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판매 옵션 기능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한국지엠, 판매 회복 구원투수 '이쿼녹스 2019년형' 조기 투입

2019년형 모델, 이르면 내달부터 판매 개시. 새 기능 없이 트림 조정 이뤄질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듯 이쿼녹스 판매 회복 위해 시승·할인 등 세일즈 마케팅 강화

여기는 칸라이언즈

시장경제 포럼

한국지엠이 중형 SUV 이쿼녹스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연식변경 모델을 조기 투입한다. 이르면 내달쯤 판매될 연식변경 모델은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트림 조정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엠은 이쿼녹스 연식변경 모델을 이르면 10월부터 판매키로 결정했다.

2019년형 이쿼녹스는 연식 변경 모델이 출시될 때 통상적으로 이뤄지는 트림 조정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 기대를 모았던 주요 기능은 이번 연식 변경에서도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내비게이션 시스템 업데이트를 포함해 인포테인먼트 등 소소한 변화는 있을 것이라는게 한국지엠 측의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연식변경 모델에 대해 아직 논의 중이라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인포테인먼트 업그레이드 등 작은 변화는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 국내 고객들이 관심을 가지는 편의사양은 북미 모델에도 아직 적용돼 있지 않다"며 "아쉽지만 이번 연식 변경 모델에서는 그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쿼녹스는 한국지엠이 지난 6월 부산모터쇼를 통해 공개한 수입 첫 중형 SUV다. 글로벌 판매량이 수백만대에 달하는 상품성을 인정받은 모델이다. 이에 따라 이쿼녹스는 출시 전부터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막상 국내 시장에 판매를 시작한 이후 부진한 성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지엠에 따르면 이쿼녹스는 출시 당월인 6월 385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후 7월 판매량은 191대로 급감했으며, 지난달은 97대에 그쳤다.

동급 최초로 충돌 방지 경고 시스템인 햅틱시트와 시티 브레이킹 시스템,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사양이 전 모델에 기본 적용되며 기대감을 높였던 이쿼녹스가 이같이 부진한데는 국내 소비자들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판매 가격 탓으로 분석된다.

이쿼녹스는 최저 트림인 LS모델 판매 가격이 2987만원이며, 프리미엄 모델은 3892만원에 달한다. 여기에 몇가지 옵션을 더하면, 차량 가격은 4000만원 중반대로 훌쩍 높아진다.

이는 지난 2월 출시된 현대차의 싼타페 판매가격(2895만~3635만원)보다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비싼 수준이다. 게다가 최근 기아차 스포티지 더 볼드와 현대차 투싼 페이스리프트 모델까지 시장에 합류하며, 이쿼녹스의 입지는 더 좁아졌다.

한국지엠은 이쿼녹스 연식변경 모델 판매와 함께 세일즈 마케팅을 강화해, 판매 회복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추석 연휴 동안 이쿼녹스 시승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할인 이벤트도 준비 중이다.조기 판매 옵션 기능

한국지엠 측은 "이쿼녹스 판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회사 차원에서 고심이 크다"며 "2019년형 모델 판매 개시와 함께 세일즈 마케팅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르노삼성 SM6. 사진=르노삼성 제공

르노삼성 SM6(에스엠식스)가 연간 목표 5만 대 조기 판매 달성, 중형세단 자가용 판매 1위 등으로 올해 최고의 히트차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시승도 하지 않은 신차의 배터리가 방전된 사례가 접수돼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소비자는 고객센터 응대 서비스의 불만 등의 이유로 신차 무상 교환 및 환불을 요청하고 있으나, 르노삼성 측은 “치명적인 결함이 아니라서 무상 수리해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양측의 팽팽한 주장을 ‘비즈한국’이 직접 들어봤다.

지난달 28일, 경기도 용인시에 거주하고 김 아무개 씨(44)는 15년 동안 타고 다녔던 중고차를 처분하고 신차를 구매하기 위해 르노삼성 용인구성점을 찾았다. SM6의 안전성과 디자인이 마음에 쏙 들었던 그는 그날 계약까지 체결했다.

