초과시 초과한 금액의 22% 를 세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이러한 세금은 5월(5월1일~31일)에 양도세 신고를 통해 납부해야 하며, 국세청 홈텍스를 이용하거나 증권사의 신고대행을 이용하면 됩니다. 양도소득세는 원천 징수가 아닌 자진해서 신고납부해야 세금이므로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정규장 거래시간 합니다. 또한 차익실현 시점이 기준년도 들어가 있는지가 중요하므로, 장기 투자자의 경우는 매도하지 않는 한 납부하지 않는 세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주식 배당소득세 (배당을 받아 발생한 이익에 대한 세금)

또한 미국주식으로 인해 배당을 지급받는 경우 배당금의 15% 세금을 배당소득세로 원천징수한 후 개인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이러한 '배당소득세'는 해당 연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000원만원 을 초과하면 초과한 만큼의 금액에 대해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적용됨에 유의해야 합니다. (미국 15%, 중국 10%, 홍콩 0%, 일본 15.315%)

요즘 확실히 미국시장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아진거 같아요. HTS도 예전에는 유료 사용자만 실시간 시세확인 및 주문이 가능했었는데 제한적이지만 실시간으로 시세확인이 가능해졌습니다. 동학개미 서학개미 모두 올바른 투자와 그에 따른 결실로 불행한 사람 하나 없이 모두 행복지기길 바래 봅니다. 모두가 이익에 따른 유쾌한 세금을 냈으면 좋겠네요. ^^

미국 주식 시간에 대해 알아보기(프리장, 애프터장, 정규장)

증권시장은 하루종일 거래를 할 수 있는 거 아니라 주식거래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정해진 시간에 거래를 하는 정규장과 정규장이 아닌 시간에 거래하는 것을 '시간 외 거래'라고 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그런데 미국 주식시장은 어떨까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주식 시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미국 주식 시간을 살펴보면 정규장, 프리장, 애프터 장으로 나누고 있답니다. 간단하게 설명 허자만 프리장은 정규장보다 먼저 거래를 하는 경우이고 애프터 장은 정규장 이후에 하는 거래를 말하고 정규장 거래시간 있답니다.

미국 주식 시간 용어 정리

미국은 주식거래를 하는데 편리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와 조금은 다른 주식거래시간이 있답니다. 외국인들의 투자를 이해 5시간 정도의 거래시간을 주는 프리장과 미국 지역별 시차를 고려해 자국민을 위해 2시간의 거래시간을 주는 애프터장 등이 우리나라와 조금 다른 거 같습니다. 그래서 미국 주식 시간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정규장 - 정해진 시간에 거래를 할 수 있는 주식시장
  • 프리장 - 시간 외 거래로 정규장 이전에 할 수 있는 거래
  • 애프터장 - 정규장 이후에 하는 시간 외 거래

미국 주식 정규장 시간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와 조금 다르게 매년 3월 둘째 주 일요일부터 11월 첫째 주 일요일까지 서머타임제를 적용하고 있어 1시간 앞당겨 장이 시작되고 장이 끝나고 있답니다.

  • 현지시간 기준 : 9:30 ~ 16:00
  • 국내시간 기준 : 23:30 ~ 06:00
  • 서머타임 기준 : 22:30 ~ 5:00

미국 주식 시간 외 거래 시간

미국의 시간 외 거래에는 프리장과 애프터장이 있답니다. 정규장 앞에 거래를 할 수 있는 걸 프리장이라고 하고 정규장 뒤에 할 정규장 거래시간 수 있는 거래를 애프터장이라고 하고 있답니다.

프리장 시간

  • 현지시간 기준 : 04:00 ~ 9:30
  • 국내시간 기준 : 18:00 ~ 23:30
  • 서머타임 기준 : 17:00 ~ 22:30

애프터장 시간

  • 현지시간 정규장 거래시간 기준 : 16:00 ~ 18:00
  • 국내시간 기준 : 06:00 ~ 08:00
  • 서머타임 기준 : 05:00 ~ 07:00

참고로 프리장과 애프터장 적용시간의 경우 우리나라 증권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답니다. 만약 시간외거래를 이용할 계획이시라면 이용하시는 증권사에서 프리장이나 애프터장 시간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랍니다. 우리나라는 시차가 발생하다 보니 정규장보다는 프리장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주식의 시작이라면 미국주식시간을 잘 확인하셔서 좋은 투자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