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종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미국주식 주문 유형

주식거래종류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도움을 받으세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공지사항

제품 지원

온라인 상담

컴퓨터 제품에 대한 온라인 채팅 및 원격 상담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로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TV, 스마트폰, PC 제품에 대한 원격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삼성닷컴 관련 FAQ를 확인해보세요.

삼성전자 주식회사의 기술 및 경영정보 유출과 관련한 제보를 접수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 상담

월∼금요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요일 (오전9시 ~ 오후1시)

원하시는 시간대에 전화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월∼금요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요일 (오전9시 ~ 오후1시)

방문 상담

가까운 서비스센터 위치와 정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시간대에 수리기사님이 방문해서 서비스를 제공해 드립니다.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표이사 : 한종희 사업자등록번호 : 124-81-00998 사업자 정보확인 통신판매업 신고 : 2000-경기수원-0515

사업장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매탄동) 호스팅서비스사업자 : 한국아이비엠(주) 대표번호 : 02-2255-0114 제품/서비스/멤버십: 1588-3366(통화요금 : 발신자부담) 구매문의 : 1588-6084 큐커 식품관 문의 : 1811-9228

본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에는 등록된 개별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별 판매자 판매 상품의 경우 삼성전자(주)는 통신판매중개업자로서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거래정보 및 거래 등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1995-2022 Samsung. All Rights Reserved.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본 웹사이트는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등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제안에 대한 정책

삼성전자 및 삼성전자 임직원은 당사가 공식적으로 요청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분께서 일방적으로 당사에 제출하는 아이디어나 제안 등을 수령하거나 검토하지 않습니다.

이는 제출하신 내용이 당사 내부적으로 개발한 제품, 기술, 서비스와 유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분쟁을 방지하고 나아가 여러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극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취지를 이해하여 주시고 구체화되지 않은 아이디어나 콘셉트(Concept) 단계의 제안이 당사에 제출되지 않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 거래 시간 과 종류 ( 시간외거래 )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난 주식 거래시간조차도 모르고 있는 주식 무식자였다. 그래서 주식 거래 시간이 3시 30분이면 끝난다는 말을 듣고서 완전 빨리 끝나네 하고 생각했다. 나처럼 주식은 정규시간에만 매수 매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아서 주식 거래시간과 종류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주식 거래 시간과 종류

3. 장전/장후 시간 외 종가 거래

1. 주식 거래 시간 : 정규 시간 거래

정규시장 (일반거래)

- 거래시간 : 09:00 ~ 15:30

- 주문의 종류 : 지정가(보통) , 시장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 IOC/FOK조건, 조건부지정가

- 가격제한폭 : +-30% (상한가, 하한가)

정규시장은 우선 일반적으로 거래를 하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를 의미한다. 보통 9시부터 10시 30분까지가 거래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점심시간 때는 보합을 유지하다가 다시 2시부터 3시 20분까지 매매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왜 3시 20분이냐 하면 나머지 10분 동안은 시간 외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간이다. 이는 밑에서 설명하겠다.

초보자들은 흔히 정규시장 거래시간 내내 호가창을 쳐다보게 되기 일쑤인데 오전 10시 30분까지만 매매를 하고 나머지 시간은 매매를 쉬고 공부하는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국내 주식시장의 개장과 마감이 다른 날이 두 경우가 있다. 먼저 새해 첫날인 1월 1일에는 오전 10시에 시작하여 15시 30분에 마감된다. 또한 대학 수학능력시험인 수능일에는 오전 10시에 시작하고 4시 30분에 마감한다. 국가 공휴일에는 물론 휴장 한다.

2. 주식 거래 시간 : 장전/장후 동시호가 거래

장전 동시호가 거래 : 08:30 ~ 09:00

당일 시가(시작가)가 결정되는 시간이다 어떤 사람은 10,000원에 사고 주식거래종류 싶어 하고 또 어떤 사람은 9,000원에 사고 싶어 할 것이다. 개인마다 원하는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30분간 거래된 가격을 취합하여 9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한다. 9시에 체결된 가격이 그날의 시가가 된다. 장전 동시호가 거래 시간에는 증권사에서 반대매매를 던지는데 가끔 동시호가 40분에 하한가를 가는 종목을 보게 되는데 개인의 물량이 반대매매로 매도되는 것이다.