신차 인수는 10일 후에 이뤄졌다. 바쁜 업무로 인해 그의 아내가 인수증에 서명하고 신차를 인수했다. 퇴근 후에야 신차를 마주한 그는 차량 점검을 위해 시동을 걸었다가 자신의 눈을 의심해야 했다. 계기판의 배터리 표시에 불이 들어온 것이다. 믿기지 않았지만 잠시 시동을 켜두면 배터리가 충전될 것이라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30여 분간의 차량 점검을 마치고 나서 다시 한 번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시동을 껐음에도 불구하고 옵션으로 장착한 에스링크(S-Link: 네이게이션, 멀티미디어 등의 기능을 갖춘 세로형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전원이 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 차례에 걸쳐 시동을 켰다 꺼보고, 차량 문도 열었다 잠궈 봤지만 에스링크​의 전원은 도무지 꺼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2시간 30분 후에도 에스링크의 전원이 꺼지지 않자 김 씨는 영업소 판매사원을 불러 신차를 수리센터에 보내야 했다.

시승조차 하지 않은 르노삼성 SM6 신차의 배터리가 방전돼 차량 인수자와 르노삼성 간의 의견 다툼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은 제보자 김 씨의 SM6로 서비스센터에 맡기기 전 촬영한 것이다.

나흘 뒤 배터리와 에스링크의 메인보드를 교체해야 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그는 “시승조차 하지 않은 차의 배터리를 교체한다는 건 이해할 수 없다”면서 수리를 거부했다. 신차의 내부 결함에 따른 배터리 방전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까지 들었다고 한다. 그는 르노삼성 고객센터에 연락해 신차 교체 및 계약 취소를 요구했다.

하지만 3일 동안 네 차례에 걸쳐 고객센터에 문의했으나 상담원은 매번 ‘담당 책임자가 곧 연락할 것’이라는 말만 되풀이할 뿐이었다. 수리센터에 차량을 맡긴 지 일주일 후에야 계약을 체결한 영업소 지점장과 연락이 닿았다. 그리고 이튿날 고객센터의 한 아무개 부장과도 전화통화를 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의 입장은 같았다. 확인 과정이 길어져 연락이 늦었던 것이고, 고객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나 치명적 결함이 아니므로 신차 교환 및 계약 취소를 해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용인구성점 지점장은 “르노삼성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최대한 완벽하게 수리해주는 것”이라며 “원칙적으로는 안 되는 것이지만, 2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전달하고자 한다”면서 김 씨에게 무상 수리로 협상을 마무리하자는 제안을 제시했다. 차량 등록을 마쳤기 때문에 신차 교환 및 계약 취소가 불가하다는 르노삼성 측의 주장에 대해 김 씨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김 씨는 “타보지도 않은 차를 수리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바꿔주거나 환불해 달라”고 르노삼성 측에 계속 요구했다.

김 씨의 차는 시동을 껐음에도 불구하고 옵션으로 장착한 에스링크(S-Link: 네이게이션, 멀티미디어 등의 기능을 갖춘 세로형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전원이 꺼지지 않았다. 사진=르노삼성 제공

신차가 인수된 지 15일이 지난 오늘까지도 르노삼성과 김 씨의 협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양측은 ‘비즈한국’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의견을 굽힐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각각 확인했다. 김 씨는 “중고차를 구매한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면서 “처음 고객센터에 연락했을 때만 해도 무상 수리로 협상하려 했다. 그러나 고객센터에 접수된 지 4일이 지난 뒤에야 담당자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르노삼성의 무대응에 몹시 화가 났다”고 말했다. 또 그는 “작은 수리 하나로 생떼 쓰는 사람으로 몰아가는 것 같다”며 “차량 출고부터 인도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세 번의 사전 점검이 이뤄진다고 하는데, 제대로 점검을 했었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르노삼성 관계자는 “영업점 시승차를 무료로 대여해 주고 있으며, 법률상 보상해줄 수 있는 무상 수리 지원을 하겠다고 해도 김 씨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면서 “정상 출고된 점으로 미뤄보면 사전 점검 시에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던 것 같다. 제대로 점검이 이뤄졌는지는 공장에 요청해 출고장을 받아보겠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공정거래고시 내용에 따르면 한 달에 2회 이상 차량 운행이 불가할 정도의 결함이 발견될 때에만 신차 교환 및 계약 취소는 가능하다”면서 “김 씨의 차량의 경우에는 치명적인 내부 결함이 아닌 단순 부품 교체의 문제이기 때문에 무상 수리밖에 지원해줄 수 없다”고 주장했다. ​

1,000만 원짜리 옵션 추가된다는 기아 EV6 페이스리프트, 살펴보니..

기아 EV6 테스트카 / MotorAuthority

[ 오토모빌코리아 = 뉴스팀 ] 기아가 작년 8월 출시한 E-GMP 기반 전기차 EV6의 페이스리프트 준비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국산 차 전문 외신 ‘코리안 카 블로그(Korean Car Blog)’는 기아가 최근 미국 시장에서 EV6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2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현대기아차의 페이스리프트 조기 판매 옵션 기능 주기가 보통 3년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EV6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2024년 출시를 예상할 수 있지만 기아는 더욱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조기 페이스리프트를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EV6의 미국 판매량은 2,567대를 기록했으며 올해 누적 판매량은 12,568대에 달한다.

한정판 디자인
골드 휠 적용?

EV6 한정판 디자인 예시 / Korean Car Blog

기아는 해당 설문조사에서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구체적인 디자인 변화에 관한 의견을 수집하지는 않았다. 대신 전용 색상과 특별한 조기 판매 옵션 기능 휠을 적용한 한정판 모델의 출시 가능성을 암시했다. 문항에 첨부된 이미지를 통해 검은색 외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행 EV6에는 ‘오로라 블랙 펄’이라는 이름의 외장 색상이 존재한다.

오로라 블랙 펄은 검은색 베이스에 펄이 추가되어 약간의 반짝이는 효과와 광택이 더해진다. 만약 한정판 블랙 색상이 추가된다면 별도의 효과를 더하는 등 기존 블랙 색상과 차별화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휠 디자인 또한 눈에 띄는데 골드 색상이 적용된 듀얼 스포크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자율주행 옵션 가격이
1,000만 원이라면?

코리안 카 블로그는 기아의 설문 조사에 옵션 사양 관련 문항도 있었다고 밝혔다. 추가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선루프를 선택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가 하면 완전 자율주행 기능에 관한 언급도 있어 눈길을 끈다. 완전 자율주행 옵션이 존재할 경우 7,500달러(약 980만 원) 상당의 옵션 가격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내용이었다.

지금으로서는 레벨 5에 해당하는 완전 자율주행은 물론이며 레벨 3 자율주행 상용화도 초읽기인 만큼 EV6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완전 자율주행 옵션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제네시스가 연말부터 G90에 레벨 3 자율주행 옵션을 탑재할 예정인 만큼 이후 출시될 EV6 페이스리프트 모델 역시 레벨 3 수준으로 개선될 가능성은 기대해볼 수 있겠다.