장후 동시호가 거래 : 15:20 ~ 15:30

장전 동시호가 거래와 마찬가지로 그날의 종가가 결정되는 시간이 장후 동시호가 거래이다. 장 마감전 10분 동안 거래를 하려는 사람들의 호가가 활발하게 이동하며 최종 마감 가격은 10분 뒤 거래가 마감되고 나서 결정된다. 10분 동안 매수가 바로 체결되는 게 아니라 주문만 넣고 파는 사람이 있게 되면 30분 정각에 체결된다. 마감 호가창을 보면 가끔 크게 변동될 때가 있는데 누군가 동시호가에 팔아버릴 때도 있고 갑자기 매수세가 들어와 주가가 상승할 때도 있다. 세력이 관리하는 종목인지 아닌지 종가를 보면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3. 주식 거래 시간 : 시간 외 종가 거래

시간 외 종가 거래 : 08:30 ~ 08:40, 15:40 ~ 16:00

장전 시간 외 종가 거래는 말 그대로 정규장 시작 전에 하는 거래다. 정규장 시작 전인 오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간 진행되는데 거래 가격은 전일 종가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그 가격에 팔겠다는 사람이 있어야 체결된다. 보통 장전에 매도 물량이 없는 경우는 전날 호재가 나와서 다들 사려고만하고 팔려는 사람이 없는 경우이다.

정규시장이 마무리된 후 시작되는 장후 시간 외 거래는 오후 3시 40분부터 4시까지 20분간 진행된다.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종가는 고정되어 있으니 수량만 선택해서 거래할 수 있다.

4. 주식 거래 시간 : 시간 외 단일가 거래

시간외 단일가 거래 : 16:00 ~ 18:00

시간외 단일가 거래는 당일 종가 가격의 +10% ~ -10% 범위 내에서 거래가 되며 10분 단위로 저녁 6시부터 8시까지 2시간 동안 총 12번 체결이 된다. 동시호가 거래와 마찬가지로 여러 투자자들의 주문을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두고 있다. 이때 상한가나 하한가를 간다는 건 회사에 큰 호재가 있거나 악재가 있을 때이다.

기업들이 장 중 주가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장을 마감하고 실적이나 기타 공시사항 등을 발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단일가 매매로 거래를 할 수 있다. 기업과 기업 간에 블럭딜(BLOCK DEAL)이 이루어지는 것도 이때이다. 블럭딜은 장 시작 전후에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대량 주식 거래를 말하는데 대량의 주식이 거래되면 발생할 수 있는 주가 급등락을 막기 위한 것이어서 주로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관끼리나 기업끼리 이루어진다.

[해외주린이 전용] 미국주식 주문종류 및 종류별 매매방법 (ft.키움증권 영웅문S글로벌)

오늘은 미국주식 주문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과는 용어도 다르고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알아보고 주문하는 방법까지 다뤄보겠습니다.

미국주식 주문 유형

1. 지정가:

내가 지정한 가격과 수량에 대해서 주문해요. 국내 주문 시 지정가(보통)랑 같은 개념 입니다.

2. 시장가:

국내 주식 시장가와 같은 개념입니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호가 그대로 체결합니다.

키움증권 유의사항에 보면 "상/하한가 없는 미국 시장은 여러 가지 이슈로 인해 해당 종목의 가격이 크게 상승 또는 하락한 시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불리한 가격 또는 의도하지 않는 가격에 주문이 체결될 수 있으므로 주문 시 이점 유의 부탁드리겠습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미국 주식시장은 국내 주식시장보다 변동성이 크고 실시간으로 가격이 많이 바뀌어서 시장가보다는 지정가 주문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복합적인 영향(제휴 증권사 리스크 관리 정책, 주문 전산망의 안정성 주식거래종류 등)으로 주문체결 지연 또는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주문 후 반드시 주문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3.ATER지정:

장 후 거래 주문입니다. 정규장 후에 한 시간 After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내가 지정한 가격이 '시장가'가 되면 체결됩니다.

4.LOC(Limit On Close):

종가(그날 장 거래 끝난 가격)가 지정한 가격(내가 주문하는 가격)과 같거나 더 유리한 가격일 경우 체결되는 방식 입니다.

예를 들어서 종가가 350달러인데, 내가 loc 340달러로 매수주문을 넣으면 체결이 안되지만 360달러로 한 경우에는 체결됩니다.

NYSE (정규장 마감 10분 전 정정, 취소 불가)
나스닥 (정규장 마감 2분 전 정정, 취소 불가)

5.MOC(Market On Close):

종가에 최대한 가깝게 체결시키는 시장가 주문(매도 시에만 가능)입니다.

NYSE (정규장 마감 10분 전 정정, 취소 불가)
나스닥 (장 마감 5분 전 정정, 취소 불가, 장 마감 2분 전 주문 접수 불가)

(미국주식은 새벽에 장마감을 하기 때문에 LOC와 MOC 주문이 개인적으로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숙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VWAP(Volume Weighted Averaged Price):

1000주 이상 주문 시 분할 주문 기능입니다. 거래수량을 기준으로 평균가격을 추구합니다.

주문 수량을 장중에 나누어 체결시키는 알고리즘 매매의 방법입니다. 과거 거래량을 분석해서 현지 브로커 자체 기준으로 거래량이 많을 때 많이 하고 적을 때 적게 배분해서 분할 체결하는 주문입니다.

장중 시장 평균 가격으로 체결가를 추구할 수 있는 가격 전략입니다.

(장중에 나눠서 사니까 아무래도 그렇게 됩니다. 분할매매기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시장 평균 가격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7.TWAP(Time Weighted Averaged Price) :

1000주 이상 주문 시 분할 주문 기능입니다. 거래시간을 기준으로 평균가격을 추구합니다.

주문한 수량을 장중 시간별로 나누어 체결시키는 알고리즘 매매의 방법입니다. 과거 거래시간을 분석해서 현지 브로커 자체 기준으로 장중 분할 체결하는 주문입니다.

장중 시장 평균 가격을 추구하나 평균 가격을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VWAP와 TWAP 주문은 대량으로 미국주식을 하시는 분이라면 숙지를 추천드리는 기능입니다.

* VWAP은 거래 수량 기준 TWAP은 거래시간 기준

* VWAP, TWAP 모두 정정은 불가 하니 취소 후 재주문 필요

*VWAP, TWAP 모두 주문 가능금액의 70%선에서 주문 가능 수량 설정(미수 방지)

(시세 급변동으로 인해 해당 주문은 미수가 발생 가능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미국주식거래모습

주식 초보 김토스, 주식 투자를 시작하다 ② : 실전편

아홉 번째 이야기
주식 계좌 개설부터, 주식 거래 시간까지
주주가 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ABC

20대가 청춘을 가장 행복하게 지킬 수 있는 경제적 선택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경제 뉴스가 너무 어렵거나 내게 딱 맞는 정보를 찾기 힘들다면, 스케치 칼럼니스트와 함께하는 을 추천합니다. 쏟아지는 경제뉴스 속, 지금 20대에게 필요한 정보를 쏙쏙 골라 쉽게 전해드립니다. 주식 계좌 주식 거래 시간

업계 선택부터 트렌드 분석 그리고 외인 동향 파악까지 주식 공부를 열심히 한 김토스. 이제 투자할 기업 주식을 실제로 사려 합니다. 주식을 사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주식 계좌’를 만드는 일인데요. 주식 계좌는 어디에서, 어떻게 개설해야 하는지 온통 궁금증투성입니다. 바야흐로 찾아온 실전의 시기, 주주가 되기 위한 단계들을 차근차근 함께 살펴봅시다.