테슬라 FSD는?
가격 오를 듯

EV6 선루프

한편 테슬라는 어떨까? 테슬라가 완전 자율주행이라고 광고하는 FSD(Full Self Driving)는 엄밀히 레벨 2 수준의 반자율주행 옵션이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과 페달을 제어하지 않아도 일정 조건에서 차량 스스로 운전할 수 있지만 돌발 상황 발생 시 운전자가 즉각 개입해야 한다. 현재 국내 판매 모델에서 FSD 옵션을 선택하려면 904만 3천 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한편 미국에서는 작년까지 1만 달러(약 1,300만 원)였던 FSD 옵션 가격을 올해 초부터 1만 2천 달러(약 1,560만 원)로 인상하고 매월 199달러(약 26만 원)에 달하는 구독 옵션을 추가했다. 추후 완전 자율주행 단계에 도달하면 옵션 가격이 대폭 향상될 거라는 전망이다. 국내외 네티즌들은 기아의 설문조사 질문에 대해 “금색 휠 끼우니까 중국 수출형 같다”, “반자율주행도 아니고 완전 자율주행이 1천만 원 아래라면 고민해볼 만할 듯”, “테슬라보다 싸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나르다001 30분 전

제발 앨범 커버 아이린으로 부탁드릴게요 ㅠㅠㅠㅠ 항상 수고 많으십니다!! 번역하기

나르다001 30분 전

제발 앨범 커버 아이린으로 부탁드릴게요 ㅠㅠㅠㅠ 항상 수고 많으십니다!! 번역하기

나르다001 30분 전

제발 앨범 커버 아이린으로 부탁드릴게요 ㅠㅠㅠㅠ 항상 수고 많으십니다!! 번역하기

나르다001 30분 전

I don't have the money to donate now, but I hope I can donate smth before the ending date! GIRLKIND HWAITING! 번역하기

나르다001 30분 전

제발 앨범 커버 아이린으로 부탁드릴게요 ㅠㅠㅠㅠ 항상 수고 많으십니다!! 번역하기

  • 배송은 CJ택배를 통해 고객에게 배송됩니다.
  • 배송비는 3,500원으로 결제시 선택가능하며 50,000원이상 구매시 무료로 배송됩니다. (일부 이벤트 상품중 무료배송 불가)
  • 기본 배송기간은 국내의 경우 2일~3일이며, 도서산간 지역은 약 7일 내로 배송됩니다.
  • 해외 배송은 국가별 배송비 정책으로 운영되오니 우측의 링크를 확인바랍니다. 해외 배송비 정책

교환 및 반품 안내

  • 팬미팅 및 팬사인회가 포함된 상품은 환불 및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교환 및 반품은 1:1문의 및 고객센터 (1544-7261, 오전 10시~오후 6시)로 문의 바랍니다.
  • 단순 변심에 의한 반품은 수령후 10일 이내(제품 포장 미개봉시) 가능하며 배송비는 구매자가 부담하여 진행합니다.
  • 사용, 포장개봉으로 인해 상품 가치가 현저히 하락한 경우 반품이 불가합니다.
  • 단 제품 파본등 상품의 결함으로 인한 교환 및 반품은 전액 판매자가 부담하며, 문제점 발견후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요청하셔야 합니다.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및 환불 지연에 대한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됩니다.

(주)크로스아이덴 사업자등록번호 : 195-88-00820 대표 이웅길 메일 : [email protected] 전화 : 1544-726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7-안양동안-0853

조기 판매 옵션 기능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이 전기차 EV6의 마케팅전략을 짜면서 국내 전용 전기차시장에서 앞선 길을 가고 있는 현대차 아이오닉5의 시행착오에서 교훈을 얻고 있다.

11일 기아에 따르면 EV6의 사전예약 일정을 조기종결하기로 결정한 데는 생산 가능한 물량을 고려한 차량 인도시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Who] 기아 EV6 예약 조기종료, 송호성 아이오닉5 시행착오 참고


기아는 이날 사전예약 접수 마감일을 애초 5월31일에서 14일로 2주가량 앞당긴다며 차질 없는 EV6의 차량 인도를 이유로 내세웠다.

기아는 3월31일 EV6 사전예약을 받기 시작했는데 5월10일 기준 3만 대 이상의 예약이 몰렸다. 올해 판매 목표인 1만3천 대의 2배를 훌쩍 넘는다.

사전예약은 차량의 본격 양산 전 수요를 사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여겨진다.