A. 주식 계좌 개설하기

주식을 사려면 증권사 계좌가 있어야 합니다. 요즘은 증권사 앱을 통해 계좌를 비대면으로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데요.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증권 계좌’를 검색해보세요. ‘계좌개설겸용’이라고 표시된 수많은 앱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앱을 선택해 설치해주세요. 계좌 개설은 보통 3~5분 정도 소요 됩니다. 단, 계좌개설 시 신분증을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을 미리 준비합시다.

계좌를 만들기 위해 거쳐야 하는 또 하나의 관문, CMA 계좌, 종합매매계좌, 연금저축계좌, 선물옵션계좌, 금현물계좌 등 여러 종류의 계좌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당황하지 말고 천천히 알아봅시다. 먼저 CMA 계좌는 자산관리계좌로 이자가 조금씩 더 붙는 수시 입출금 계좌 인데요. 대부분 CMA 계좌에서 국내 주식거래가 가능합니다. 다음 종합매매계좌는 이 CMA 기능 외에 해외 주식까지도 거래 가능한 계좌 를 말하는데요. 만일 CMA 계좌가 단순 금융 기능만 수행할 경우에 종합매매계좌에서 국내외 주식거래가 모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선물옵션계좌는 코스피(KOSPI)와 헤지(Hedge) 거래가 가능한 계좌 인데요. 다소 어려운 용어입니다. 간단하게 짚고 가자면 코스피는 종합주가지수를, 헤지 거래는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 위험을 회피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마지막 금현물계좌는 말 그대로 금 거래가 가능한 계좌 입니다.

🔎 주식 초보가 주목해야 할 계좌 종류 정리
  • CMA 계좌 : 이자가 조금 더 붙는 수시 입출금 계좌 (+ 국내주식 가능)
  • 종합매매계좌 : CMA 계좌 기능 + 해외주식 가능

그럼, 이 중에서 어떤 계좌를 개설해야 할까요. 정답은 수수료 면제인 주식 계좌를 개설하면 되는데요. 주식을 거래하면 제비용과 서비스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제비용’은 주식과 관련된 각종 세금, ‘서비스 수수료’는 증권사에 내는 매매 수수료입니다.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혜택을 주는 증권사를 찾아 서비스 수수료만 줄여도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죠.

B. 주식 거래 시간 확인하기

① 정규시간 : 9:00~15:30

“장이 열린다, 장이 마감됐다” 이런 표현 들어보셨을 겁니다. 주식 거래 시간과 관련된 표현인데요. 국내 주식 거래 정규시간은 9시부터 15시 30분까지입니다. 9시에 장이 열리고(시작되고), 15시 30분에 닫히는(마감되는)거죠. 주식 거래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5일 가능합니다. 주말이나 공휴일은 거래가 이뤄지지 않습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우선 주식 거래가 이뤄지는 정규시간만 확실히 알아두어도 충분합니다.

②장 시작 동시 호가 : 8:30~9:00

주식거래에도 ‘사전주문’ 제도가 있습니다. 8시 30분부터 9시까지, 장이 열리기 전 30분 동안 주식을 얼마에 사고팔지 미리 주문을 접수 받고 9시에 일괄 거래되는 방식이죠. 전문용어로는 ‘장 시작 동시 호가’ 라고 합니다. 30분 동안 접수된 주식 가격과 수량을 감안해 그날의 주식거래 시작가격(시가)이 결정됩니다. A라는 주식을 사겠다고 사전주문 넣은 사람이 많을 경우, 시작 가격이 비싸겠죠? 반대로 A라는 주식을 사겠다고 주식거래종류 사전주문 넣은 사람이 적을 경우, 시작 가격이 싸겠지요.

③장 마감 동시 호가 : 15:20~15:30

장 시작 동시 호가와 마찬가지로 15시 20분부터 15시 30분까지, 장이 닫히기 전 10분 동안 주식을 얼마에 사고 팔지 주식거래종류 사전주문을 받고, 15시 30분에 일괄 거래됩니다. 10분간 접수 받은 주식 가격과 수량을 감안해 그날의 마지막 가격(종가)이 결정됩니다.

④ 시간 외 종가 : 8:30~8:40 / 15:40~16:00

무슨 뜻인지 어려워 보이지만, 이름 그대로 풀이하면 됩니다. 정규시간 외에 마지막 가격으로 주식을 사고 판다는 뜻입니다.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는 전날의 마지막 가격(종가)으로 거래되고, 15시 40분부터 16시까지는 그날의 마지막 가격으로 거래됩니다. 그 이상이나, 그 이하 가격으로는 거래되지 않죠.

⑤ 시간 외 단일가 : 16:00~18:00

16시 이후에도 주식 거래가 가능한데요. 시간 외 단일가라고 해서 그날의 마지막 가격(종가)에서 ±10% 가격으로 거래됩니다.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거래 기회를 제공하고자 16시부터 18시까지, 2시간 동안 10분 단위로 총 12회 진행됩니다.

주식 계좌

동시 호가부터 시간 외 종가, 시간 외 단일가까지 용어가 참 어렵습니다. 그래도 주식 시장은 프로들과 함께 뛰는 그라운드이기에 정규 시간 외에도 거래가 이뤄진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는게 좋겠지요. 또한, 장 시작과 마감 때는 주가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기회도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다는 점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하루에도 수없이 변하는 주식 가격을 조금 비싸게 또는 저렴하게 사고파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늘 나무보다는 숲을 본다는 생각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길 권합니다.

C. 거래 수수료 이해하기 : 실제 수익은 생각보다 적다

주식 계좌 개설도 하고, 점심시간을 활용해 주식도 매수했다면 이제 주주가 된 것인데요. 주주는 ‘주식회사의 주인’을 뜻합니다. 드디어 한 기업의 성장을 돕는 투자자가 된 겁니다. 이제 주주로서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더 자주 이용하게 되고, 주변에 홍보도 하게 되는데요. 주주로서 수익을 기대하는 만큼, 정확한 수익률에 대해서도 알아둡시다. 주식을 사고, 파는 행위에는 모두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특히, 주식을 팔 때는 증권거래세가 부과되는데요. 증권거래세는 내가 주식을 팔 때 실제로 거래한 금액의 0.25%가 부과(2021년 거래세는 0.23%로 인하)됩니다. 예를 들어 50만 원을 투자해 수익률 1%면, 얻게 되는 돈을 대부분 5천 원으로 생각하는데요. 서비스 수수료와 증권거래세 등을 고려한다면, 실제 계좌에 들어오는 수익금은 4천 원보다 적다는 사실을 알아둡시다.

🔎 주식을 사고, 팔때는 수수료 까지 생각하기
  • 주식 살 때 = (1주당 가격 x 산 주식수) +서비스 수수료
  • 주식 팔 때 = (1주당 가격 x 판 주식 수) – 서비스 수수료 – (1주당 가격 x 판 주식 수 x 증권거래세)

To. 주식 투자에 입문한 초심자에게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잠을 자고 있는 순간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단 하나의 수입경로에만 의존하지 말라는 이야기인데요. 수입을 창출하는 여러 경로 중에서도, 주식투자는 청년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길입니다. 또한 주식투자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한 투자이기도 한데요. 예를 들어 김토스가 한 기업에 투자했다고 가정합시다. 그 기업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서비스와 상품을 만들고자 일자리를 창출하는데요. 이로 인해 사람들이 채용되고, 좋은 서비스와 상품이 출시되어 사회 인프라가 더 좋아집니다. 또한 소비가 진작되어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인 선순환을 만들게 되죠.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면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기업의 성장을 믿고 기다립시다. 처음엔 떨려서 하루에도 여러 번 앱을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주 확인한다고 해서 주가가 오르거나 내려가는 건 아니지요. 그저 투자한 기업의 성장을 기다리며, 관련 업계 동향을 관심 갖고 지켜보면 됩니다. 저평가된 기업 가치는 결국 본연의 가치로 반영되니까요.