송 사장은 이례적으로 EV6의 사전예약의 조기종결을 결정한 셈인데 너무 많은 수요가 몰리면 출고 지연으로 고객의 실망감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출시한 현대차 아이오닉5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면서 이미 그런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아이오닉5는 노조와 협의 지연으로 양산 초기부터 생산일정이 지연된 데다 최근 구동모터와 차량용 반도체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부족상황까지 겹치면서 출고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현대차가 아이오닉5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 4월 판매대수는 114대에 그쳤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의 사전계약을 국내 공식 출시일 하루 전날인 4월18일까지 받았다. 현대차가 공식적으로 밝힌 아이오닉5 사전계약 물량은 3월 말 기준 4만1779대로 올해 아이오닉5 국내 판매목표 2만6500대를 크게 조기 판매 옵션 기능 뛰어넘는다.

인터넷 전기차동호회 등에서는 2월 말 아이오닉5를 사전계약 했어도 올해 출고를 장담할 수 없고 3월이나 4월 사전계약을 했다면 내년 아이오닉6이 나올 때 쯤 차량을 인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현대차 안팎의 말을 들어보면 아이오닉5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 등으로 생산일정이 불확실해 올해 출고 일정을 섣불리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송 사장이 EV6의 사전예약 일정 마감을 앞당기는 데 아이오닉5의 현재 출고 지연상황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충분한 셈이다.

사전예약과 사전계약은 각각 예약금과 계약금 명목으로 10만 원을 걸지만 예약과 계약을 취소하면 10만 원을 전액 돌려줘 사실상 마케팅 수단으로 쓰인다.

송 사장은 앞으로 옵션 전략 등 판매 전략을 짜는 데도 아이오닉5의 길을 참고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현재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일부 옵션을 제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아이오닉5을 먼저 출고해주는 전략을 쓰고 있다.

EV6 출시 이후에도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상황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송 사장은 아이오닉5의 실제 출고상황 등을 참고해 EV6의 옵션 전략에 반영할 수 있는 셈이다.

옵션 전략은 차량의 평균판매가격(ASP)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꼽힌다. 기본 옵션으로 무엇을 넣고 빼느냐에 따라 EV6의 차량 판매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EV6은 이미 마케팅 측면에서 아이오닉5의 덕을 많이 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이오닉5와 EV6 모두에 적용된 에너지저장장치 역할을 하는 V2L(Vehicle To Load) 기능이 EV6가 덕을 본 대표 사례로 꼽힌다.

아이오닉5는 V2L 기능을 주요 홍보지점으로 삼았지만 EV6은 아이오닉5이 V2L 기능을 적극 알린 만큼 이를 기본으로 깔고 그외 다른 장점을 알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오늘Who] 기아 EV6 예약 조기종료, 송호성 아이오닉5 시행착오 참고


EV6는 주행거리, 제로백(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에 이르는 데 걸리는 시간) 등 성능측면에서도 먼저 나온 아이오닉5보다 앞선 차로 평가되며 기대감을 키웠다.

송 사장이 사전예약 조기종결을 또 하나의 마케팅 수단으로 썼다는 시선도 나온다.
조기 판매 옵션 기능
EV6는 사전예약 첫날인 3월31일 이미 2만1천 대의 예약이 들어와 올해 판매목표를 크게 넘어섰다. 이후 40일 동안 1만 건 가량 늘어난 셈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사전예약 흥행 동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2주 동안 사전계약을 더 받는다고 해도 예약 물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전예약 흥행에 따른 조기종료를 알린 점은 EV6를 향한 기대감을 키우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송 사장은 3월 조기 판매 옵션 기능 온라인으로 열린 'EV6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신차를 론칭하면 보통 한 달 전부터 사전예약을 받는데 EV6는 첫 전용 전기차다 보니 수요 예측이 더욱 중요해 사전예약 시스템을 다른 때보다 일찍 마련했다”며 “이를 통해 올해뿐 아니라 내년 물량까지 놓고 확실한 공급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