미국 주식시장의 종류,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 그리고 하나 더

그리고 거기에다가 우리가 주식투자하면서 많이 들어본 이 두 주식시장 말고도 하나가 더 있습니다.

바로 미국증권거래소(American Stock Exchange, AMEX)입니다.

이 세 개의 증권거래소들이 미국의 대표적인 주식 거래 시장입니다.

주가지수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가지수의 종류와 특징, 주식시장과의 관계 -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오늘은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흔히 들어서 알고 있는 미국의 주가지수는 다우지수,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 등이 있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미국 주식시장의 종류에..

지금부터 세 주식시장을 하나하나 살펴본 후,

맨 마지막에 각 거래소 별 시가총액 10위까지 기업들을 표로 분류해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뉴욕증권거래소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빅보드'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는 뉴욕증권거래소는 현재 세계 시가총액의 약 40%를 차지하는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의 증권거래소입니다.

그 시작은 1792년 24명의 증권 브로커들이 월스트리트의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에 모여 연방정부 채권의 수수료율을 협의한 모임이었습니다. 그 이후 1817년에 뉴욕 증권거래위원회로 공식적으로 설립되었고, 186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했습니다.

뉴욕의 월스트리트 11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관광코스로 내부를 구경할 수 있었지만 9/11 사태 이후에는 관계자들만 출입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2019년 1월 1일 기준 22.9조 달러의 시가총액으로 전 세계 1위 규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상장된 주식거래종류 주식거래종류 회사의 수는 약 3100개 정도로 나스닥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숫자입니다.

뉴욕증권시장은 상장 기준이 매우 엄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회사가 증권시장에 상장되기 위해서는 세금공제 이전의 총수입 250만 달러 이상, 발행주식 100만 주 이상이어야 하며, 일반 주주의 투표권을 보장하고 정기적으로 재정보고서를 발간해야 그 자격이 주어집니다.

특징적인 점은,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정원이 정해져 있는 회원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금융사 등이 NYSE에서 거래하기 위해서는 회원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하지만 정원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새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기존 회원에게 양도받아서 가입해야 합니다. 정회원 수는 1868년 533명에서 꾸준히 늘다가 1953년 1366명으로 늘어난 후 더 이상 늘지 않고 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는 주식 거래 중개인들의 사람대 사람 거래로 이루어집니다. 모두가 전산으로 처리되는 한국 코스피와 다르게 사람이 직접 거래를 합니다만, 2020년 올해 까지는 전부 전산화 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개장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입니다. 시간외 거래 시간은 오전 주식거래종류 8시부터 9시 30분까지, 오후 4시부터 6시30분까지입니다.

2. 나스닥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NASDAQ)

나스닥은 뉴욕 월스트리트에 위치하며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2위에 위치해있는 증권거래소입니다. 코스닥의 모델이었던 증권거래소인데요,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와 코스닥을 전부 관리하는 한국과는 달리,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은 서로 다른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어찌보면 경쟁 관계에 있는 주식시장입니다.

1971년 장외시장으로 시작한 나스닥은 NYSE와는 다르게 처음부터 전산시스템을 이용해서 거래 당사자에게 장외시장의 호가 정보를 제공하여 거래를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 거래 시스템을 제공했습니다.

나스닥은 거래소에 상장하는 조건 역시 NYSE보다 훨씬 쉽고 상장 유지, 추가상장, 주식배당 등의 수수료가 NYSE보다 많이 낮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회사설립 초기에 재정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벤처기업들이 많이 등록을 할 수 있었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의 수도 약 3,800여개 종목으로, 종목 숫자로는 뉴욕거래소보다 더 많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나스닥에는 주로 IT, 바이오, 인터넷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상장 및 운영 등의 이유로 뉴욕증권거래소보다 나스닥이 기술 벤처기업으로써 상장하기 더 좋은 조건이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이 있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들은 하이테크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NYSE 시장으로 넘어갈 자격이 충분히 있음에도 넘어가지 않고 나스닥에 머물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1994년 1000포인트를 돌파한 이후, IT버블을 타고 5000포인트까지 올랐다가, 거품이 꺼진 후 폭락, 그 이후 IT 기업들의 성장을 발판삼아 2020년 2월 19일 9817 포인트를 찍고 그 이후 모두 다 아는 그 일로 인해 현재는 약 6900 포인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아메리카 증권거래소 (American Stock Exchange, NYSE Amex Equities, AMEX)

아메리카 증권거래소는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과 함께 미국 3대 주식거래소로 분류되고 있으며, 앞의 두 증권거래소에 비해 소규모의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아메리카증권거래소(AMEX)는 뉴욕증권거래소 밖의 길거리에서 이루어지던 노상 시장 거래를 조직화하여, 1921년 뉴욕 월스트리트에 건물을 정하여 뉴욕커브거래소가 된 이후, 1953년 지금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 뉴욕증권거래소를 운영하는 NYSE유로넥스트가 인수하여 현재는 뉴욕증권거래소와 같은 회사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NYSE, NASDAQ에 비해 상장 조건이 쉬우며, 따라서 두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지 못하는 소규모 기업,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이 주로 상장되는 시장으로 약 7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ETF와 뮤추얼펀드가 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4. 증권거래소 별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2020.3.16 기준, 미국기업 대상)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NASDAQ) 아메리카증권거래소(AMEX)
종목명 시가총액 종목명 시가총액 종목명 시가총액
Berkshire Hathaway $ 436.58B Apple $ 1.06T Cheniere Energy $ 8.96B
J&J $ 335.16B Microsoft $ 1.03T Imperial Oil $ 8.09B
Visa A $ 326.83B Amazon.com $ 840.88B B2Gold $ 3.23B
Walmart $302.90B Alphabet A $ 741.32B Seaboard $ 3.16B
JPMorgan $ 271.62B Alphabet C $ 741.32B Novagold $ 2.25B
Procter&Gamble $ 267.94B Facebook $ 416.19B Park National $ 1.37B
Mastercard $ 236.85B Intel $ 190.80B Grupo Simec ADR $ 1.29B
AT&T $ 228.17B Comcast $ 164.09B Reaves Utility $ 1.26B
UnitedHealth $ 213.47B PepsiCo $ 157.14B ETV L.D.주식거래종류 $ 1.16B
Verizon $ 210.89B Cisco $ 142.96B ETV MBF $ 1.04B

※ 아메리카증권거래소 종목의 경우 NYSE AMEX Composite(XAX) 지수 구성 종목 중에서 선정했으며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뉴욕증권거래소가 높지만,

개별종목의 시가총액은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이 최상위에 포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의 대표적인 주식시장 세 가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미국주식 ETF] 기술주의 대안, 나스닥에 투자하는 ETF, QQQ

※ 본 포스트는 주식의 매수 및 매도 추천 글이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이번에 알아볼 ETF 상품은 미국의 대표적인 성장주 ETF인 Invesco QQQ Trust, QQQ입니다. 현재 미국의 잘 나가는 기술 기업들인 구글, 아마존..

[미국 주식 ETF 종목 소개] 다우 존스 지수에 투자하고 월배당 받는 ETF, DIA

※ 본 포스트는 주식의 매수 및 매도 추천 글이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저는 아직 투자 내공이 깊지 않아서, 시장이 요동칠 때는 개별 종목에 투자하고 있으면 참 불안합니다. 이렇게 장세가 불안할 때는 아예 떠나..

[미국 주식 ETF 종목 소개] S&P 500 지수 추종 ETF 3종 (SPY, IVV, VOO)

오늘은 미국 주식에 처음 투자하면서 종목 선정에 고민이 될 때, 가장 먼저 고려하시면 좋을 미국 증시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ETF 중 대표적인 3개 종목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서 S&P 500 지수..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